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동 과정
2. 발성 과정
3. 조음 과정
4. 참고문헌
2. 발성 과정
3. 조음 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할 수 있다. 자음의 체계 내부에도 분류가 존재한다. 공기의 흐름이 구강 내부의 중앙 통로, 즉 성도를 지나는 시점에서 특별히 방해가 일어나는 장소가 어디인가, 그리고 공기의 흐름이 성도를 지날 때 어떤 종류의 방해가 이루어지는가, 성도를 지나며 방해를 받을 때 공기의 흐름은 어떤 상태인가에 따라 자음은 또 여러 가지 소리로 구분된다. 반대로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구강 내부의 중앙 통로를 지나며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이다. 모음 역시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모음은 공기의 흐름이 구강 내부의 중앙 통로를 지날 때 성도가 어떤 모양으로 생겼는지에 따라 구분된다고 할 수 있다. 성도의 모양을 결정하는 발음 기관으로는 입술과 혀가 있다. 성도의 모양은 말소리를 낼 때 입술이 둥근 모양인가 아닌가, 혀가 입 천장에서 전후와 중앙 중에 어디에 있는가, 혀가 입 안에서 어느 정도의 높낮이에 있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에서 혀의 높낮이는 입을 어느 정도로 벌렸는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혀의 높낮이라는 기준은 입이 벌어진 정도라는 기준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4) 참고문헌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도서출판 박이정, 2015.
4) 참고문헌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도서출판 박이정,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