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거시경제론) 다음 보기의 요인들에 따라 경제의 단기 균형과 장기 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통해 그림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거시경제론) 다음 보기의 요인들에 따라 경제의 단기 균형과 장기 균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통해 그림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로, 총공급(AS)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생산능력의 한계로 인해 장기 총공급(ASLR) 곡선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 수준만 더욱 상승하게 되고, GDP는 ASLR 위치에 근접하게 된다.
미래 경제여건 악화에 따른 투자의 기대수익률 하락(5점)
- 단기적 변화: 기대수익률의 하락은 투자 감소를 초래한다. 이로 인해 총수요(AD)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단기 균형점에서 가격 수준과 GDP 모두 감소한다.
- 장기적 변화: 투자의 감소는 장기적인 생산능력 또한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기 총공급(LRAS) 곡선도 왼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오른쪽 그림은 강의자료에 맞는 그림이 없어서 임의로 넣은 것이다. 오른쪽 그림과는 반대방향으로 ASLR이 움직인다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 장기적인 균형점에서 GDP는 더욱 감소하고, 가격 수준은 초기의 변화에 따라 상승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3. 어떤 경제의 조세는 정액세이고 투자와 순수출은 모두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물가수준 역시 현재 수준에서 고정되어 있다고 한다. 한계소비성향이 0.75인 이 경제의 균형 GDP를 300조원만큼 증가시키고자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총 10점) 정부지출만 변화시키는 경우, 정부지출을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하는가?(5점) 조세만 변화시키는 경우, 조세를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하는가?(5점)
먼저, 소득에서의 총소비변화에 대한 승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주어진 한계소비성향이 0.75라면, 이다. 즉, 1조원의 지출 변화가 GDP를 4조원 변화시킨다.
정부지출만 변화시키는 경우

따라서, 균형 GDP를 300조원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지출을 75조원 증가시켜야 한다.
조세만 변화시키는 경우
조세 감소는 처분가능소득의 증가로 이어져 소비를 증가시키지만, 그 효과는 정부지출 증가의 효과보다 작다. 조세 감소의 효과는 한계소비성향에 의해 조절된다. 즉, 조세를 1조원 감소시키면 처분가능소득은 1조원 증가하지만, 소비는 한계소비성향인 0.75만큼만 증가하므로 0.75조원만 증가한다.
따라서, 균형 GDP를 300조원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조세를 100조원 감소시켜야 한다.
즉, 균형 GDP를 300조원 증가시키려면 정부지출을 75조원 증가시키거나 조세를 100조원 감소시켜야 한다.
출처
기초거시경제론. 박강우 지음. 출판문화원. 2020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18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