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2) 각 단계별 하인츠의 딜레마에 대한 반응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2) 각 단계별 하인츠의 딜레마에 대한 반응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부인의 생명을 위해 훔치는 것이 옳고, 실형을 받고 이 후 아내와 함께 살면 크게 괴로운 일이 아니라고 보게 되는 것이다.
인습수준인 3단계로 본다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개인적 관점을 취하게 되는데 공유된 감정이나 협약, 기대에 대해 의식하게 되면서 개인의 이익보다 더 우세하게 되는데 가까운 관계를 맺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거나 도와서 착한 사람으로 인정받는 것이 옳다고 보는 것으로 약을 훔치는 하인츠가 옳다고 본다. 4단계에서는 사회적 관점과 개인 간 협약이나 동기가 구별되는데 체계적 관점을 취하면서 개인의 관계를 고려하게 된다. 재산의 보호보다 생명 존중의 상위 도덕법을 택해 재산을 훔치는 것이 옳지 않으나 인간의 생명이 걸려있어 약을 훔치는 것이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후인습수준인 5단계에서는 개인의 가치와 권리가 사회보다 더 우선시되는데 법으로는 정당한 재산을 훔치는 것이 금지되지만 하인츠 딜레마와 같은 상황이 고려되지 않았고, 법이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보호하지 못했으므로 하인츠가 약을 훔치는 것 자체가 정당화 될 수 있으며 생명의 가치가 개인의 재산의 가치보다 더 우선된다고 본다. 6단계에서는 타인이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존중되는 기본 도덕적인 전제를 인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개인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도덕적으로 볼 때 약을 훔칠 수 밖에 없다고 보며, 생명과 개인의 기본권을 법에 의해 보장받지 못하고 그 원리를 확보하기 위해 법을 위반할 수 있다고 본다.
3. 결론
우리 사회가 도덕 불감증으로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것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못하는 인간성 상실 시대가 되고 있으며, 명뿐만 강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행동도 바람직하지 않으나 도덕 원칙을 무시하고 눈 앞의 이익에만 집착하는 것이 큰 잘못이라고 본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하인츠의 딜레마를 통해 각 단계별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에 대해 살펴보고 도덕성 성장을 위해 딜레마를 활용하여 도덕성 발달의 효과를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4. 참고문헌
김경미.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서울
http://www.riss.kr/link?id=T10075829
김은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울산
http://www.riss.kr/link?id=T11044709
인습수준인 3단계로 본다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개인적 관점을 취하게 되는데 공유된 감정이나 협약, 기대에 대해 의식하게 되면서 개인의 이익보다 더 우세하게 되는데 가까운 관계를 맺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거나 도와서 착한 사람으로 인정받는 것이 옳다고 보는 것으로 약을 훔치는 하인츠가 옳다고 본다. 4단계에서는 사회적 관점과 개인 간 협약이나 동기가 구별되는데 체계적 관점을 취하면서 개인의 관계를 고려하게 된다. 재산의 보호보다 생명 존중의 상위 도덕법을 택해 재산을 훔치는 것이 옳지 않으나 인간의 생명이 걸려있어 약을 훔치는 것이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후인습수준인 5단계에서는 개인의 가치와 권리가 사회보다 더 우선시되는데 법으로는 정당한 재산을 훔치는 것이 금지되지만 하인츠 딜레마와 같은 상황이 고려되지 않았고, 법이 인간의 기본적 권리를 보호하지 못했으므로 하인츠가 약을 훔치는 것 자체가 정당화 될 수 있으며 생명의 가치가 개인의 재산의 가치보다 더 우선된다고 본다. 6단계에서는 타인이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존중되는 기본 도덕적인 전제를 인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개인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도덕적으로 볼 때 약을 훔칠 수 밖에 없다고 보며, 생명과 개인의 기본권을 법에 의해 보장받지 못하고 그 원리를 확보하기 위해 법을 위반할 수 있다고 본다.
3. 결론
우리 사회가 도덕 불감증으로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것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못하는 인간성 상실 시대가 되고 있으며, 명뿐만 강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행동도 바람직하지 않으나 도덕 원칙을 무시하고 눈 앞의 이익에만 집착하는 것이 큰 잘못이라고 본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하인츠의 딜레마를 통해 각 단계별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에 대해 살펴보고 도덕성 성장을 위해 딜레마를 활용하여 도덕성 발달의 효과를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4. 참고문헌
김경미.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서울
http://www.riss.kr/link?id=T10075829
김은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울산
http://www.riss.kr/link?id=T11044709
추천자료
7차 도덕과 교육과정 성격
[콜버그]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과 시사점 및 비판
도덕성발달이론(콜버그이론) 특징과 원리, 도덕성발달이론(콜버그이론) 발달단계와 내용, 도...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교육심리학 2016] 1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 시사점 2 ...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과제]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外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과 교육적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