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서 론
2.본 론
Ⅰ.국제 표준화 기구의 현황
◎ISO
◎ITU
◎ISO/IEC JTC
Ⅱ.해외 표준화 기구의 현황
1)미국표준화 기구의 현황
◎T1
◎ANSI
◎IEEE
◎NIST
2)유럽 표준화 기구의 현황
◎ETSI
◎CENELEC
◎CEN
3)일본 표준화 기구의 현황
◎TTC
4)국내 표준화 기구의 현황
◎한국전산원
Ⅲ 기타 표준화기관의 현황
◎SA
3결론
1.서 론
2.본 론
Ⅰ.국제 표준화 기구의 현황
◎ISO
◎ITU
◎ISO/IEC JTC
Ⅱ.해외 표준화 기구의 현황
1)미국표준화 기구의 현황
◎T1
◎ANSI
◎IEEE
◎NIST
2)유럽 표준화 기구의 현황
◎ETSI
◎CENELEC
◎CEN
3)일본 표준화 기구의 현황
◎TTC
4)국내 표준화 기구의 현황
◎한국전산원
Ⅲ 기타 표준화기관의 현황
◎SA
3결론
본문내용
를 위한 국산기기의 보급 촉진
- 국산주전산기 관련기술 등 첨단 응용기술의 개발 및 보급
- 전산망 보안관련 기술 및 표준의 개발
ㅇ 우리나라 정보통신 기반구축모델 정립을 위한 조사연구(정보통신연구관리단)
2.한국전산원의 표준화정책 및 향후 전망
2.1국내외 표준화 활동 현황
NCA는 현재, 웹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개방형시스템 표준화를 중심으로 한 Open Group, 전자거래 표준화를 중심으로 한 OASIS (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등 관련 국제 표준화 기구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국제표준화동향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함과 동시에 국내의 표준화활동을 국외에 널리 소개하기 위한 활동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NCA는 지속적으로 각 기구의 표준화회의에 참석하고 있고, 관련 컨퍼런스를 국내에서 개최하는 등 국내 표준화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2.2표준화 추진전략
국가 정보화를 위한 NCA의 표준화 활동은 다음의 네 가지 주요 추진전략에 기반을 두고 수행되고 있다.
정보기술 표준분야의 선택과 집중
정보화시대는 공업화시대와는 달리 제품 및 기술의 생명주기가 짧고, 다양한 기술이 혼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다른 기관(혹은 국가)와 견주어 비교 우위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표준화분야를 선정하여 집중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NCA는 정보통신 요소기술표준보다는 공공정보화사업에 적용하는 응용기술표준에 중점을 맞추어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다.
■ 표준의 활용촉진
표준은 궁긍적으로 제품화되고 이용되어야 그 기능이 발휘된다. 그렇게 되려면 개발된 제품이 이용상의 문제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적합성시험 등의 제도를 조속히 정착시켜 적용할 필요가 있다. NCA는 공공분야 정보화사업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기술정책 수립과 기술지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결과는 향후 공공 정보화사업의 과제도출을 이끌어낼 수 있다.
■ 외부전문가와의 파트너쉽 강화
표준화회의에서 논의된 사항은 대부분 산업체의 생산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산업체들은 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는 데 여러 가지 여건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각 분야의 전문가는 표준화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 가운데 주요 내용을 관련 산업계에 전달하는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해야 하고, 산업계 스스로도 관련 표준화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NCA는 연구기관 및 대학에 종사하는 전문가들과 제품을 개발하는 산업체들과 함께, 외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협조체계를 이루어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 표준자료의 효과적인 관리와 배포
표준관련 자료의 이용자가 필요할 때 항시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와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웹이나, 기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표준을 접할 수 있도록 편리성, 용이성 등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NCA는 표준화연구활동을 통해 산출된 결과물을 CD와 보고서 형태로 외부에 배포하고 있으며, 현재 곧 오픈 할 정보화표준 홈페이지를 통해 약 500여건의 국내외 표준들의 요약정보(표준 프로파일)를 제공할 예정이다.
Ⅲ 기타 표준화기관의 현황
◎SA=Standard Australia(Australia's 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1. 주요 업무
ㅇ 협의 및 합의 등의 공개적인 절차를 통한 표준 개발
- 현재 약 6,000개의 표준을 개발하고, 1,800개의 기술위원회에 속해 있는
10,000명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유지보수되어지고 있음
ㅇ 두 개의 국제 표준화 기관인 ISO와 IEC에서 호주 대표기구로서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ㅇ Standards New Zealand와 공동 표준을 개발 및 제정하기 위해 긴밀한 관계 유지
ㅇ PASC(Pacific Asia Standards Conference)의 주요 회원으로서, 비서기구의 역할 수행
ㅇ 표준화 관련 교육
Ⅳ.결론
ⅰ.중점 표준화 추진과제 선정 및 추진
정보통신의 고도화, 세계화, 경제의 활발화 그리고 사실표준(De facto)의 대두 등이 급속히 진전되는 가운데, 정보통신분야의 상호접속성, 상호운용성의 확보,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국제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우리의 이익이 대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한정된 인원과 자원으로는 방대한 표준화 활동에 모두 참여하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향후 중점적으로 표준화를 추진해야 할 분야와 표준화과제를 명확히 하고 전 국가적으로 적극적인 표준화 추진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그간 전기통신과 정보통신으로 나뉘어 추진되던 국제표준화 활동이 이제는 그 영역의 한계가 점차 불분명하여지고, 각 기관간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공동의 표준화를 진행하는 등 많은 부분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술현황을 파악하여, 국제적인 보조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
ⅱ.국가정책으로 표준화활동 추진
정보통신이 세계화됨에 따라 각국의 경제활동의 자유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공개 경쟁시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국제표준의 준거"가 강력히 요구되어 "표준"이 갖는 새로운 측면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같이 국제표준화를 지향한 활동을 연구개발단계부터 보다 일체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하여 미래를 직시한 산업육성 또는 새로운 산업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정부로서는 중요기술분야의 표준화에 직결되는 연구개발을 보다 전략적으로 추진하여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술을 육성하기 위해 세제지원 및 자금지원 등과 같은 지원제도의 도입 등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양천석 김영문 공저. 삼경 문화사)
정보통신 개론(김호경 박성태 공저.생농 출판사)
전자상거래 관리사(안성진 이요섭.한국전자거래 협회)
전자상거래 기술자격(한국정보통신 진흥협회/정보통신 기술자격 위원회 편.박문각)
- 국산주전산기 관련기술 등 첨단 응용기술의 개발 및 보급
- 전산망 보안관련 기술 및 표준의 개발
ㅇ 우리나라 정보통신 기반구축모델 정립을 위한 조사연구(정보통신연구관리단)
2.한국전산원의 표준화정책 및 향후 전망
2.1국내외 표준화 활동 현황
NCA는 현재, 웹기반 기술을 중심으로 한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개방형시스템 표준화를 중심으로 한 Open Group, 전자거래 표준화를 중심으로 한 OASIS (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등 관련 국제 표준화 기구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국제표준화동향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함과 동시에 국내의 표준화활동을 국외에 널리 소개하기 위한 활동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NCA는 지속적으로 각 기구의 표준화회의에 참석하고 있고, 관련 컨퍼런스를 국내에서 개최하는 등 국내 표준화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2.2표준화 추진전략
국가 정보화를 위한 NCA의 표준화 활동은 다음의 네 가지 주요 추진전략에 기반을 두고 수행되고 있다.
정보기술 표준분야의 선택과 집중
정보화시대는 공업화시대와는 달리 제품 및 기술의 생명주기가 짧고, 다양한 기술이 혼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다른 기관(혹은 국가)와 견주어 비교 우위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표준화분야를 선정하여 집중 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NCA는 정보통신 요소기술표준보다는 공공정보화사업에 적용하는 응용기술표준에 중점을 맞추어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다.
■ 표준의 활용촉진
표준은 궁긍적으로 제품화되고 이용되어야 그 기능이 발휘된다. 그렇게 되려면 개발된 제품이 이용상의 문제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적합성시험 등의 제도를 조속히 정착시켜 적용할 필요가 있다. NCA는 공공분야 정보화사업의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해 기술정책 수립과 기술지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무결과는 향후 공공 정보화사업의 과제도출을 이끌어낼 수 있다.
■ 외부전문가와의 파트너쉽 강화
표준화회의에서 논의된 사항은 대부분 산업체의 생산기술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산업체들은 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는 데 여러 가지 여건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각 분야의 전문가는 표준화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 가운데 주요 내용을 관련 산업계에 전달하는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해야 하고, 산업계 스스로도 관련 표준화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NCA는 연구기관 및 대학에 종사하는 전문가들과 제품을 개발하는 산업체들과 함께, 외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상호 협조체계를 이루어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 표준자료의 효과적인 관리와 배포
표준관련 자료의 이용자가 필요할 때 항시 이용할 수 있도록 모든 자료의 체계적인 정리와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웹이나, 기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시간에 표준을 접할 수 있도록 편리성, 용이성 등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NCA는 표준화연구활동을 통해 산출된 결과물을 CD와 보고서 형태로 외부에 배포하고 있으며, 현재 곧 오픈 할 정보화표준 홈페이지를 통해 약 500여건의 국내외 표준들의 요약정보(표준 프로파일)를 제공할 예정이다.
Ⅲ 기타 표준화기관의 현황
◎SA=Standard Australia(Australia's 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1. 주요 업무
ㅇ 협의 및 합의 등의 공개적인 절차를 통한 표준 개발
- 현재 약 6,000개의 표준을 개발하고, 1,800개의 기술위원회에 속해 있는
10,000명의 전문가들에 의해서 유지보수되어지고 있음
ㅇ 두 개의 국제 표준화 기관인 ISO와 IEC에서 호주 대표기구로서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ㅇ Standards New Zealand와 공동 표준을 개발 및 제정하기 위해 긴밀한 관계 유지
ㅇ PASC(Pacific Asia Standards Conference)의 주요 회원으로서, 비서기구의 역할 수행
ㅇ 표준화 관련 교육
Ⅳ.결론
ⅰ.중점 표준화 추진과제 선정 및 추진
정보통신의 고도화, 세계화, 경제의 활발화 그리고 사실표준(De facto)의 대두 등이 급속히 진전되는 가운데, 정보통신분야의 상호접속성, 상호운용성의 확보,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국제표준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우리의 이익이 대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한정된 인원과 자원으로는 방대한 표준화 활동에 모두 참여하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서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향후 중점적으로 표준화를 추진해야 할 분야와 표준화과제를 명확히 하고 전 국가적으로 적극적인 표준화 추진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그간 전기통신과 정보통신으로 나뉘어 추진되던 국제표준화 활동이 이제는 그 영역의 한계가 점차 불분명하여지고, 각 기관간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공동의 표준화를 진행하는 등 많은 부분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기술현황을 파악하여, 국제적인 보조를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
ⅱ.국가정책으로 표준화활동 추진
정보통신이 세계화됨에 따라 각국의 경제활동의 자유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공개 경쟁시장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국제표준의 준거"가 강력히 요구되어 "표준"이 갖는 새로운 측면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같이 국제표준화를 지향한 활동을 연구개발단계부터 보다 일체적이고 전략적으로 추진하여 미래를 직시한 산업육성 또는 새로운 산업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정부로서는 중요기술분야의 표준화에 직결되는 연구개발을 보다 전략적으로 추진하여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술을 육성하기 위해 세제지원 및 자금지원 등과 같은 지원제도의 도입 등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크(양천석 김영문 공저. 삼경 문화사)
정보통신 개론(김호경 박성태 공저.생농 출판사)
전자상거래 관리사(안성진 이요섭.한국전자거래 협회)
전자상거래 기술자격(한국정보통신 진흥협회/정보통신 기술자격 위원회 편.박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