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심리학) 기업, 학교, 온라인 등 본인이 받았던 교육이나 훈련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 후 직접 평가 해보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심리학) 기업, 학교, 온라인 등 본인이 받았던 교육이나 훈련 사례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 후 직접 평가 해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Kirkpatrick의 교육훈련 평가 모형
2.2 교육에 대한 평가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기적으로 교육 도움을 받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교육에 대한 더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니즈에 맞게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를 높이기 위해서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강사의 자질, 커리큘럼, 교육방식, 그리고 후속 대처 등이 있으며, 본인이 평가하였던 교육의 경우 강사의 자질과 커리큘럼, 교육 방식 등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준 편이다. 그러나 교육 후 후속 대처에 대해 아쉬움이 남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피드백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단기간의 교육이 끝났다고 하여 그것만으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닌, 교육 후 학습자가 현장에 투입되었을 때 잘 적용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후속 처리를 위해서 연락망 마련, 주기적인 학습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피드백 공간 마련 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를 마련할 경우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3. 결론
본 보고서에서는 본인이 받았던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직접 평가를 진행한 후, 이에 대해 더 높은 평가를 받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보고서에서 활용된 평가 기준은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 모형으로 “반응, 학습, 행동, 결과 평가”를 통해 교육 진행~약 1년간의 장기적인 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하는 방법이었다. 평가 결과, 단순히 교육만을 진행한 것이 아닌 조직원과의 결속력을 다질 수 있는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에 업무 능률 및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었고, 이것으로 인해 회사 측면에서는 생산성의 증가라는 결과를 얻었다는 이점이 있었다.
하지만 교육 후 피드백을 마련할 수 있는 연락망, 자리 등이 없었기 때문에 부족함이 있을 때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아쉽다는 평가를 하였으며, 그렇기 때문에 후속 대처에 대해 마련을 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효과적으로 교육을 진행하게 될 경우, 학습자의 성과는 회사의 생산성 향상, 이익 등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김영희, (2016). 재난안전 전문교육의 효과성 연구 : 민간 전문가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www.riss.kr/link?id=T13975918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52
  • 가격2,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16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