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증가하는 경우: 응력이 클수록, 재하 기간이 클수록, 재하 속도고 빠를수록
W/C비가 클수록, 단위 시멘트 량이 많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우: 크리프의 강도가 클수록, 재령이 클수록, 철근비가 많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고온 증기 양생, 체적이 클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PSC 사용재료
- 고강도 콘크리트
- PS강선, PS강봉, PS강연선
그 밖의 시스, 정착장치, 그라우트
*프리 텐션방식: PS강선을 미리 긴장한 후 콘크리트 타설
*포스트 텐션방식: 시스관을 설치 한 후 콘크리트 타설 PS강선을 긴장 및 정착
*PSC 용어 정리
릴랙세이션: PS강재를 긴장한 후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인장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
인성: 파괴에 이르기까지 높은 응력에 견디며 큰 변형을 나타내는 재료의 성질
그라우트: 포스텐션 방식에서 시스 안의 구석구석 까지 몰탈을 주입하는 것
마찰감소재: 그리스, 파라핀, 왁스등 마찰감소재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
인장강도가 커야한다.
릴랙세이션이 작아야 한다.
신직성(직선성)이 좋아야 한다.
적당한 연성과 늘음이 있어야 한다.
어느 정도의 피로강도를 가져야 한다.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한다.
콘크리트와 부착강도가 커야 한다.
*강재의 단점
부식이 쉽다.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 발생
차량통행에 의한 소음 발생
강재 연결부위 완전한 강절 연결이나 단순 연결로 하기 어려워 구조해석 복잡
*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구조물로서 하중을 길이 방향의 지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
작용하는 단면력 중에서 휨모멘트가 가장 지배적, 휨에 대하여 우선적 설계
*기둥
부재의 높이가 부재 단면의 최소 치수의 3배 이상
슬래브나 보를 통해 전달된 상부 하중을 구조물의 기초에 전달해주는 역할
*기둥의 종류
띠철근 기둥: 축 방향 주철근을 띠철근으로 감은 형태
나선철근 기둥: 축 방향 주철근을 나선철근으로 감은 형태
합성기둥: 구조용 강재나 강관을 축 방향으로 보강한 기둥
*좌굴: 압축을 받는 부재가 압축력에 의해 부재 축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휘는 현상
*구조세목
단면최소치수
: 띠철근 기둥: 200 mm이상
: 나선철근 기둥: 심부지름 200mm 이상 (:나선철근 중심선이 그리는 원의 지름)
단면적
: 띠철근 기둥: 60,000㎟ 이상
축방향철근
: 띠철근 기둥의 축방향 철근: 지름은 16mm이상, 사각형 단면 4개 이상
: 나선철근 기둥의 축방향 철근: 지름은 16mm이상, 원형 단면 6개 이상
콘크리트 벽체나 교각 구조와 일체로 시공되는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 압축 부재 유효 단면 치수의 한계는 나선철근이나 띠철근 외측에서 40mm보다 크지 않게 취한다.
*기둥의 띠철근의 구조세목
D32 이하의 축방향 철근: D10 이상의 띠철근 사용
D35 이상의 축방향 철근: D13 이상의 띠철근 사용
*기둥 설계 원칙
구 분
(강도감소계수)
α
r (회전반경)
나선철근기둥
0.75
0.85
0.05 h
0.25 d
띠 철근기둥
0.70
0.80
0.10 h
0.30 h
*슬래브: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 모양의 구조물, 교량에서 직접 하중을 받는
바닥판이나 건물의 각층마다의 바닥판
-1슬래브: 교량과 같이 마주보는 두 변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단변에 대한
장변의 비가 2 이상, 주철근을 단변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
정면 방향에는 배력 철근을 배치
2슬래브: 장변과 단변의 비가 2보다 작으며, 주철근을 단변과 장변 방향,
즉 2방향으로 배치(4변 지지임)
*슬래브 두께: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주철근의 간격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간격
: 최대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300mm 이하
: 기타의 단면: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450mm 이하
*기초: 구조물에 작용하는 상부 하중과 자중을지지 지반에 전달
*확대 기초: 기둥, 교대, 교각, 벽 등에 작용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한 구조물
*확대기초 종류
독립 확대 기초: 한 개의 기둥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지지
벽 확대기초: 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포시키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기초
연결 확대 기초: 2개 이상의 기둥을 한 개의 확대 기초로 받치도록 만든 기초
캔틸레버 확대기초: 2개의 독립확대기초를 하나의 보로 연결한 기초
전면기초: 모든 기둥을 하나의 연속된 확대기초로 지지하는 것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
1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경우: 기둥 전면에서 d 만큼 떨어진 곳
2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경우: 기둥 전면에서 d/2 만큼 떨어진 곳
*옹벽: 비탈면에서 흙이 무너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 배후 토압에 대하여
옹벽의 자중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구조물
*옹벽의 종류
중력식 옹벽: 무근 콘크리트 벽체의 자중에 의하여 안정을 유지 높이 3m정도
캔틸레버 옹벽: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역 T 형 옹벽 높이 3~7m정도
뒷부벽식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옹벽으로 높이 7.5m 이상
앞부벽식 옹벽: 캔틸레버 옹벽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 앞부벽은 직사각형 보로 설계, 압축스트럿으로 작용, 옹벽 전면의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
*옹벽의 안정조건
① 전도에 대한 안정 ② 활동에 대한 안정 ③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옹벽의 구조세목
신축이음
: 부피의 변화에 대한 구조 해석을 한 경우에는 신축 이음을 두지 않고, 종방향 철근을 연속으로 배근할 수 있다.
: 옹벽의 연장이 30m 이상인 경우에 신축 이음을 두어 온도 변화와 지반의 부등침하에 대비한다. (단, 신축이음은 20m를 넘지 않는 간격으로 설치한다.)
: 콘크리트의 수화열, 온도 변화, 건조 수축, 등 부피의 변화에 대한 별도의 구조 해석을
하지 않은 경우 신축 이음 설치할 수 있다.
수축 및 온도 철근
: 지름이 16mm 이하인 이형 철근이고, 그 항복 강도가 400MPa 이상인 경우 0.0020
: 그 외 이형 철근에 대하여 0.0025
: 지름이 16mm 이하인 용접 철망에 대하여 0.0020
: 수평 철근의 간격은 벽체 두께의 3배 이하, 400mm 이하라야 한다.
(옹벽의 수축 및 온도 철근)
W/C비가 클수록, 단위 시멘트 량이 많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우: 크리프의 강도가 클수록, 재령이 클수록, 철근비가 많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고온 증기 양생, 체적이 클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PSC 사용재료
- 고강도 콘크리트
- PS강선, PS강봉, PS강연선
그 밖의 시스, 정착장치, 그라우트
*프리 텐션방식: PS강선을 미리 긴장한 후 콘크리트 타설
*포스트 텐션방식: 시스관을 설치 한 후 콘크리트 타설 PS강선을 긴장 및 정착
*PSC 용어 정리
릴랙세이션: PS강재를 긴장한 후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인장 응력이 감소하는 현상
인성: 파괴에 이르기까지 높은 응력에 견디며 큰 변형을 나타내는 재료의 성질
그라우트: 포스텐션 방식에서 시스 안의 구석구석 까지 몰탈을 주입하는 것
마찰감소재: 그리스, 파라핀, 왁스등 마찰감소재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
인장강도가 커야한다.
릴랙세이션이 작아야 한다.
신직성(직선성)이 좋아야 한다.
적당한 연성과 늘음이 있어야 한다.
어느 정도의 피로강도를 가져야 한다.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커야 한다.
콘크리트와 부착강도가 커야 한다.
*강재의 단점
부식이 쉽다.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 발생
차량통행에 의한 소음 발생
강재 연결부위 완전한 강절 연결이나 단순 연결로 하기 어려워 구조해석 복잡
*보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구조물로서 하중을 길이 방향의 지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
작용하는 단면력 중에서 휨모멘트가 가장 지배적, 휨에 대하여 우선적 설계
*기둥
부재의 높이가 부재 단면의 최소 치수의 3배 이상
슬래브나 보를 통해 전달된 상부 하중을 구조물의 기초에 전달해주는 역할
*기둥의 종류
띠철근 기둥: 축 방향 주철근을 띠철근으로 감은 형태
나선철근 기둥: 축 방향 주철근을 나선철근으로 감은 형태
합성기둥: 구조용 강재나 강관을 축 방향으로 보강한 기둥
*좌굴: 압축을 받는 부재가 압축력에 의해 부재 축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휘는 현상
*구조세목
단면최소치수
: 띠철근 기둥: 200 mm이상
: 나선철근 기둥: 심부지름 200mm 이상 (:나선철근 중심선이 그리는 원의 지름)
단면적
: 띠철근 기둥: 60,000㎟ 이상
축방향철근
: 띠철근 기둥의 축방향 철근: 지름은 16mm이상, 사각형 단면 4개 이상
: 나선철근 기둥의 축방향 철근: 지름은 16mm이상, 원형 단면 6개 이상
콘크리트 벽체나 교각 구조와 일체로 시공되는 나선철근 또는 띠철근 압축 부재 유효 단면 치수의 한계는 나선철근이나 띠철근 외측에서 40mm보다 크지 않게 취한다.
*기둥의 띠철근의 구조세목
D32 이하의 축방향 철근: D10 이상의 띠철근 사용
D35 이상의 축방향 철근: D13 이상의 띠철근 사용
*기둥 설계 원칙
구 분
(강도감소계수)
α
r (회전반경)
나선철근기둥
0.75
0.85
0.05 h
0.25 d
띠 철근기둥
0.70
0.80
0.10 h
0.30 h
*슬래브: 두께에 비하여 폭이 넓은 판 모양의 구조물, 교량에서 직접 하중을 받는
바닥판이나 건물의 각층마다의 바닥판
-1슬래브: 교량과 같이 마주보는 두 변에 의해 지지되는 슬래브 단변에 대한
장변의 비가 2 이상, 주철근을 단변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
정면 방향에는 배력 철근을 배치
2슬래브: 장변과 단변의 비가 2보다 작으며, 주철근을 단변과 장변 방향,
즉 2방향으로 배치(4변 지지임)
*슬래브 두께: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주철근의 간격
정철근과 부철근의 중심간격
: 최대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300mm 이하
: 기타의 단면: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450mm 이하
*기초: 구조물에 작용하는 상부 하중과 자중을지지 지반에 전달
*확대 기초: 기둥, 교대, 교각, 벽 등에 작용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한 구조물
*확대기초 종류
독립 확대 기초: 한 개의 기둥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지지
벽 확대기초: 벽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포시키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만들어진 기초
연결 확대 기초: 2개 이상의 기둥을 한 개의 확대 기초로 받치도록 만든 기초
캔틸레버 확대기초: 2개의 독립확대기초를 하나의 보로 연결한 기초
전면기초: 모든 기둥을 하나의 연속된 확대기초로 지지하는 것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
1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경우: 기둥 전면에서 d 만큼 떨어진 곳
2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경우: 기둥 전면에서 d/2 만큼 떨어진 곳
*옹벽: 비탈면에서 흙이 무너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 배후 토압에 대하여
옹벽의 자중으로 안정을 유지하는 구조물
*옹벽의 종류
중력식 옹벽: 무근 콘크리트 벽체의 자중에 의하여 안정을 유지 높이 3m정도
캔틸레버 옹벽: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역 T 형 옹벽 높이 3~7m정도
뒷부벽식 옹벽: 옹벽의 높이가 커짐에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부벽을 설치하여
보강한 옹벽으로 높이 7.5m 이상
앞부벽식 옹벽: 캔틸레버 옹벽의 전면에 일정한 간격의 부벽을 설치, 앞부벽은 직사각형 보로 설계, 압축스트럿으로 작용, 옹벽 전면의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
*옹벽의 안정조건
① 전도에 대한 안정 ② 활동에 대한 안정 ③ 지반 지지력에 대한 안정
*옹벽의 구조세목
신축이음
: 부피의 변화에 대한 구조 해석을 한 경우에는 신축 이음을 두지 않고, 종방향 철근을 연속으로 배근할 수 있다.
: 옹벽의 연장이 30m 이상인 경우에 신축 이음을 두어 온도 변화와 지반의 부등침하에 대비한다. (단, 신축이음은 20m를 넘지 않는 간격으로 설치한다.)
: 콘크리트의 수화열, 온도 변화, 건조 수축, 등 부피의 변화에 대한 별도의 구조 해석을
하지 않은 경우 신축 이음 설치할 수 있다.
수축 및 온도 철근
: 지름이 16mm 이하인 이형 철근이고, 그 항복 강도가 400MPa 이상인 경우 0.0020
: 그 외 이형 철근에 대하여 0.0025
: 지름이 16mm 이하인 용접 철망에 대하여 0.0020
: 수평 철근의 간격은 벽체 두께의 3배 이하, 400mm 이하라야 한다.
(옹벽의 수축 및 온도 철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