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동계올림픽 경기장시설 사례를 통한 2018평창동계올림픽 시사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설상경기
 1) 알파인스키
 2) 스키점프
 3) 크로스컨트리
 4) 프리스타일 스키
 5) 바이애슬론
 6) 스노우보드
 7) 루지 / 봅슬레이 / 스켈레톤

2. 빙상경기
 1) 스피드스케이팅
 2) 피겨 / 쇼트트랙
 3) 아이스하키
 4) 컬링

3. 시사점

본문내용

351명
12,000명
14,239명
부대시설
주차장
주차장
헤이스팅스공원
(Hastings Park)
□ 아이스하키
일본 나가노의 아이스 하키 경기장은 올림픽 선수촌으로부터 7km 떨어진 나가노 시의 Wakasato에 소재한 “Big hat” 스타디움과 12km 떨어진 나가노시의 나가노 스포츠 파크내 “Aqua Wing” 스타디움이며, 총 288억¥을 들여 신설하였다.
“Big hat” 스타디움은 나가노시를 둘러싸고 있는 광활한 산의 영속성을 표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스타디움의 전체 모양이 큰 모자와 비슷하다고 해서 그와 같은 명칭이 명명되었다. 건물의 높이는 주위 조망과 어울리게 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낮게 건설하였다. 내부구조는 철제 프레임이 밖으로 노출된 투박한 천장을 만들어 힘과 역동성을 표출하도록 한 것과,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수 있도록 이동관람석을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대회장 운영시설은 스타디움내 공간을 활용하였으며, RTV house, 신문사회의실, Right Holders 숙소는 임시로 설치하였다. 일층에는 관람석을 늘리기 위하여 임시 의자를 설치하였으며 2층과 3층에는 뒤쪽에서 서서 볼 수 있는 공간과 함께 임시 관람석을 설치하였다. 현재 “Big hat” 스타디움은 다목적 행사시설로 활용되고 있으며, 영구냉각장비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이스하키 경기가 있을 때는 암모니아를 이용한 간접냉각방식을 통하여 임시 링크를 설치하고 있다.
“Aqua Wing” 스타디움은 나가노 지역의 신선하고 깨끗한 바람과 차가운 시냇물을 표현한 경기장으로서 날개를 닮았다고 해서 “Aqua Wing”으로 명명되었다. 지붕은 V자형 지주로 받치고 신축자재를 써서 만들었으며, 아이스하키의 격렬함과 나고야시의 역동성을 표현하도록 디자인하였다. 임시시설은 RTV house와 갱의실이고, 3개 층 모두에 임시좌석을 설치하여 관람석을 4,134석으로 늘렸으며, 임시좌석 뒤에는 입석 관람지역을 설치하였다.
“Aqua Wing” 은 1999년 봄부터 50m 및 25m 수영풀과 다이빙 풀을 갖춘 수영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릴 때는 수영장과 다이빙장에 임시 바닥을 설치한 다음 아이스하키 링크로 활용하고 있다.
이탈리아 토리노의 아이스하키장은 팔라스포르 올림피코(수용인원: 12,350명)와 Oval Lingotto(수용인원:8,500명)이며, 경기장 규격은 60m x 30m 1면으로 되어 있다.
캐나다 밴쿠버의 아이스하키장은 캐나다 하키 플레이스(수용인원: 18,890명)와 UBC 선더버드 아레나(수용인원: 7,800명)이며 경기장 규격은 60m x 30m 1면으로 되어 있다. 특징적인 것은 경기장 광장과 22층 오피스 타워로비와 연결되어 관람객들 푸드 아울렛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갖추고 있다.
구 분
일본(나가노)
이탈리아(토리노)
캐나다(밴쿠버)
면적
(연장길이)
60m x 30m 1면
60m x 30m 1면
61m x 30m 1면
수용인원
10,104명
(*Big Hat)
6,000명
(*Aqua Wing)
12,500명
(*팔라스포르 올림피코)
4,320명
(*Torino Esposizioni)
18,890명
(*캐나다 하키 플레이스)
7,800명
(*UBC 선더버드 아레나)
부대시설
주차장
주차장
면적 29,000m2(22층) 의 오피스 타워로비와 연결(ex. 푸드 아울렛 운영)
□ 컬링
미국 솔트레이크의 컬링 경기장은 The Ice Sheet at Ogden이며, 2,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경기장 규격은 44.5m x 4.75m 4면이다.
이탈리아 토리노의 컬링 경기장은 Pinerolo에 있으며, 수용인원은 5,200명, 경기장 규격은 44.5m x 4.75m 4면이다. 또한 캐나다 밴쿠버의 컬링 경기장의 수용인원은 6,250명이며 경기장 규격은 44.5m x 4.75m 4면이다.
종합해 보면, 세 경기장 모두 규격은 4.5m x 4.75m 4면으로 동일하며, 경기장 규모에 따라 수용인원은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다.
구 분
미국(솔트레이크)
이탈리아(토리노)
캐나다(밴쿠버)
면적
(연장길이)
44.5m x 4.75m 4면
44.5m x 4.75m 4면
44.5m x 4.75m 4면
수용인원
2,000명
(The Ice Sheet at Ogden)
5,200명
(Pinerolo)
6,250명
3. 시사점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기존 경기장 사례를 고찰해본 결과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대회 개최를 위해 임시로 건설하거나 임대해서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나가노와 같이 국립공원에 인접하거나 내부에 조성되는 경우 철거를 전제로 임시로 설치하여 대회 기간동안 사용하였다.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위해 신설되는 알파인(활강, 슈퍼G) 경기장의 경우 생태적으로 우수한 정선 중봉지역에 입지하게 되는게 나가노의 사례와 같이 조직위원회가 세계연맹 등과의 충분한 협의를 통해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신설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평창동계올림픽에서 대부분 신설되는 빙상종목 경기장의 경우 이미 개최한 도시들의 사례에서 보더라도 국제기준에 맞춰 조성하였으므로, 강원도도 이와 비슷한 규모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경기장의 규모는 관중석의 규모에 따라 많이 결정되기 때문에, 대회 기간중 방문하게 될 관람객수, 대회 개최후 이용하게 될 이용객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규모 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올림픽 개최 기간중에 관람객이 많은 것을 고려할 때 관람석의 규모는 대회가 끝난후 활용계획에 따라 적정 규모를 산정하되, 대회 기간동안에는 임시 관람석 형태로 조성하여 운영하는 것도 경기장 조성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나가노 피겨/쇼트트랙 경기장과 같이 대회가 끝난후 해당 종목을 위한 경기장이 아니라 종합체육관으로 활용하는 것과 같이 사후 어떤 용도로 활용할지를 고려하여 규모를 산정하고 대회 기간중에는 경기를 개최할 수 있을 정도의 임시적 경기장으로 조성하여 운영하는 것도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2.12.18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6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