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클럽 시행 이후 지역의 우수선수 육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부산지역 빙상종목(쇼트,피겨)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포츠클럽 시행 이후 지역의 우수선수 육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부산지역 빙상종목(쇼트,피겨)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연구주제의 정의 및 중요성
2) 연구주제 관련 선행연구 조사내용
Ⅲ. 문제점
1) 경기장 문제
2) 조례, 공공체육시설의 활용문제
3) 학교운동부 결국, 학교 밖에서 육성해야 하는데 장소 없다
Ⅳ.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방법
Ⅴ. 개선방안
Ⅵ. 결론 및 제언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합하다고 할 수 있다.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부산지역 빙상종목 이해관계자들과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스포츠클럽 시행 이후 우수선수 육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아래 <그림 1>과 같이 준비단계, 모색단계, 완성단계 절차로 나누어 진행할 것이다.
준비 단계

모색 단계

완성단계
문헌 분석
포커스그룹인터뷰(FGI) 실시
법·제도 개선안
최종 정리
먼저, 준비단계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하여 스포츠클럽 및 지역 우수선수 육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할 것이다. RISS, KCI, Google Scholar 등 다양한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행연구를 수집하고, 수집한 선행연구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법·제도의 변천사, 해외 선진 사례 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사례와 비교할 것이다. 또한 FGI에 사용될 질문을 구성하는 데에도 선행연구 분석의 결과를 활용할 것이다.
다음으로 모색단계에서는 지도자, 선수, 학부모, 지자체 관계자, 협회 직원 등 패널을 선정하여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할 것이다. 이때 FGI 개방형 질문지를 사전에 준비하여 인터뷰의 진행 방향이 연구에서 의도한 방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참여자들이 본인의 의견을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하는 만큼, 편안한 분위기 조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완성단계에서는 문헌 분석 결과와 FGI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지역에서 스포츠클럽 시행 이후 빙상종목 우수선수 육성을 위해 법·제도적으로 어떤 내용을 개선해야 하는지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4)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면 혹은 Zoom을 통한 비대면 방식을 통하여 FGI를 진행하며 음성 녹음 혹은 영상 녹화를 통해 인터뷰 자료를 수집할 것이며, 인터뷰 종료 후 수집한 음성 및 영상 자료를 바탕으로 그 내용을 전사할 것이다. 이렇게 얻은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할 예정이다.
반복적 비교분석법은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3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김태현, 2022). 첫째, 개방 코딩(open coding) 단계에서는 인터뷰 전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으며 필요한 부분에 표시하는 작업을 할 것이다. 둘째, 범주화 단계에서는 앞선 단계에서 코딩한 자료를 기반으로 상위 범주를 만들 것이다. 범주를 미리 만들어두지 않고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범주화한 다음 범주 명을 붙이는 작업이다. 셋째, 범주 확인 단계에서는 귀납적으로 범주를 만든 이전 단계의 결과가 알맞은지를 연역적으로 확인할 것이다. 원자료와의 반복적인 비교를 통해 최종적으로 범주를 도출하여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정리할 것이다.
Ⅴ. 개선방안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개선방안은 지역의 우수선수를 육성하기 위하여 선수와 지도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경기장을 이용하는 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법·제도를 개정하는 것이다. 공공 경기장을 새로 건립함으로써 경기장 이용 수요를 분산시켜 엘리트 체육 프로그램 운영 시간을 보장할 수도 있고, 우수선수 육성 프로그램 운영 시간을 먼저 결정한 다음 공공 경기장 개방 시간을 확정할 수도 있다. 지역별로 상황에 맞게 조례를 설치하면 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법적, 제도적으로 공공 경기장의 운영에 있어 지역의 우수선수를 육성하기 위한 시간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 사업이 시행된 이후 지역에서 우수선수 육성하기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 우수선수를 길러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부산지역의 빙상종목을 중심으로 지도자, 선수, 학부모, 지자체 관계자, 협회 담당자 등 이해관계자들과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의견을 종합, 정리할 것이다.
예상되는 법·제도적 개선안으로는 지역 우수선수 육성을 위한 경기장을 확보할 수 있는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정리, 분석함으로써 법·제도적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의 우수선수 육성에 관한 법·제도적 논의는 지금껏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새로운 논의의 시작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일부 지역의 특정 종목에 제한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전국의 모든 지역 혹은 다른 스포츠 종목에도 일반화시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향후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른 지역 및 타종목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Ⅶ. 참고문헌
김권일 (2013). 지역 스포츠과학 거점 조성 및 운영방안. 한국체육과학연구원.
김태현 (2022). 청소년 선도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현장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청소년지도학과.
남상우 (2017). 성공적인 스포츠클럽 운영모델을 위한 기초연구(기본연구 2017-02). 한국스포츠개발원.
대한체육회 (2019). 2019 대한체육회 사업결과보고서. 서울: 대한체육회.
성문정 (2017). 스포츠클럽 육성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기본연구 2017-04). 한국스포츠개발원.
이미숙 (2021). 일본 스포츠 탤런트 발굴·육성 시스템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30(5), http://doi.org/10.35159/kjss.2021.10.30.5.1063
이영선, 김래선, 조은희, 이현숙 (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인식연구-중고생 이용자의 FGI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1(1), 43-66.
진규진 (2021). 스포츠클럽 사업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전문선수 육성 정책의 난제.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Morgan, D. L. (1998). Focus group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1), 129-152.
스포츠클럽법. 법률 제18252호.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법률 제19411호.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문화체육관광부령 제425호.
  • 가격4,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4.01.1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59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