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1과목․ 데이터베이스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3과목․ 운영체제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5과목․ 데이터 통신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
3과목․ 운영체제
4과목․ 소프트웨어 공학
5과목․ 데이터 통신
본문내용
기능을 수행
Usenet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
핵심 271 인터넷의 주소 체계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로,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A ~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나뉨
-서브넷 마스크 : 4바이트의 IP 주소 중에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함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 기관 이름, 소속 기관의 종류,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
핵심 272 네트워크 관련 장비
-허브(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함
-리피터(Repeater) : 물리 계층의 장비로, 전송되는 신호를 재생해줌
-브리지(Bridge)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의 연결 및 경로 선택,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의 연결
-게이트웨이(Gateway) : 프로토콜 구조가 전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하는 장비로,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
핵심 273 통신 프로토콜
-정의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
-기능 : 단편화, 재결합, 캡슐화,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순서 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경로 제어, 전송 서비스(우선순위, 서비스 등급, 보안성)
-캡슐화 할 때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것 : 송/수신지 주소, 오류 검출 코드, 프로토콜 제어 정보
핵심 274 OSI 참조 모델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
-OSI 7 계층 : 하위 계층(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상위 계층(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 오류 제어, 순서 제어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망 계층)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리(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경로 설정(Routing),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종단 시스템(End-to-End)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전송 연결 해제 기능
주소 설정, 다중화, 에러 제어, 흐름 제어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송/수신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
대화(회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
체크점(=동기점) :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소동기점과 대동기점이 있음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맞게,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정보 형식(포맷) 변환, 문맥 관리 기능
응용 계층(Applica tion Layer)
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핵심 275 X.25
-패킷 교환망을 통한 DCE와 DT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ITU-T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짐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고, 전송 품질이 우수
-X.25의 계층 구조 : 물리 계층, 프레임 계층, 패킷 계층
-LAPB : HDLC의 원리를 이용한 비트 중심의 프로토콜로, X.25의 2계층에서 사용
-프레임 릴레이 : 기존의 X.25가 갖는 오버 헤드를 제거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프로토콜
-패킷 교환을 위한 수행 절차 : 호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 해제
핵심 276 TCP/IP
-UNIX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되었고, 현재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임
-TCP/IP의 계층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
TELNET, FTP, SMTP, HTTP 등
전송 계층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TCP, UDP
인터넷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
IP, ICMP, IGMP, ARP, RARP 등
링크 계층
실제 데이터(프레임)를 송/수신하는 역할
Ethernet, IEEE 802, HDLC, X.25, RS-232C 등
-주요 프로토콜
TCP
OSI 7 계층의 트랜스포트 계층에 해당
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 제공
패킷의 다중화, 재순서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
IP
OSI 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
ICMP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함
ARP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MAC Address)로 변환
RARP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Usenet
분야별로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
핵심 271 인터넷의 주소 체계
-IP 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의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로, 숫자로 8비트씩 4부분, 총 32비트로 구성되며, A ~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나뉨
-서브넷 마스크 : 4바이트의 IP 주소 중에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
-IPv6 :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16비트씩 8부분, 총 128비트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함
-도메인 네임 : 숫자로 된 IP 주소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호스트 컴퓨터명, 소속 기관 이름, 소속 기관의 종류, 소속 국가명 순으로 구성
-DNS : 문자로 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
핵심 272 네트워크 관련 장비
-허브(Hub) :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함
-리피터(Repeater) : 물리 계층의 장비로, 전송되는 신호를 재생해줌
-브리지(Bridge)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을 연결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 계층의 장비로, LAN과 LAN의 연결 및 경로 선택,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의 연결
-게이트웨이(Gateway) : 프로토콜 구조가 전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하는 장비로,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
핵심 273 통신 프로토콜
-정의 :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 규약
-기본 요소 :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시간(Timing)
-기능 : 단편화, 재결합, 캡슐화,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순서 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경로 제어, 전송 서비스(우선순위, 서비스 등급, 보안성)
-캡슐화 할 때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것 : 송/수신지 주소, 오류 검출 코드, 프로토콜 제어 정보
핵심 274 OSI 참조 모델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
-OSI 7 계층 : 하위 계층(물리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상위 계층(전송 계층 → 세션 계층 → 표현 계층 → 응용 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 오류 제어, 순서 제어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망 계층)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 관리(네트워크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경로 설정(Routing),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종단 시스템(End-to-End) 간에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전송 연결 해제 기능
주소 설정, 다중화, 에러 제어, 흐름 제어
세션 계층
(Session Layer)
송/수신측 간의 관련성을 유지하고 대화 제어를 담당
대화(회화) 구성 및 동기 제어, 데이터 교환 관리 기능
체크점(=동기점) : 오류가 있는 데이터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소동기점과 대동기점이 있음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응용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션 계층에 맞게, 세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는 응용 계층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
코드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정보 형식(포맷) 변환, 문맥 관리 기능
응용 계층(Applica tion Layer)
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핵심 275 X.25
-패킷 교환망을 통한 DCE와 DTE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ITU-T에서 제정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우수한 호환성을 가짐
-신뢰성과 효율성이 높고, 전송 품질이 우수
-X.25의 계층 구조 : 물리 계층, 프레임 계층, 패킷 계층
-LAPB : HDLC의 원리를 이용한 비트 중심의 프로토콜로, X.25의 2계층에서 사용
-프레임 릴레이 : 기존의 X.25가 갖는 오버 헤드를 제거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프로토콜
-패킷 교환을 위한 수행 절차 : 호 설정 → 데이터 전송 → 호 해제
핵심 276 TCP/IP
-UNIX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되었고, 현재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임
-TCP/IP의 계층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
TELNET, FTP, SMTP, HTTP 등
전송 계층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TCP, UDP
인터넷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
IP, ICMP, IGMP, ARP, RARP 등
링크 계층
실제 데이터(프레임)를 송/수신하는 역할
Ethernet, IEEE 802, HDLC, X.25, RS-232C 등
-주요 프로토콜
TCP
OSI 7 계층의 트랜스포트 계층에 해당
신뢰성 있는 연결형 서비스 제공
패킷의 다중화, 재순서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기능
IP
OSI 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
데이터그램을 기반으로 하는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패킷의 분해/조립, 주소 지정, 경로 선택 기능
ICMP
IP와 조합하여 통신 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함
ARP
호스트의 IP 주소를 호스트와 연결된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물리적 주소(MAC Address)로 변환
RARP
물리적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
추천자료
비고츠키의 이론과 피아제 이론, 행동주의 이론, 정보처리 이론의 비교
관여도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형성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이론에 근거하여 논하시오and2) 소...
조직구조의 개념, 조직설계의 변수, 조직구조에 대한 정보처리 관점, 조직구조의 형태 및 설...
인지주의 학습이론 (쾰러의 통찰학습, 톨먼의 기호형태설, 정보처리 학습이론)
유아의 학습에 대한 인지적 관점에 대한 모든것PPT(인지주의학습이론,정보처리이론)
THE SUIT 갤럭시(GALAXY) 기업광고 소개 및 소비자 정보처리 과정과 광고분석
대인 지각과 귀인 (지각, 대인지각 인상형성, 대인지각 정보처리, 귀인).PPT자료
[아동발달]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정보처리이론, 비고츠키(Vygotsk...
영아기 인지발달 - 인지발달, 피아제(Piaget)의 접근법, 정보처리접근, 언어의 구성요소, 언...
아동의 인지발달 - 피아제의 인지발달과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및 정보처리 이론
영유아 수학 교육의 이론적 배경들 중 브루너(Bruner)의 정보처리이론과 가드너(Gardner)의 ...
[아동수학지도] 영유아 수학교육의 이론적 배경들 중에 Brner의 정보처리이론과 Gardner의 인...
[유아발달] 인지발달의 지능에 대한 관점을 심리측정적 관점, 정보처리적 관점, 다중지능 ...
인지주의 학습이론,인지주의의 발달,형태주의 심리학,정보처리이론,학습원리,교수 이론의 시사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