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발동
(2). 발성
(3.) 조음모음
III. 결론
IV. 참고문헌
II. 본론
(1). 발동
(2). 발성
(3.) 조음모음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음은 자음과 달리 기류가 구강에서 어떤 방해도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 손상미, 한국어음운론 p.37
조음방법에는 마찰, 폐쇄, 유성음화 등이 있다. 마찰이란 성도에 좁은 틈을 만들어 그 사이로 날숨이 지나게 하여 내는 소리, 폐쇄는 성도를 일시적으로 막았다가 갑자기 개방하여 내는 소리, 유성음화란음소의 산출 시성대가 진동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로 /s/ /f/는마찰음, /p/, /t/는 폐쇄음, /d/, /b/는유성음이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모든음소는 두 가지 조음(말소리의 산출)의 차원이다. 즉조음방법과조음위치로 분류될 수 있는데조음위치란 말소리가 산출되는 성도(폐에서 나오는 숨[날숨]이 입이나 코로 나오기까지의 경로 부위를 말한다. 예로 /p/, /m/, /ㅂ/과 같은 것을 순음(입술소리)이라고 하는데, 이음소들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입술에서 날숨이 일단정지되어야 한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3. 결론
이와 같은 연구로 말소리 산출은 발동, 발성, 조음 모음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발동 과정은 말소리에 사용되는 기류의 생성. 기류 생성의 장소와 기류의 방향에 따라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발성은 발동 과정을 통해 생성된 기류는 성대에서 조절 작용을 거치게 되는데 유성음, 무성음, 성문 마찰음, 조음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음은 성대에서 입술에 이르는 발음 기관이 개별적 소리를 만들기 위해서 움직이는 현상이며 발동과 발성 과정을 통해 공급된 기류가 성도에서 조음 과정에 따라 다양한 소리로 완성된다. 이러한 조음 과정에 따라 말소리는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조음방법에는 마찰, 폐쇄, 유성음화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모든 음소는 조음방법과 조음 위치로 분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고에서는 말소리의 산출 과정을 발동, 발성, 조음 모음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말소리가 나는 과정은 발동에서 발성, 발성에서 조음으로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손상미, 한국어음운론 강의안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국어 문법, 천재교육 (http://www.chunjae.co.kr)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조음방법에는 마찰, 폐쇄, 유성음화 등이 있다. 마찰이란 성도에 좁은 틈을 만들어 그 사이로 날숨이 지나게 하여 내는 소리, 폐쇄는 성도를 일시적으로 막았다가 갑자기 개방하여 내는 소리, 유성음화란음소의 산출 시성대가 진동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로 /s/ /f/는마찰음, /p/, /t/는 폐쇄음, /d/, /b/는유성음이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모든음소는 두 가지 조음(말소리의 산출)의 차원이다. 즉조음방법과조음위치로 분류될 수 있는데조음위치란 말소리가 산출되는 성도(폐에서 나오는 숨[날숨]이 입이나 코로 나오기까지의 경로 부위를 말한다. 예로 /p/, /m/, /ㅂ/과 같은 것을 순음(입술소리)이라고 하는데, 이음소들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입술에서 날숨이 일단정지되어야 한다..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3. 결론
이와 같은 연구로 말소리 산출은 발동, 발성, 조음 모음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발동 과정은 말소리에 사용되는 기류의 생성. 기류 생성의 장소와 기류의 방향에 따라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발성은 발동 과정을 통해 생성된 기류는 성대에서 조절 작용을 거치게 되는데 유성음, 무성음, 성문 마찰음, 조음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조음은 성대에서 입술에 이르는 발음 기관이 개별적 소리를 만들기 위해서 움직이는 현상이며 발동과 발성 과정을 통해 공급된 기류가 성도에서 조음 과정에 따라 다양한 소리로 완성된다. 이러한 조음 과정에 따라 말소리는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조음방법에는 마찰, 폐쇄, 유성음화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모든 음소는 조음방법과 조음 위치로 분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고에서는 말소리의 산출 과정을 발동, 발성, 조음 모음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말소리가 나는 과정은 발동에서 발성, 발성에서 조음으로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손상미, 한국어음운론 강의안
천재학습백과 미리보는 중학 국어 문법, 천재교육 (http://www.chunjae.co.kr)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추천자료
[사투리][방언][지역어][지역방언]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사투리(방언)의 분화, 사투리(방...
[음성학][음성학 정의][음 분류][음성학 종류][영어 음성학][SPELLING AND SPEECH][국어 음성...
[한국어교육론] 한국어韓國語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뒤,...
[언어의 이해 1학년 D형] 인간언어의 음성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인간언어의 구조와 처리과정] 언어의 구조(음운론, 형태론-형태소, 통사론), 언어처리과정(...
[ 한국어음운론 ] 말소리의 산출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언어의이해 A형) 두뇌와 언어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시오
유아발달 ) 유아발달의 이론 중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해 각...
한국어음운론) 주차, 차시 강의주제에 대한 본인의견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