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정의
(2)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정의
(2)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는 측정내용을 얼마나 충실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는가에 대한 개념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자. 과녁에 박힌 검은 작은 원은 과녁에 꽂힌 화살, 즉 관찰값을 나타낸다. 연구자가 가장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의 속성은 과녁의 한 가운데 원이 되겠다. 따라서 화살이 과년의 한가운데를 맞힐수록, 타당도는 올라간다. 첫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중앙이 아닌 위쪽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흩어져있다고 가정하자. 두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과녁의 중앙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흩어져있다 가정하자. 세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오른쪽 위에 밀집해있다 가정하고, 마지막 네 번째 과녁은 중앙에 밀집해있다 가정하자. 네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중앙에 밀집해있으므로 타당도가 높다. 반면 세 번째 과녁은 타당도가 낮다. 한편 신뢰도는 구성이나 개념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생산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또한 화살의 집중도로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흩어져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지만 세 번째, 네 번째 과녁은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즉, 타당도가 높기 위해서는 신뢰도 또한 높아야 하지만 반대로 신뢰도가 높다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닌 것이다. 다시 말해,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신뢰도가 낮아지면 타당도 또한 이에 비례해서 낮아진다. 때문에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이다. 신뢰도 없이 타당도가 높은 평가도구는 없다,
3. 결론
사회복지조사론에서의 측정이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를 할당하는 과정이며, 이 측정과 관련하여 신뢰도는 일관성을, 그리고 타당도는 정확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측정에 신뢰도가 높다는 것은 결과값이 일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고, 타당성이 높다는 것은 그 수치가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 둘의 관계에서 신뢰도는 타당도를 위한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은 아니다. 즉 신뢰도는 타당도의 중요한 선행요건으로 타당도가 높기 위해서는 신뢰도도 높아야 하지만, 반대로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사회 복지 조사론, 에듀 사이버 평생 교육원 강의자료
- 신뢰도, 상담학사전, 인문과학
-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 사회복지, 사회과학
- 신뢰도와 타당도, 커뮤니케이션, 사회과학
- 사회조사방법론의 이해, 김응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 커뮤니케이션 통계 방법, 류성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예를 들어보자. 과녁에 박힌 검은 작은 원은 과녁에 꽂힌 화살, 즉 관찰값을 나타낸다. 연구자가 가장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의 속성은 과녁의 한 가운데 원이 되겠다. 따라서 화살이 과년의 한가운데를 맞힐수록, 타당도는 올라간다. 첫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중앙이 아닌 위쪽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흩어져있다고 가정하자. 두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과녁의 중앙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흩어져있다 가정하자. 세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오른쪽 위에 밀집해있다 가정하고, 마지막 네 번째 과녁은 중앙에 밀집해있다 가정하자. 네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중앙에 밀집해있으므로 타당도가 높다. 반면 세 번째 과녁은 타당도가 낮다. 한편 신뢰도는 구성이나 개념을 반복적으로 측정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생산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또한 화살의 집중도로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과녁은 화살들이 흩어져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지만 세 번째, 네 번째 과녁은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즉, 타당도가 높기 위해서는 신뢰도 또한 높아야 하지만 반대로 신뢰도가 높다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닌 것이다. 다시 말해,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신뢰도가 낮아지면 타당도 또한 이에 비례해서 낮아진다. 때문에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이다. 신뢰도 없이 타당도가 높은 평가도구는 없다,
3. 결론
사회복지조사론에서의 측정이란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를 할당하는 과정이며, 이 측정과 관련하여 신뢰도는 일관성을, 그리고 타당도는 정확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측정에 신뢰도가 높다는 것은 결과값이 일관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고, 타당성이 높다는 것은 그 수치가 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 둘의 관계에서 신뢰도는 타당도를 위한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은 아니다. 즉 신뢰도는 타당도의 중요한 선행요건으로 타당도가 높기 위해서는 신뢰도도 높아야 하지만, 반대로 신뢰도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도가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사회 복지 조사론, 에듀 사이버 평생 교육원 강의자료
- 신뢰도, 상담학사전, 인문과학
-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 사회복지, 사회과학
- 신뢰도와 타당도, 커뮤니케이션, 사회과학
- 사회조사방법론의 이해, 김응렬,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 커뮤니케이션 통계 방법, 류성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추천자료
조사론 예상문제 (사회복지 조사론 5지선다형의 예상문제 60문제)
신뢰도와 타당도
[사회복지조사론] 측정도구 - 측정의 의의와 기능 및 장단점, 측정의 4등급, 지표와 지수, 척...
타당도와 신뢰도가 무엇인지를 비교하여 논하고 그 저해요인과 확보방안에 대해서 서술.
사회복지조사론 )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설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를 서술하...
사회복지조사론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설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를 서술하시오
설문지 조사는 응답자로 하여금 연구주제와 관련된 질문에 답하게 함으로써 체계적이고 계획...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설명하고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를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_1. 조작화의 개념과 과정을 설명하고,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여 이에 따른 조...
사회복지조작화의 개념과 과정을 설명하고,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여 이에 따른 조작화 과정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