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개에서 최대 8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장소, 출발점, 근거, 배경, 기준점, 주어표지로 정리할 수 있다. ‘-에서’의 의미 기능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장소의 경우 주로 동작 동사와 쓰이면서 어떤 행위와 동작에 대한 장소를 의미한다.
예시) 보통 오후에는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해요.
이 에시를 살펴보면 아르바이트를 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편의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쩨 출발점의 경우는 그 대상이 어떤 행위 혹은 상태에서 출발점 혹은 시작점에 서 있음을 나타내는데 구체적인 장소 혹은 추상적인 대상에서 그 상황이 시작될 수 있는 출발점 혹은 근원이나 출처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이 더 나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시) 서울에서 많은 친구들이 내려왔다. / 집에서 가면 얼마나 걸릴까요?
이 예시를 통해서 출발지가 서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집에서 출발해서 갈 때 걸리는 시간이 얼마인가에 대해서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근거의 경우 행위의 근거 혹은 이유를 나타내는데 예시를 통해 살펴보면 고마운 마음이나 걱정하고 있는 마음이 근거나 동기가 되어 일어난 일에 대해 행위가 있었음을 의미하게 된다.
예시) 고마운 마음에서 작은 선물을 준비했는데 거절하지 말고 받아주세요. 걱정하는 마음에서 충고해주신 것 감사해요.
네 번째로 배경은 선행 명사가 뒤로 이어지는 내용에 대해 공간적인 배경과 범위로 작용할 수 있다.
예시) 우리 반에서 수영이는 가장 춤을 잘 춰요. /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물은 바로 롯데타워에요.
예시에서 우리나라라는 배경 속 가장 아름다운 건물은 롯데타워라고 말하고 있으며, 우리 반이라는 범위 속 가장 춤을 잘 추는 사람은 수영이가 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 기준점의 경우 비교의 기준을 의미하는데 ‘-보다’ 혹은 ‘-에서보다’와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시) 여기에서 더 나빠질 것은 없을거야 / 너가 키가 작다고 하더라도 표준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을거야
너의 키가 다른 사람과 비교하더라도 표준보다 많이 작지 않고, 지금 상황에 비해 더 나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여섯 번째로 단체 명사 주어 표지로는 단체명사 뒤에서 붙어 그 단체 명사가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주격조사 역할을 할 수 있는 표지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예시) 다음주에 우리 학교에서 수학여행을 간다 / 정부에서 의뢰한 여론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본 예시를 통해서 다음주에 수학여행을 가는 행위의 주체는 학교가 되고, 여론조사에 대해 의뢰한 주체는 정부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일을 실시하는 주체는 개인보다 단체라는 것을 강조할 때 단체명사 뒤에 붙어 사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지영. \"한·중 대조분석을 통한 한국어 부사격조사 교수방안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서울
http://www.riss.kr/link?id=T14901765
첫 번째 장소의 경우 주로 동작 동사와 쓰이면서 어떤 행위와 동작에 대한 장소를 의미한다.
예시) 보통 오후에는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해요.
이 에시를 살펴보면 아르바이트를 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장소는 편의점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쩨 출발점의 경우는 그 대상이 어떤 행위 혹은 상태에서 출발점 혹은 시작점에 서 있음을 나타내는데 구체적인 장소 혹은 추상적인 대상에서 그 상황이 시작될 수 있는 출발점 혹은 근원이나 출처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이 더 나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시) 서울에서 많은 친구들이 내려왔다. / 집에서 가면 얼마나 걸릴까요?
이 예시를 통해서 출발지가 서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집에서 출발해서 갈 때 걸리는 시간이 얼마인가에 대해서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근거의 경우 행위의 근거 혹은 이유를 나타내는데 예시를 통해 살펴보면 고마운 마음이나 걱정하고 있는 마음이 근거나 동기가 되어 일어난 일에 대해 행위가 있었음을 의미하게 된다.
예시) 고마운 마음에서 작은 선물을 준비했는데 거절하지 말고 받아주세요. 걱정하는 마음에서 충고해주신 것 감사해요.
네 번째로 배경은 선행 명사가 뒤로 이어지는 내용에 대해 공간적인 배경과 범위로 작용할 수 있다.
예시) 우리 반에서 수영이는 가장 춤을 잘 춰요. /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물은 바로 롯데타워에요.
예시에서 우리나라라는 배경 속 가장 아름다운 건물은 롯데타워라고 말하고 있으며, 우리 반이라는 범위 속 가장 춤을 잘 추는 사람은 수영이가 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 기준점의 경우 비교의 기준을 의미하는데 ‘-보다’ 혹은 ‘-에서보다’와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시) 여기에서 더 나빠질 것은 없을거야 / 너가 키가 작다고 하더라도 표준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을거야
너의 키가 다른 사람과 비교하더라도 표준보다 많이 작지 않고, 지금 상황에 비해 더 나빠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고자 했다고 볼 수 있다.
여섯 번째로 단체 명사 주어 표지로는 단체명사 뒤에서 붙어 그 단체 명사가 문장에서 주어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주격조사 역할을 할 수 있는 표지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예시) 다음주에 우리 학교에서 수학여행을 간다 / 정부에서 의뢰한 여론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본 예시를 통해서 다음주에 수학여행을 가는 행위의 주체는 학교가 되고, 여론조사에 대해 의뢰한 주체는 정부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일을 실시하는 주체는 개인보다 단체라는 것을 강조할 때 단체명사 뒤에 붙어 사용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지영. \"한·중 대조분석을 통한 한국어 부사격조사 교수방안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서울
http://www.riss.kr/link?id=T14901765
추천자료
의존명사의 유형분류 및 의미
(생활속의언어)2010년 1월 1일 이후의 신문을 대상으로 표제어의 언어의 특징을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 조사{이 가}와{은 는} 교육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 연결어...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어 조사...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방안 연구 ‘-고’와 ‘-아서-어서’를...
[한국어교육학개론 4학년 공통] 문법 교수 모형 중 PPP 모형과 TTT 모형을 설명하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의 조사 중에서 초급 학습자들이 가장 먼저 학습해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