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었다.
분명 임시 정부는 우리의 힘으로 스스로 나라를 되찾을 준비를 했는데, 실제 계획과 다르게 미국에 의해 일본이 우리나라를 떠나는 것으로 이제 우리는 독립은 했지만, 자주 독립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백범 김구를 비롯한 많은 애국지사는 무려 35년이나 일본의 무자비한 총칼에 맞서 싸웠다. 민족을 말살하기 위해서 창씨 개명까지 한 일본에 독립운동가들은 민족의 자긍심과 뿌리를 지키며 자주적인 독립을 계획했지만, 일본의 무 조건적인 항복, 즉 타의에 의한 독립 국가가 된 우리나라는 당시 2차 세계대전 승전국들의 탐욕을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여운형을 비롯해 많은 이들이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모여들었지만, 일본이 떠난 자리에 미국과 소련이 자리를 채웠고 하나의 국가로 독립을 생각한 우리 민족은 결과적으로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두 나라가 되었다.
일본의 항복으로 미국과 소련은 38도선을 경계로 남쪽은 미국, 북쪽은 소련이 관리했다. 일제 식민지에는 일본이라는 한 나라의 군대가 들어와 우리에게 영향을 미쳤지만, 해방 이후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나라의 군대가 들어와 간섭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미국과 소련의 식탁 통치 기간에 전혀 다른 두 체제로 우리나라는 오히려 혼란만 가중되었다. 일제 식민지 시대에 물산 장려 운동을 앞장서서 했던 민족주의 계열과 김일성은 공산주의 활동을 하며 북한에 자리 잡았으며, 소련은 실제 북한에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하고자 했다. 반면 남한에는 이승만을 주축으로 미 군정의 길과 함께했다. 1945년 12월 말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우리 민족의 운명을 가른 신탁통치가 결정되었으며, 이로써 우리는 현재까지 분단국가가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 예산에서 국방비는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핵무장을 목전에 둔 북한과 대치 중인 상황에 놓인 불가피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만약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망에 한국 광복권이 조금이라도 힘을 더했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역사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와 일본 등에 둘러싸여 있는 대한민국은 현재까지도 분단으로 인한 불안이 사회와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상황에 영향을 준다. 최근 전 세계는 제국주의가 팽배한 19세기처럼 자국민 우선주의가 퍼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만의 이익을 내세우기보다는 주변국의 눈치와 분단으로 인한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분단이라는 걸림돌이 되어 더 나아가지 못하는 대한민국의 한계가 일본의 패망에 우리 광복군이 함께하지 못해 또다시 외세에 통치받게 되어 진정한 의미에서 자주적인 독립을 하지 못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엄광용(2021).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서연비람.
서중석(2015).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1: 해방과 분단 친일파, 현대사의 환희와 분노의 교차로”, 오월의 봄.
송자(2006). “미래를 열어주는 우리 역사박물관 25. 일제에 짓밟힌 우리 강산”, 대교.
송자(2006). “미래를 열어주는 우리 역사박물관 28. 되찾은 나라, 갈라진 남과 북 ”, 대교.
분명 임시 정부는 우리의 힘으로 스스로 나라를 되찾을 준비를 했는데, 실제 계획과 다르게 미국에 의해 일본이 우리나라를 떠나는 것으로 이제 우리는 독립은 했지만, 자주 독립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백범 김구를 비롯한 많은 애국지사는 무려 35년이나 일본의 무자비한 총칼에 맞서 싸웠다. 민족을 말살하기 위해서 창씨 개명까지 한 일본에 독립운동가들은 민족의 자긍심과 뿌리를 지키며 자주적인 독립을 계획했지만, 일본의 무 조건적인 항복, 즉 타의에 의한 독립 국가가 된 우리나라는 당시 2차 세계대전 승전국들의 탐욕을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 여운형을 비롯해 많은 이들이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모여들었지만, 일본이 떠난 자리에 미국과 소련이 자리를 채웠고 하나의 국가로 독립을 생각한 우리 민족은 결과적으로 남과 북으로 분단되어 두 나라가 되었다.
일본의 항복으로 미국과 소련은 38도선을 경계로 남쪽은 미국, 북쪽은 소련이 관리했다. 일제 식민지에는 일본이라는 한 나라의 군대가 들어와 우리에게 영향을 미쳤지만, 해방 이후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나라의 군대가 들어와 간섭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미국과 소련의 식탁 통치 기간에 전혀 다른 두 체제로 우리나라는 오히려 혼란만 가중되었다. 일제 식민지 시대에 물산 장려 운동을 앞장서서 했던 민족주의 계열과 김일성은 공산주의 활동을 하며 북한에 자리 잡았으며, 소련은 실제 북한에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하고자 했다. 반면 남한에는 이승만을 주축으로 미 군정의 길과 함께했다. 1945년 12월 말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에서 우리 민족의 운명을 가른 신탁통치가 결정되었으며, 이로써 우리는 현재까지 분단국가가 되었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 예산에서 국방비는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핵무장을 목전에 둔 북한과 대치 중인 상황에 놓인 불가피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만약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망에 한국 광복권이 조금이라도 힘을 더했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역사는 지금과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미국과 중국, 러시아와 일본 등에 둘러싸여 있는 대한민국은 현재까지도 분단으로 인한 불안이 사회와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상황에 영향을 준다. 최근 전 세계는 제국주의가 팽배한 19세기처럼 자국민 우선주의가 퍼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만의 이익을 내세우기보다는 주변국의 눈치와 분단으로 인한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분단이라는 걸림돌이 되어 더 나아가지 못하는 대한민국의 한계가 일본의 패망에 우리 광복군이 함께하지 못해 또다시 외세에 통치받게 되어 진정한 의미에서 자주적인 독립을 하지 못했다.
출처 및 참고문헌
엄광용(2021). “훈민정음을 창제하다”, 서연비람.
서중석(2015).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1: 해방과 분단 친일파, 현대사의 환희와 분노의 교차로”, 오월의 봄.
송자(2006). “미래를 열어주는 우리 역사박물관 25. 일제에 짓밟힌 우리 강산”, 대교.
송자(2006). “미래를 열어주는 우리 역사박물관 28. 되찾은 나라, 갈라진 남과 북 ”, 대교.
추천자료
(2023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한국사의이해, 과제물) 1. 아래 문제에 대한 답안을 교재를 참...
한국사의이해 2023년 기말)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한...
2023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한국사의이해 2023 기말] 1. 1)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2) 광무개혁의 내용과 ...
한국사의이해 기말 2023] 1.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
한국사의이해 기말 2023) 1.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9...
2023년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
한국사의이해 기말 2023) 1862년 농민봉기의 전개 과정과 의의, 광무개혁의 내용과 한계, 191...
한국사 ) 모스크바 3상회의 내용과 이를 둘러싼 국내 정치 세력의 대응을 서술
한국사이해 ) 광무개혁 내용 한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