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데이터 전송의 제어
2.2 데이터 전송의 제어 절차 5단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데이터 전송의 제어
2.2 데이터 전송의 제어 절차 5단계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말 장치 간의 물리적 연결이 필요ㅎ없기 때문에 회선의 접속과 회선의 절단의 단계는 거치지 않는다. 즉, 데이터 링크의 확립, 데이터 전송, 데이터 링크의 해제 순의 단계로 구성된다.
3. 결론
데이터 전송 제어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물리적 연결뿐만 아니라 전송 링크 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와 절차를 말한다. 이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제어 기능은 회선 제어, 흐름 제어, 오류 제어가 있다. 회신 제어는 링크 설정을 상대방에게 요구하고 회신을 받으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경쟁 방식과 폴-셀렉션 방식으로 분류된다. 흐름 제어는 송수신 장치의 처리 속도가 서로 다를 때 한 쪽의 통신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또한 수신 측의 버퍼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송신 측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Xon/Xoff, RTS/CTS, 정지-대기 방식, 슬라이딩 윈도 방식이 해당한다. 오류 제어는 전송 오류 발생 확인과 함께 정정하는 역할을 한다. 오류 무시, 반향 검사 방식, 오류 검출 방식, 오류 검출 후 재전송, 전진 오류 수정의 종류가 있다. 데이터 전송의 제어 절차 5단계는 교환망을 이용하는 경우 회선 연결, 데이터 링크 확립, 데이터 전송, 데이터 링크 해제, 회선 해제 순으로 진행된다. 단, 교환 회선의 경우 물리적 연결이 필요 없어 데이터 링크의 확립, 데이터 전송, 데이터 링크의 해제 순으로 단계가 구성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제공된 자료: 데이터 통신, 장원사이버평생교육
3. 결론
데이터 전송 제어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물리적 연결뿐만 아니라 전송 링크 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와 절차를 말한다. 이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제어 기능은 회선 제어, 흐름 제어, 오류 제어가 있다. 회신 제어는 링크 설정을 상대방에게 요구하고 회신을 받으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경쟁 방식과 폴-셀렉션 방식으로 분류된다. 흐름 제어는 송수신 장치의 처리 속도가 서로 다를 때 한 쪽의 통신 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조절한다. 또한 수신 측의 버퍼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송신 측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Xon/Xoff, RTS/CTS, 정지-대기 방식, 슬라이딩 윈도 방식이 해당한다. 오류 제어는 전송 오류 발생 확인과 함께 정정하는 역할을 한다. 오류 무시, 반향 검사 방식, 오류 검출 방식, 오류 검출 후 재전송, 전진 오류 수정의 종류가 있다. 데이터 전송의 제어 절차 5단계는 교환망을 이용하는 경우 회선 연결, 데이터 링크 확립, 데이터 전송, 데이터 링크 해제, 회선 해제 순으로 진행된다. 단, 교환 회선의 경우 물리적 연결이 필요 없어 데이터 링크의 확립, 데이터 전송, 데이터 링크의 해제 순으로 단계가 구성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제공된 자료: 데이터 통신, 장원사이버평생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