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더글로리 시즌1,2를 교육심리학을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장면3개를 뽑아서 교육심리학을 토대로 분석 및 설명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 더글로리 시즌1,2를 교육심리학을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장면3개를 뽑아서 교육심리학을 토대로 분석 및 설명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대화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문동은의 이야기는 귀기울여 들어주지도 않고, 오히려 일부 학생들에 대한 편애와 자신의 이익만을 좇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잘못된 교사의 표본을 가장 잘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이 된 이후 초등학교 교사가 된 문동은의 경우 학급 내 학생들에게 옳고 그름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려주고 자기주도성을 갖고 더 나은 단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모습을 보여줬다. 자신이 겪었던 교사와 제자의 관계와는 다른 관점과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접근하고 적록색약을 가지고 있는 박연진의 딸에게도 학습자로서 지적 호기심과 동기를 자극할 수 있도록 만들고 수평적인 의사소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실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구들을 괴롭히고 등급을 나누는 등의 행위가 잘못된 것이며, 그것이 옳지 않고 교사로서 그런 부분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분명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교사로서 적절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로서 촉진자 및 안내자의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했던 과거 담임선생님의 모습과 다르게 문동은은 그 역할을 충실하게 해내면서 다양한 사회적 지식 구성에 대해 도움을 주며 내면화를 통해 자신에게 적절한 지식을 구성하게 만들며 외부 자극에 단순하게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와 삶의 기준에 따라서 적절한 지식의 창조 및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효과적으로 알려주기 위해 노력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교사는 주 양육자와 함께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는 안내자이자 촉진자라는 점을 인식하고 교육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상징체계를 이해하고 인지적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며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반성적인 태도를 갖는 등 구성주의적 학습원리를 도입하여 학생들을 이끌어나가는 능력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수평적인 대화를 통해 대화적 기능을 적절하게 활용하고 학습자들의 지적 호기심이나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3. 결론
다양한 교육심리 개념은 여러 미디어를 통해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육심리 개념에 대해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따르는 교육적 시사점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올바른 교육을 위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4. 참고문헌
한기순. 교육심리학. 서울: 북앤정, 2023.
http://www.riss.kr/link?id=M16682377
  • 가격3,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23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8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