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성장․발달의 이론
2.성장.발달 이론 적용한 인간 발달 단계
3.심리성적발달이론(Erikson)
4.심리성적발달이론(Freud)
5.성장.발달 이론 적용한 관찰보고서
6.관찰아동 1단계(~1세)애릭슨,프로이드에 적용
7.관찰아동 1단계(~1세)애릭슨,프로이드에 적용
2.성장.발달 이론 적용한 인간 발달 단계
3.심리성적발달이론(Erikson)
4.심리성적발달이론(Freud)
5.성장.발달 이론 적용한 관찰보고서
6.관찰아동 1단계(~1세)애릭슨,프로이드에 적용
7.관찰아동 1단계(~1세)애릭슨,프로이드에 적용
본문내용
배변습관에
문제생김.현재 실수하는 횟수가 줄고 있으나 관찰필요.
⑪ 특이사항
- 몸으로 뛰어노는 놀이라면 가리지않고 너무 좋아함.
⑫ 대상아동
관찰횟수
- 출생시부터 현재 32개월까지 지속 관찰중(참여 관찰)
⑬ 생각 나눔
- 가까이에서 제일 많이 지켜보고 매 순간 함께해온 양육자로서 누구보다도 더 정확하게 평가할수 있기에 가족을 선택
- 각 발달 단계와 발달과업은 유,청소년시절 매우 중요한 이론임을 알고있었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를 양육하며 적용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런 기회로 발달 이론에 적용한 관찰기록을 해봄으로서 그동안 놓친 발달과업과 앞으로의 발달과업등에 관해 되돌아보는 기회가 됨
2. 관찰 아동의 내용
* 1단계(출생시~1세)
①상황 :
-출생후 6개월까지는 아동(아들)의 주 양육자였으며 아동의 반응에 지체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도록 노력하였다.
-그러나 1단계 시점인 6개월이후부터 1세까지 취업으로 인해 밤에는 돌볼수있었지만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낮에는 아동을 돌볼사람이 없어 아동의 할머니가 도움을 주셨다.
-아동과 함께 교감하는 시간을 갖어야했지만 직장 근무가 끝난후 집에 돌아와서는 대학원과정 및 숙제등을 병행하느라 거의 함께하지 못했다.
-아동의 수면습관은 보통 일반적인 수면양상으로 저녁 10시에 잠이 들어 중간에 1번씩 깨기도 하고 어떤날은 아침8시까지 10시간 내내 수면을 유지한다.
-아동의 식사습관으로는 1일 3회 이유식 식사를 먹이려했지만 잘 먹지 않았고,
간식,과일,우유등을 요구했다.
②학자 적용
Erikson 과업 : 신뢰감 대 불신감
신체적.심리적 욕구를 일관성있게 즉각 충족시켜주면 아이는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며 예측 가능한 안전하고 믿을만한곳이라고 배우게 된다고 학자 Erikson은 말하고 있다.
할머니로 양육자가 교체되면서 일관된 욕구에 대해 충족부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였을거라 생각된다. 수면장애,구토,설사등과 같은 기타 생리적인 기능이상을 보여주진 않았지만 엄마와의 애착관계에 1단계의 잘못된 과업인 불신을 표현했다. 아동은 “아빠”라는 단어는 표현했지만“엄마”라는 단어는 전혀 표현하지 않았고 엄마가 출퇴근시 엄마를 찾거나 크게 반가워하지않았다.
이 단계에서는 갑작스러운 취업과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아동에게 시행해야할 과업을 제대로 못해줘서 위와 같은 행동을 했을거라 보여진다.
Freud 과업 : 구강기(oral stage)
Freud는 아동은 빨기,깨물기,씹기,배고픔을 채우는 것과 같은 입과 관련된 활동에 몰두하며 구강의 행동으로 인해 만족과 기쁨을 얻으며 이후의 발달은 이런 욕구들을 충족 시켜주는 엄마와의 애착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고 또,어린시절 엄지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깨물거나 연필을 씹는 버릇이 생길수도 있고,더 커서는 강박관념을 가진 폭식증 환자나 지나치게 의존적이거나 성숙한 관계를 쌓는데 어려움을 가질수있다고 한다.
다행이 위와 같은 빨기,깨물기등의 버릇은 없었으나 간식,과일,우유등 먹을것에 대한 요구를 과도하다 싶을정도로 끊임없이 원했는데 이는 구강기에 해결해야할 엄마와의 애착관계가 제대로 형성이 안되서 구강 욕구를 채우기 위한 행동으로 보여진다.
* 2단계(1세~3세)
①상황 :
-아동 20개월, 개인사정으로 할머니가 봐주실수 없어 부득이하게 직장을 퇴사하게 되면서 유아를 돌보게 되었다. 20개월까지도 엄마라는 표현은 아주 가끔 어쩌다 한번씩 했고, 엄마 어디있냐는 질문에 고개를 돌려버리는 행동을 했었다.
-직장을 그만둔후 엄마와 함께하는 문화센터 수업도 주 2회 참여하고 하루에 한번씩 꼭 산책을,주말에는 가족 야외 나들이를, 책도, 대화도 수시로 걸어주며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려 최대한 노력했다.
-24개월째엔 자연스럽게 “아빠보다는 “엄마”를 더 많이 찾게 되었고, 신발도,바지도,티셔츠도 잘 못입지만 스스로 해보려하는 욕구도 강해졌다.아직 잘 못입어서 입혀주려하면 완강하게 거부하며 떼쓰기도 했다.
-24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서서히 대소변 가리기를 하기에 시도해봤으나 계속된 실패로 아직은 이른것같아 기다려주기로 했다.27개월 이후부터 “쉬했어요”,“응아했어요”라는 표현을 했고,28개월째부터 대소변 가리기를 시작했다.실내에서건,실외에서건 2시간에 한번씩 소변을 변기에 보는 습관을 길들여줬고 29개월때부터는 2시간에 한번씩 소변 보게 해주지 않아도 스스로 “쉬”,“응아”라고 인지하고 표현했다.
-일을 다시 해야 하는 상황여서 30개월째 어린이집 입소를 알아보게 되었고 처음 알아보았던 어린이집이 시간이 맞지않아 다른 어린이집으로 바꾸게 되면서 갑자기 바뀐 생활환경 변화로,대소변 못가림,
수면장애등의 불안한 반응을 보였다.
[ 출처:네이버지식백과]
②학자 적용
Erikson 과업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
학자 Erikson은 2단계의 중요한 과업은 자기 통제인데 그중에서도 특히 배변훈련과 관련된 배설기능의 통제가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시기는 성공적인 자율감에 이르거나 반대로 통제력 부족으로 인한 수치심에 직면할수 있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것들을 탐색하고 독립성이 적절하게 조정이 되야 건전한 자율감이 발달하는데 짧은시기 변화된 생활환경,어린이집 질서와 규칙,집과 다른환경등 이런 영향으로 그동안 성공적이였던 대.소변가리기가 갑자기 잘 안되는 요인이 되었다고 보여진다.
대소변실수횟수는 처음보다 줄었지만 지속되고 있는터라 아동이 빨리 안정을 되찾을수있도록 옆에서 따뜻한 정서저 지지가 필요하며 이런부분을 충족 시켜준다면 앞으로 새로운 환경속에서도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며 발달단계 과업을 원만하게 잘 해결해 나갈것이라 생각된다.
Freud 과업 : 항문기(anal stage)
Freud는 괄약근이 발달하여 대변을 배설하거나 참는 능력이 발달되며 이시기에는 엄하고 가혹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받은 아동들은 일상생활에 강박관념을 가지게 되거나 소심하고 지나치게 비판적으로 될수 있다고 한다.
아동은 현재 어린이집 적응기간이라 계속 스트레스를 받고있는 상황이여서 안정 될때까지는 훈련을 하지 않고 있다. 점차 안정되면 인내심과 융통성을 가지고 성공적인 배변훈련 달성할수있도록 도와줘야겠다.
문제생김.현재 실수하는 횟수가 줄고 있으나 관찰필요.
⑪ 특이사항
- 몸으로 뛰어노는 놀이라면 가리지않고 너무 좋아함.
⑫ 대상아동
관찰횟수
- 출생시부터 현재 32개월까지 지속 관찰중(참여 관찰)
⑬ 생각 나눔
- 가까이에서 제일 많이 지켜보고 매 순간 함께해온 양육자로서 누구보다도 더 정확하게 평가할수 있기에 가족을 선택
- 각 발달 단계와 발달과업은 유,청소년시절 매우 중요한 이론임을 알고있었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를 양육하며 적용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런 기회로 발달 이론에 적용한 관찰기록을 해봄으로서 그동안 놓친 발달과업과 앞으로의 발달과업등에 관해 되돌아보는 기회가 됨
2. 관찰 아동의 내용
* 1단계(출생시~1세)
①상황 :
-출생후 6개월까지는 아동(아들)의 주 양육자였으며 아동의 반응에 지체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도록 노력하였다.
-그러나 1단계 시점인 6개월이후부터 1세까지 취업으로 인해 밤에는 돌볼수있었지만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낮에는 아동을 돌볼사람이 없어 아동의 할머니가 도움을 주셨다.
-아동과 함께 교감하는 시간을 갖어야했지만 직장 근무가 끝난후 집에 돌아와서는 대학원과정 및 숙제등을 병행하느라 거의 함께하지 못했다.
-아동의 수면습관은 보통 일반적인 수면양상으로 저녁 10시에 잠이 들어 중간에 1번씩 깨기도 하고 어떤날은 아침8시까지 10시간 내내 수면을 유지한다.
-아동의 식사습관으로는 1일 3회 이유식 식사를 먹이려했지만 잘 먹지 않았고,
간식,과일,우유등을 요구했다.
②학자 적용
Erikson 과업 : 신뢰감 대 불신감
신체적.심리적 욕구를 일관성있게 즉각 충족시켜주면 아이는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며 예측 가능한 안전하고 믿을만한곳이라고 배우게 된다고 학자 Erikson은 말하고 있다.
할머니로 양육자가 교체되면서 일관된 욕구에 대해 충족부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였을거라 생각된다. 수면장애,구토,설사등과 같은 기타 생리적인 기능이상을 보여주진 않았지만 엄마와의 애착관계에 1단계의 잘못된 과업인 불신을 표현했다. 아동은 “아빠”라는 단어는 표현했지만“엄마”라는 단어는 전혀 표현하지 않았고 엄마가 출퇴근시 엄마를 찾거나 크게 반가워하지않았다.
이 단계에서는 갑작스러운 취업과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아동에게 시행해야할 과업을 제대로 못해줘서 위와 같은 행동을 했을거라 보여진다.
Freud 과업 : 구강기(oral stage)
Freud는 아동은 빨기,깨물기,씹기,배고픔을 채우는 것과 같은 입과 관련된 활동에 몰두하며 구강의 행동으로 인해 만족과 기쁨을 얻으며 이후의 발달은 이런 욕구들을 충족 시켜주는 엄마와의 애착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고 또,어린시절 엄지 손가락을 빨거나 손톱을 깨물거나 연필을 씹는 버릇이 생길수도 있고,더 커서는 강박관념을 가진 폭식증 환자나 지나치게 의존적이거나 성숙한 관계를 쌓는데 어려움을 가질수있다고 한다.
다행이 위와 같은 빨기,깨물기등의 버릇은 없었으나 간식,과일,우유등 먹을것에 대한 요구를 과도하다 싶을정도로 끊임없이 원했는데 이는 구강기에 해결해야할 엄마와의 애착관계가 제대로 형성이 안되서 구강 욕구를 채우기 위한 행동으로 보여진다.
* 2단계(1세~3세)
①상황 :
-아동 20개월, 개인사정으로 할머니가 봐주실수 없어 부득이하게 직장을 퇴사하게 되면서 유아를 돌보게 되었다. 20개월까지도 엄마라는 표현은 아주 가끔 어쩌다 한번씩 했고, 엄마 어디있냐는 질문에 고개를 돌려버리는 행동을 했었다.
-직장을 그만둔후 엄마와 함께하는 문화센터 수업도 주 2회 참여하고 하루에 한번씩 꼭 산책을,주말에는 가족 야외 나들이를, 책도, 대화도 수시로 걸어주며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려 최대한 노력했다.
-24개월째엔 자연스럽게 “아빠보다는 “엄마”를 더 많이 찾게 되었고, 신발도,바지도,티셔츠도 잘 못입지만 스스로 해보려하는 욕구도 강해졌다.아직 잘 못입어서 입혀주려하면 완강하게 거부하며 떼쓰기도 했다.
-24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서서히 대소변 가리기를 하기에 시도해봤으나 계속된 실패로 아직은 이른것같아 기다려주기로 했다.27개월 이후부터 “쉬했어요”,“응아했어요”라는 표현을 했고,28개월째부터 대소변 가리기를 시작했다.실내에서건,실외에서건 2시간에 한번씩 소변을 변기에 보는 습관을 길들여줬고 29개월때부터는 2시간에 한번씩 소변 보게 해주지 않아도 스스로 “쉬”,“응아”라고 인지하고 표현했다.
-일을 다시 해야 하는 상황여서 30개월째 어린이집 입소를 알아보게 되었고 처음 알아보았던 어린이집이 시간이 맞지않아 다른 어린이집으로 바꾸게 되면서 갑자기 바뀐 생활환경 변화로,대소변 못가림,
수면장애등의 불안한 반응을 보였다.
[ 출처:네이버지식백과]
②학자 적용
Erikson 과업 : 자율성 대 수치심과 회의감
학자 Erikson은 2단계의 중요한 과업은 자기 통제인데 그중에서도 특히 배변훈련과 관련된 배설기능의 통제가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시기는 성공적인 자율감에 이르거나 반대로 통제력 부족으로 인한 수치심에 직면할수 있다고 주장한다.
새로운 것들을 탐색하고 독립성이 적절하게 조정이 되야 건전한 자율감이 발달하는데 짧은시기 변화된 생활환경,어린이집 질서와 규칙,집과 다른환경등 이런 영향으로 그동안 성공적이였던 대.소변가리기가 갑자기 잘 안되는 요인이 되었다고 보여진다.
대소변실수횟수는 처음보다 줄었지만 지속되고 있는터라 아동이 빨리 안정을 되찾을수있도록 옆에서 따뜻한 정서저 지지가 필요하며 이런부분을 충족 시켜준다면 앞으로 새로운 환경속에서도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통제하며 발달단계 과업을 원만하게 잘 해결해 나갈것이라 생각된다.
Freud 과업 : 항문기(anal stage)
Freud는 괄약근이 발달하여 대변을 배설하거나 참는 능력이 발달되며 이시기에는 엄하고 가혹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을 받은 아동들은 일상생활에 강박관념을 가지게 되거나 소심하고 지나치게 비판적으로 될수 있다고 한다.
아동은 현재 어린이집 적응기간이라 계속 스트레스를 받고있는 상황이여서 안정 될때까지는 훈련을 하지 않고 있다. 점차 안정되면 인내심과 융통성을 가지고 성공적인 배변훈련 달성할수있도록 도와줘야겠다.
추천자료
전조작기 아동 관찰 보고서
[수행평가][교육평가][수행평가의 효과적 활용]수행평가의 특성, 수행평가의 정신, 수행평가...
다중지능이론 프로그램 - 다중지능의 영역별 특징 및 증진활동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
인지 발달
NICU 황달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신생아실 및 신생아중환자실 사례보고서] / 의학적 ...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정리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2019 유아교육론1C] Vygotsky의 사회문화 발달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방문한 유아교육기관...
인간과교육]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