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1번 문제
2. 2번 문제
3. 출처 및 참고문헌
1. 1번 문제
2. 2번 문제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장 많이 생산한 지역으로 꼽혔으며, 충남이 72만 5천톤, 전북이 62만 2천톤으로 뒤를 이었다.
2)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
1) 국제 쌀 생산 현황 및 전망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발표한 2022년 4월 국제 쌀 시장 동향 보고서를 살펴보면, 국제 쌀 생산량은 2021/22년도 세계 쌀 생산량은 5억 1,303만 톤으로 전년 대비하여 0.8% 증가가 전망되며, 소비량/수출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 수출량은 전년 대비 3.3% 증가가 전망된다. 재고량 기준으로는 기말 재고량이 전년 대비하여 1.0% 증가했으며,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0.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 주요 생산국 현황
(1) 중국
세계 최대 쌀 생산국인 중국의 21/22년 쌀 생산량은 1억 4,900만 톤으로 전년대비 0.5% 증가가 전망된다. 같은 기간 조곡 생산량은 전년 대비하여 0.% 증가한 2억 1,284만 톤이며, 파종면적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2,992만 ha로 전망된다.
21/22 쌀 총 소비량은 1억 5,544만 톤으로 전년대비 3.4% 증가가 예상되며,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1인당 소비는 감소하겠으나 인구 증가로 식용소비 안정세가 예상되고 사료용소비 및 공업소비 증가함에 따라 소비량 증가가 전망된다.
(2) 미국
미국의 21/22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7% 감소한 609만 톤(전월 동일)으로 예상되며, 중·단립종은 캘리포니아 가뭄으로 전년 대비 16.9% 감소한 150만 톤의 생산이 전망된다. 캘리포니아주 전체를 포함한 미국 벼 주요 재배지역의 41%가 가뭄의 영향권에 해당되는 등 생산 전망에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지역 파종 현황(‘22.04.26.)은 아칸소 주 14%(전년 대비 △27%p), 캘리포니아0%(전년 대비 △10%p), 미시시피 25%(전년비 △20%p) 등 전체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식용작물학1. 박순직, 이종훈 지음. 출판문화원. 2004
-농림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aG31Ts8MUlpzYb7W52vwdUgHsSHpJxmOf2zF4IwcLiaNRrrB0wjAWvaPHP4wZf5d.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30143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지구온난화, 농업생산 및 생태계에 어떤 영향주나?>
https://www.bioin.or.kr/board.do?num=117280&cmd=view&bid=industry&cPage=444&cate1=all&cate2=all2&s_key=&s_str=
-국가통계포털, KOSI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403&conn_path=I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급관리처, 2022년 4월 국제 쌀 시장 동향 보고서, 2022.05
2) 세계 벼 재배 및 생산현황
1) 국제 쌀 생산 현황 및 전망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발표한 2022년 4월 국제 쌀 시장 동향 보고서를 살펴보면, 국제 쌀 생산량은 2021/22년도 세계 쌀 생산량은 5억 1,303만 톤으로 전년 대비하여 0.8% 증가가 전망되며, 소비량/수출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 수출량은 전년 대비 3.3% 증가가 전망된다. 재고량 기준으로는 기말 재고량이 전년 대비하여 1.0% 증가했으며, 기말재고율은 전년 대비 0.2%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 주요 생산국 현황
(1) 중국
세계 최대 쌀 생산국인 중국의 21/22년 쌀 생산량은 1억 4,900만 톤으로 전년대비 0.5% 증가가 전망된다. 같은 기간 조곡 생산량은 전년 대비하여 0.% 증가한 2억 1,284만 톤이며, 파종면적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2,992만 ha로 전망된다.
21/22 쌀 총 소비량은 1억 5,544만 톤으로 전년대비 3.4% 증가가 예상되며,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1인당 소비는 감소하겠으나 인구 증가로 식용소비 안정세가 예상되고 사료용소비 및 공업소비 증가함에 따라 소비량 증가가 전망된다.
(2) 미국
미국의 21/22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7% 감소한 609만 톤(전월 동일)으로 예상되며, 중·단립종은 캘리포니아 가뭄으로 전년 대비 16.9% 감소한 150만 톤의 생산이 전망된다. 캘리포니아주 전체를 포함한 미국 벼 주요 재배지역의 41%가 가뭄의 영향권에 해당되는 등 생산 전망에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지역 파종 현황(‘22.04.26.)은 아칸소 주 14%(전년 대비 △27%p), 캘리포니아0%(전년 대비 △10%p), 미시시피 25%(전년비 △20%p) 등 전체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났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식용작물학1. 박순직, 이종훈 지음. 출판문화원. 2004
-농림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b/psbk/kidofcomdtyDtl.ps;jsessionid=aG31Ts8MUlpzYb7W52vwdUgHsSHpJxmOf2zF4IwcLiaNRrrB0wjAWvaPHP4wZf5d.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67&kidofcomdtyNo=30143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지구온난화, 농업생산 및 생태계에 어떤 영향주나?>
https://www.bioin.or.kr/board.do?num=117280&cmd=view&bid=industry&cPage=444&cate1=all&cate2=all2&s_key=&s_str=
-국가통계포털, KOSIS,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403&conn_path=I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수급관리처, 2022년 4월 국제 쌀 시장 동향 보고서, 2022.05
추천자료
[농학과 공통] 1.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를 예측하여라...
2021년 2학기 식용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장려품종 벼에서 나타날 생육상의 변화)
식용작물학 ) 기후 생태계가 변화했다는 가정하에, 우리 나라의 기후가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 기후 생태계가 변화했다는 가정 하에 , 우리나라의 기후가 사계절이 ...
2023년 2학기 식용작물학1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벼가 나타낼 생육상의 변화 등)
식용작물학1] 점진적인 기상이변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계절이 사라지고 년중 25℃이상의 고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