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의 삼각화에 대해 설명하고 당신이 가족, 교회, 직장이나 기타 대인관계에서 직, 간접적으로 경험했던 또는 하고 있는 삼각화의 실례를 2-3개 기술하시오 외5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의 삼각화에 대해 설명하고 당신이 가족, 교회, 직장이나 기타 대인관계에서 직, 간접적으로 경험했던 또는 하고 있는 삼각화의 실례를 2-3개 기술하시오 외5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지 기술하시오.
모든 가족은 가족과 가족관계에 대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규칙은 사람들마다 그 사람이 가진 배경과 환경 속에서 그들이 어떻게 행동할지에 대한 일련의 규칙을 갖는다. 물론 규칙 가운데 허용되는 규칙과 그렇지 않은 규칙으로 구분된다. 더구나 규칙은 모두 지킬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켜지지 않은 것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규칙을 보웬은 명시적 규칙과 암묵적인 규칙으로 나눈다. 가족은 서로 다른 존재이기에 규칙도 가족마다 다르다.
나의 가족의 규범적 즉 명시적 규칙과 비규범적인 암묵적 규칙을 언급해 보겠다. 명시적 규칙은 생각보다 쉽게 드러난다. 예컨대 ‘방해하지 마’, ‘음악 좀 크게 틀지 마’, ‘먹었으면 그릇 좀 담가’ 등 가족 내에서 구성원들이 반드시 해줘야 할 것을 규칙으로 전하며 이런 규칙은 솔직하게 전달하거나 애기한다. 즉 명시적으로 적용하는 규칙을 말한다. 명시적 규칙은 간혹 전달하면서부터 가족의 변화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하지만 반드시 지켜지지는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명시적 규칙에 해당한 사항은 늘 반복적이며 늘 유사하다.
하지만 비명시적 규칙은 가족 구성원이 모두 동의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받아들였다고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는 않는다. 즉 누군가 시원하게 말하지 않지만, 식탁을 탁탁 치거나 갑자기 화를 내는 등의 행동을 통해 저 사람이 뭔가 뜻대로 이뤄지지 않으며 어떤 규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을 암묵적으로 알게 된다. 분명 드러내어 어떤 규칙을 말하지는 않았지만 가족 구성원 모두 암묵적 규칙에 반응한다.
이처럼 모든 이런 규칙의 기본 목적은 가족 내 사람들의 관계 유형을 통제하는 것이다. 가족 규칙은 가족원이 어떤 관계를 맺고자 할 때, 일종의 균형을 유지한다. 가족 내 각 개인은 가족 규칙을 배운다. Ronald W. Richardson 저자(글) · 남순현 번역(2009).p35 인용.
6.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경계선(boundary)” 개념을 설명하고, 가족들이 “밀착된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을 2-3 가지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 가족을 어떻게 “명확한 경계”로 변화시킬 수 있을지 기술하시오.
가족체계이론에서 미누친은 경계선을 타인과 접촉하는 수준이며 이는 눈으로 볼 수 없는 장벽과 같은 것이다. 즉 개인과 하위체계, 그리고 하위체계가 모인 전체 가족은 그들이 만나는 대인관계에서 경계선으로 구분된다. 경계선은 때론 위계와 개인들과의 거리를 조정하면서 가족과 개인, 하위체계 구성원들과의 자율적 접촉과 행동을 보호한다. 경계선은 각 체계의 차이를 인정하고 또한 그 차이를 보호하려는 기능을 말한다. 실제 가족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체계 사이의 경계선이 명확해야 한다. 이는 가족 안에서 경계선이 명확해야 가족의 기능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볼 수 있다.
사람들은 상호작용하며 일정한 형태와 체계를 만들며 살아간다. 각 집단은 각각 속한 집단에 따라 영역을 형성하며 이는 가족 내에서 가족 체계를 형성하고 학교 안에서 학교 체계를 직장 내에서 직장체계를 형성하는 것과 같다. 이때 각각의 체계는 경계선으로 구분된다.
경계선은 체계가 가진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체계를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에 대해 미누친은 가족 자체가 자연발생적인 사회집단이므로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압력에 대해 구성원의 반응을 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언급했다. 즉 가족이라는 조직은 구성원의 경험을 여과해 한정적으로 제공해준다. 따라서 가족은 더 밀착된 경계를 형성한다. 이때 밀착된 경계는 가족 내에서 몇 가지 양상을 띤다.
밀착된 경계가 환경과 체계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하므로 지나친 간섭과 관여로 갈등을 유발한다. 예컨대 자녀가 앞으로 좋은 직장을 갖기를 바란 부모는 자녀와 의견은 무시한 채 자녀에게 공부와 앞으로의 방향성을 지나치게 압박한다. 자녀는 자기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모의 압박 속에서 묵묵히 수행하거나 받아들일 수 없으면 수없이 갈등을 빚는다. 또한 드라마나 옆집 남편처럼 나의 남편이 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품는 아내는 남편과 다른 사람을 끊임없이 비교한다. 분명 자기 남편의 장점이 많은데도 관여치 않고 자신의 요구를 관철한다. 이 또한 잘 수행해주면 가족의 평화가 오는 것처럼 보이지만 남편의 불만은 점점 커진다. 따라서 가족 내에서 지나친 밀착된 경계는 오히려 해가 된다. 보웬은 가족 관계에서 경계를 균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일정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끊임없이 잔소리하는 추적자들에게서 지지하거나 보살핌을 베푸는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 즉 경계가 모호해 진 그들은 상대를 보살피거나 배려하지 않고 그저 자신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불평만 늘어놓는다. 하지만 도망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응답은 침묵이다. 또한 그들은 단지 뒤로 물러서서 다른 사람들과 부딪히지 않고 잘 모르겠다는 공허한 말을 한다. Ronald W. Richardson 저자(글) · 남순현 번역(2009).p45 참고 및 인용
따라서 명확한 경계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의 마음을 배려하고 개인적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 자신의 기본적인 욕구와 불만이 앞서 상대의 경계를 넘나들어서는 안 된다.
7. 출처 및 참고문헌
Ronald W. Richardson 저자(글) · 남순현 번역(2009).“보웬가족평가를 위한 가족치료 자가진단서” 시그마프레스
김신성(2016). “목회자 부부의 갈등에 관한 연구 : 보웬 가족치료이론의 삼각화개념을 중심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 국내 석사 논문.
박혜진(2022). “영화 <세자매> 분석을 통해 본 아동기 정서학대의 다세대 전수과정 : 보웬의 가족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김현하(2015). “한국의 가족주의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 -미누친(S. Minuchin)의 구조 가족치료이론과 융(C. G. Jung)의 콤플렉스이론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국내 석사 논문.
  • 가격3,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1.22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