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음운상의 특징
2) 형태상의 특싱
3) 문법상의 특징
4) 담화언어상의 특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음운상의 특징
2) 형태상의 특싱
3) 문법상의 특징
4) 담화언어상의 특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3. 결론
우리는 이제까지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어는 음운적으로 자음19개와 모음 21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의 자음만이 음절말에 오며,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이 발음을 하였을 때 그 느낌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문장을 말할 때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으로 말을 하면서, 듣는 이로 하여금 문장을 끝까지 듣지 않으면 말하는 이의 뜻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꾸미는 말이 반드시 꾸미고자 하는 단어의 앞에 와야 하고, 대화를 이어감에 있어서 듣는 사람이 인지하고 있다면, 생략 역시 많은 부분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국어는 서술어로 많은 것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서술어는 생략이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는 능동표현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피동적인 표현보다는 능동표현으로 많이 대화를 하며, 상황중심의 언어로서 결과보다는 상황을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어만이 가지는 경어는 우리의 문화를 잘 설명해주는 그러한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말하는 사람에 따라 서술어가 달라지고, 단어가 달라지고, 듣는 사람에 따라서도 대화는 서술어의 어미가 달라진다. 웃어른을 공경하는 우리나라의 예의범절을 나타내는 경어는 어디 내놓아도 자랑스러운 한국어만의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처음보는 타인과의 만남에서 경어를 사용함으로서, 나이의 많고 적음의 유무를 떠나 상대방을 높여줌으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대접은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라고 할 수 있겠다. 외국인들이 처음 한국어를 접했을 때 경어가 너무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들의 문화에는 없는 독특한 한국어만의 특성이기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외국인들이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의 관계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적재적소에 경어를 잘 사용한다면, 그들 역시 남을 배려하고 대접하는 우리의 문화를 이해할 것이라 생각한다. 상대방을 배려하고 대접하고 우대해 주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는 타인을 대하는 기본적인 매너라 생각한다. 그러한 면에서 보면 한국어의 이러한 특성들은 우리의 예의바른 문화를 잘나타내고 있다고 하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어의 특성/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교안/1주차 2차시pp.8-pp.15
한국어의 몇 가지 언어문화적 특성과 그 교육/김영기/새국어생활 제7권 pp.180-pp.192/1997
3. 결론
우리는 이제까지 한국어의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한국어는 음운적으로 자음19개와 모음 21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개의 자음만이 음절말에 오며,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이 발음을 하였을 때 그 느낌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문장을 말할 때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으로 말을 하면서, 듣는 이로 하여금 문장을 끝까지 듣지 않으면 말하는 이의 뜻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에서는 꾸미는 말이 반드시 꾸미고자 하는 단어의 앞에 와야 하고, 대화를 이어감에 있어서 듣는 사람이 인지하고 있다면, 생략 역시 많은 부분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국어는 서술어로 많은 것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서술어는 생략이 안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어는 능동표현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피동적인 표현보다는 능동표현으로 많이 대화를 하며, 상황중심의 언어로서 결과보다는 상황을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어만이 가지는 경어는 우리의 문화를 잘 설명해주는 그러한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말하는 사람에 따라 서술어가 달라지고, 단어가 달라지고, 듣는 사람에 따라서도 대화는 서술어의 어미가 달라진다. 웃어른을 공경하는 우리나라의 예의범절을 나타내는 경어는 어디 내놓아도 자랑스러운 한국어만의 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처음보는 타인과의 만남에서 경어를 사용함으로서, 나이의 많고 적음의 유무를 떠나 상대방을 높여줌으로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대접은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라고 할 수 있겠다. 외국인들이 처음 한국어를 접했을 때 경어가 너무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들의 문화에는 없는 독특한 한국어만의 특성이기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외국인들이 한국의 문화와 한국어의 관계에 대하여 잘 이해하고 적재적소에 경어를 잘 사용한다면, 그들 역시 남을 배려하고 대접하는 우리의 문화를 이해할 것이라 생각한다. 상대방을 배려하고 대접하고 우대해 주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는 타인을 대하는 기본적인 매너라 생각한다. 그러한 면에서 보면 한국어의 이러한 특성들은 우리의 예의바른 문화를 잘나타내고 있다고 하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한국어의 특성/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교안/1주차 2차시pp.8-pp.15
한국어의 몇 가지 언어문화적 특성과 그 교육/김영기/새국어생활 제7권 pp.180-pp.192/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