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본인의 숨긴 영역을 보여줌), 본인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던 자신의 성격을 보이지 않는 창 영역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인지함으로써 가능케 할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조하리의 창 이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해 보았다. 조하리의 창 이론은 크게 네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열린 창과 숨겨진 창, 보이지 않는 창, 미지의 창으로 나뉜다고 이야기했다. 조하리의 창은 상대방과 본인이 낱말 더미에서 상대방과 본인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단어들을 각각 선택함으로써 상대방과 본인이 고른 낱말 더미의 교집합이나 차집합을 통해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상대방과 본인이 선택한 낱말 더미의 교집합은 공개 창 영역에 해당하며, 본인은 선택하였지만 상대방은 선택하지 않은 것은 숨겨진 창, 상대방은 선택하였지만 본인은 선택하지 않은 것은 보이지 않는 창, 그리고 두 사람이 모두 선택하지 않은 것은 미지의 창에 해당한다. 이 네 구역의 넓이에 따라 각자 다른 성향이 될 수 있기에 기업에서 적절한 인사 배치에 활용하거나 개인 차원에서 참고하기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사회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격, 두산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내가 아는 나와 남이 아는 나, 조하리의 창, 전형진, 정신의학신문, 2023.03.28.,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4257
4개의 창으로 상대방과의 관계를 가늠한다, 김민주,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위즈덤하우스, 2011.
조하리 창,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 결론
지금까지 조하리의 창 이론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설명해 보았다. 조하리의 창 이론은 크게 네 가지 영역으로 나뉘어 있으며, 열린 창과 숨겨진 창, 보이지 않는 창, 미지의 창으로 나뉜다고 이야기했다. 조하리의 창은 상대방과 본인이 낱말 더미에서 상대방과 본인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하는 단어들을 각각 선택함으로써 상대방과 본인이 고른 낱말 더미의 교집합이나 차집합을 통해 의미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상대방과 본인이 선택한 낱말 더미의 교집합은 공개 창 영역에 해당하며, 본인은 선택하였지만 상대방은 선택하지 않은 것은 숨겨진 창, 상대방은 선택하였지만 본인은 선택하지 않은 것은 보이지 않는 창, 그리고 두 사람이 모두 선택하지 않은 것은 미지의 창에 해당한다. 이 네 구역의 넓이에 따라 각자 다른 성향이 될 수 있기에 기업에서 적절한 인사 배치에 활용하거나 개인 차원에서 참고하기 좋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사회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격, 두산백과, 두산백과 두피디아
내가 아는 나와 남이 아는 나, 조하리의 창, 전형진, 정신의학신문, 2023.03.28.,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4257
4개의 창으로 상대방과의 관계를 가늠한다, 김민주, 시장의 흐름이 보이는 경제 법칙 101, 위즈덤하우스, 2011.
조하리 창,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추천자료
[인간관계론 4학년] 1.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0점).
인간관계론 , 1.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0점). 2. 조해리(Joha...
[2021 인간관계론][기말시험][출처표기] 1.고프만(E. Goffman)이 제시한 개념인 역할소원(rol...
인간관계론 ) 갈등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하여 기술하고 갈등의 순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사...
인간관계론 ) 조해리(Johari) 창문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고 개방영역을 넓히기 위해 필요한...
1. 부적응적인 인간관계의 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10점). 2. 조해리(Johari) 창문의 네 가...
[인간관계론] 조하리(Johari) 창문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하고 각 영역과 관련한 인간 유형에...
죠하리(Johari) 창문의 네 가지 영역을 제시하고 각 영역과 관련한 인간 유형에 대하여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