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연구모형의 설계
(2) 연구 가설
1) 지각된 품질과 이미지 특성의 관계
2) 지각된 가치와 이미지 특성의 관계
3) 충성도와 지각된 품질의 관계
4) 충성도와 지각된 가치의 관계
(3)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특성
I. 인구통계학적 특성
II. 조사대상자의 향수구매특성
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I. 이미지 특성
II. 향수와 가치와 품질
III. 향수의 구매 의도
IV. 설문지 구성의 신뢰도
3. 결론
4. 참고 문헌
2. 본론
(1) 연구모형의 설계
(2) 연구 가설
1) 지각된 품질과 이미지 특성의 관계
2) 지각된 가치와 이미지 특성의 관계
3) 충성도와 지각된 품질의 관계
4) 충성도와 지각된 가치의 관계
(3)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자의 특성
I. 인구통계학적 특성
II. 조사대상자의 향수구매특성
2)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I. 이미지 특성
II. 향수와 가치와 품질
III. 향수의 구매 의도
IV. 설문지 구성의 신뢰도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구매 의도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으로 이야기할 계획이다가 0.87, 앞으로도 계속 구매할 예정이다가 0.86, 미래에 다시 구매할 예정이다가 0.85, 남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할 계획이다가 0.84로 나왔다.
IV. 설문지 구성의 신뢰도 : 가설검정을 하려고 하는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의 정도와 방향을 파악하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했다. 전체 표본 252개에 대해 이미지 특성, 지각된 가치, 지각된 품질, 충성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변수들 사이에 상관계수는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다고 드러났다. 품질과 현대성의 상관계수는 0.405로 2 변수가 40.5%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고, 이미지 특성 간에 상관관계가 높다고 나타났다.
3) 가설의 검정
I. 품질에 이미지 특성이 미치는 영향 : 상쾌함과 낭만성이 유의확률 1% 미만이었다.
II. 가치에 이미지 특성이 미치는 영향 : 상쾌함과 현대성이 유의확률 1% 미만이었다.
III. 가치와 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둘 다 단순 회귀분석을 통해 가치가 높을수록, 품질이 높을수록 고객의 구매 의도도 높다고 관측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소비자가 생각하는 향수의 image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품질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알아보고 가치와 품질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파악함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했다. 최종 가설검정 결과 귀무가설이 기각된 항목은 가치와 품질 부분에 모두 자극성과 낭만성이었다. 조사대상의 소비자들은 자극성이 있는 향수를 선호하지 않았고 현대적이고 상쾌한 제품에서 고품질의 의미를 부여한다고 판단된다. 향수가 자극적일수록 가치를 못 느낀다고 나타나 조사대상의 소비자들은 자극적인 향수는 제품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고 상쾌하고 현대적인 제품에서 높은 가치를 느낀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향수를 제조하는 판매회사나 제조사는 향수의 제조와 판매를 위해 제품의 개발이나 customer communication strategy를 수립할 때 되도록 낭만적인 이미지를 지향하거나 자극적인 향의 concept보다는 현대적이고 상쾌한 느낌을 주는 concept를 개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가치와 품질을 지각할 수 있게끔 노력해야 한다.
참고 문헌
향수의 이미지 특성과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안채윤, 장성호,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년 7월 nanet.go.kr
IV. 설문지 구성의 신뢰도 : 가설검정을 하려고 하는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의 정도와 방향을 파악하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했다. 전체 표본 252개에 대해 이미지 특성, 지각된 가치, 지각된 품질, 충성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변수들 사이에 상관계수는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하다고 드러났다. 품질과 현대성의 상관계수는 0.405로 2 변수가 40.5%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고, 이미지 특성 간에 상관관계가 높다고 나타났다.
3) 가설의 검정
I. 품질에 이미지 특성이 미치는 영향 : 상쾌함과 낭만성이 유의확률 1% 미만이었다.
II. 가치에 이미지 특성이 미치는 영향 : 상쾌함과 현대성이 유의확률 1% 미만이었다.
III. 가치와 품질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둘 다 단순 회귀분석을 통해 가치가 높을수록, 품질이 높을수록 고객의 구매 의도도 높다고 관측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는 소비자가 생각하는 향수의 image 특성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지각된 가치와 지각된 품질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알아보고 가치와 품질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파악함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했다. 최종 가설검정 결과 귀무가설이 기각된 항목은 가치와 품질 부분에 모두 자극성과 낭만성이었다. 조사대상의 소비자들은 자극성이 있는 향수를 선호하지 않았고 현대적이고 상쾌한 제품에서 고품질의 의미를 부여한다고 판단된다. 향수가 자극적일수록 가치를 못 느낀다고 나타나 조사대상의 소비자들은 자극적인 향수는 제품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고 상쾌하고 현대적인 제품에서 높은 가치를 느낀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향수를 제조하는 판매회사나 제조사는 향수의 제조와 판매를 위해 제품의 개발이나 customer communication strategy를 수립할 때 되도록 낭만적인 이미지를 지향하거나 자극적인 향의 concept보다는 현대적이고 상쾌한 느낌을 주는 concept를 개발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가치와 품질을 지각할 수 있게끔 노력해야 한다.
참고 문헌
향수의 이미지 특성과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안채윤, 장성호, 건국대학교 휴먼이미지학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년 7월 nanet.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