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관리지침서_감염관리실(감염관리 규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염관리지침서_감염관리실(감염관리 규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감염관리 프로그램 및 감염관리위원회
1. 감염관리프로그램
2. 감염관리위원회

Ⅱ. 감염관리 일반적 지침
1. 손위생
2. 무균술
3. 감염예방 주사실무
4. 소독과 멸균
5. 격리

Ⅲ. 부위별 감염관리
1. 요로감염
2. 폐렴
3. 중심정맥관 관련감염
4. 수술부위 감염

Ⅳ. 특수병원체별 감염관리
1.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Clostridium difficile)
2.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t-Jakob Disease)
3.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 바이러스성 간염(Viral Hepatitis)
5. 레지오넬라(Legionellosis)
6. 메치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7. 다제내성 그람음성간균(Multi-Resistant Gram Negative Bacteria) 8. 결핵(Mycobacterium tuberculosis)
9.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us)
10.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11. 로타바이러스(Rotavirus)
12. 수막알균(Meningococcus)
13.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14.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
15.옴(Scabies)
16.코로나 19 (covid-19)
17.원숭이두창(Monkeypox)
Ⅴ. 병원환경관리
1. 청소 및 환경관리
2. 의료폐기물 관리
3. 세탁물 관리
4. 방문객 관리
5. 사망환자 관리
6. 건축과 개보수

Ⅵ. 직원감염관리
1. 직원건강관리 및 예방접종
2. 혈액 및 체액 노출사고 감염관리
3. 호흡기 전파성 감염질환의 특성 및 감염관리
본문내용

본문내용

에 걸린 경우는 발진이 나타나고 난 후 최소한 4일 또는 5, 6일 까지).
4. 유행성 이하선염(Mumps)
가. Mumps의 전파경로
감염된 사람의 비말(drop nuclei)이나 타액과 직접 접촉할 경우 전파된다. 바이러스는 이하선염(parotitis)이 나타나기 9일 전부터 배출되기 시작하여 그 후 9일 동안 분리된다.
나. Mumps의 감염관리
환자는 이하선염이나 다른 증상 발현 후 9일까지 격리되어야 하며 감염원에 노출된 직원은 첫 노출 후 12일부터 마지막 노출 후 26일까지 또는 이하선염 시작 후 9일까지 환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직무제한을 실시한다.
5. 풍진(Rubella, German)
가. 풍진의 증세, 전파경로 및 역학
① Rubella virus가 원인 바이러스이며 전신에 걸친 발진(rash)과 함께 미열이 있는 질환이다.
② 잠복기는 14~21일이다. 증세가 있거나 또는 불현성 감염인 사람의 비인두 분비물(droplet)에 의하여 전파된다. 발진이 있기 7일 전부터 발진이 생긴 후 약 7일까지 전염력이 있다.
③ 임신 중에 감염되면 태아에게 비정상적인 발육을 초래하므로 위험하다.
나. 감염관리
① 목적은 감염빈도를 줄이고 감수성 있는 임신한 여성이 바이러스에 노출될 기회를 줄이는데 있다.
② 감염된 환자는 발진 후 5일까지 격리하여야 하며 ‘호흡기 분비물에 대한 방어주의’를 하여야 한다.
③ 감수성이 있는 임산부의 접촉을 금하고 초기 임산부는 감염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에 따라 조치한다.
④ 면역력이 없는 직원이 노출되었다면 첫 노출 후 7일부터 마지막 노출 후 21일까지 직무제한을 한다.
⑤ 노출 후 예방접종과 면역글로블린은 효과가 없다.
6. 독감(Influenza)
가. 전파경로와 역학
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 질환으로 유행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노인과 면역기전 저하 환자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높이게 된다.
② 비말 입자와 작은 에어로졸에 의해서 전파되며 감염된 환자와 가깝게 접촉하는 동안 바이러스를 포함한 큰 비말들이 상기도에 직접 옮겨짐에 의해 전파되어 진다.
③ 잠복기는 1~5일이고 증상발현 3일에 가장 많이 전파되나 증상발현 24시간 전부터 전파되어 최대 5일간 지속된다.
나. 감염관리
① 병원 내에서 인플루엔자 감염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임신한 직원을 포함한 의료진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다.
② 환자를 일찍 발견하여 droplet precaution을 지켜야 하며 검사 상 확인된 환자를 격리한다.
③ 인플루엔자 유행기간 동안에 병원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 중에서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④ 일단 유행이 병원 내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면 노출된 감염되지 않은 환자와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직원의 예방조치로 2주 동안 항바이러스제(amatadine 등)을 예방적으로 투여한다.
⑤ 호흡기 질환을 가진 방문객을 제한하고 환자 간호에 감염된 직원을 제한한다.
⑥ 감염이 되었거나 의심되는 직원은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또는 증상 시작부터 최소한 5~7일) 직무제한을 한다.
7.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가. 역학
① 감염된 환자와 가깝게 접촉하거나 오염된 손가락이나 분변과의 밀접한 접촉에 의해 전파되고 결막이나 전비공의 자가 접종에 의해 주로 전염된다.
② 바이러스는 기침과 재채기에 의해 생성된 거친 비말에 의해 전파될 수 있다.
③ 잠복기는 대략 4~6일이며 shedding은 소아에서 2주 이상 지속되며 성인에서는 그 보다 짧은 기간동안 지속된다.
④ 늦봄, 겨울, 봄에 발생하며 여름에는 거의 접할 수 없다.
⑤ 신생아와 1세 이하 어린이의 폐렴과 기관지염의 주요원인이다
나. 감염관리
① 손씻기를 잘하고 감염된 사람과 컵과 같은 물품을 공유하지 않도록 한다.
② 소아 병동처럼 높은 전염률이 있는 곳에서는 손과 결막의 보호를 위한 손씻기, 가운, 장갑착용과 같은 barrier precaution과 droplet precaution을 시행해야 한다.
③ 감염된 직원은 직무제한을 할 필요는 없으나 고위험군 환자를 돌보지 않도록 한다.
8.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virus)
가. 역학
① 감염은 아동초기에 일어나서 8세까지 대부분의 아동들이 항체를 가진다.
② 바이러스는 감염된 환자와 접촉하거나 오염된 환경에 접촉하여 전파되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는 동안에 생성된 호흡기 분비물을 포함한 비말에 의해 전파된다.
나. 감염관리
손씻기, 가운, 장갑 착용과 같은 contact precaution과 droplet precaution을 시행
9. 아데노바이러스(Aednovirus)
가. 역학
① 영아와 소아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며 급성호흡기 감염의 3~5%를 차지한다.
② 전염은 분무된 바이러스의 l흡인에 의해 그 외 결막에 바이러스가 접종되거나 분변-구강 경로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나. 감염관리
강화된 barrier precaution만이 유행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10. 파보바이러스(Pavovirus B19)
가. 역학
①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겨울과 봄에 학교에서 발발하는 전염성 홍반이 가장 흔하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전염성 홍반 및 급성 관절병증 등을 초래하고 허약자에게는 일과성 골수형성부전발증(aplastic crisis)과 만성빈혈 등을 초래할 수 있다.
② 성인의 약 반은 B19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다
③ 바이러스는 감염 후 5일에서 15일 사이에 혈액과 호흡기분비물에서 분리되며 전신증세와 관련이 있다.
④ 전파는 사람과 사람사이의 직접접촉, 비말 등에 의해서 가능하다.
⑤ 임신한 직원은 그렇지 않은 직원보다 감염의 위험이 높지는 않지만 임신 초기에 감염되면 태아수증(hydrous fetalis)과 태아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나. 감염관리
① 감염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는 droplet precaution을 시행한다.
② 임신 5개월까지의 임산부는 감염환자나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와 접촉하지 않아야 한다.
③ 직무제한을 할 필요는 없다.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24.01.19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