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주체적 자기 형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2) 사회적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3) 규범적 합리적 존재로서의 인간
3) 결론 -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참고문헌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 서론 – 도덕성 발달이론의 개요
2) 본론 – 도덕성 발달이론의 단계
3) 결론 – 도덕 성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4) 참고문헌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주체적 자기 형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2) 사회적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3) 규범적 합리적 존재로서의 인간
3) 결론 -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참고문헌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 서론 – 도덕성 발달이론의 개요
2) 본론 – 도덕성 발달이론의 단계
3) 결론 – 도덕 성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6) 6단계. 보편적 윤리적 원칙(Universal Ethical Principles) 단계
6단계는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 정의, 인간에 대한 사랑과 공정성 등에 근거하는 추상적이지만 보편적인 행동을 지향하며 스스로 선택해온 윤리적인 가치에 부합하는 개인의 양심을 기준으로 양심에 옳은 행동을 결정한다. 이러한 도덕적 사고는 극히 개인적인 가치이므로 사회적 질서와 갈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사회적 처벌보다는 양심의 가책과 처벌을 더 고통스럽게 생각한다. 이와 같이 도덕성의 인지발달이론가들은 인지능력의 발달에 따라 도덕발달수준이 순차적으로 발달해 간다고 믿는다. 그는 10세 이전의 아동은 대부분 전 인습적 수준에 머물며 고등학교 시기에 인습적 수준과 후 인습적 수준에 도달하고 6단계의 도덕적 사고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는 인지발달에 따른 도덕성 발달단계를 제시했지만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의 최종 단계는 가장 보편적인 원리를 토대로 도덕 판단을 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 도덕 판단의 기준은 법이나 관습이 아니라 양심을 토대로 모든 인간 및 사회에 적용되는 추상적인 원칙에 근거한다. 현실에서 6단계의 도덕적인 사고를 이야기하는 수준은 어떠한 연구에서도 10% 이상을 차지하지 않으며 아예 나오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다(Colby & Kohlberg, 1987). 그러므로 콜버그조차도 이후에는 6단계를 삭제했고 (Kohlberg, 1978), 보통의 경험 연구에서는 6단계를 배제한 경우가 많았다.
3) 결론 도덕 성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도덕 판단에서 종단적 연구로는 인습적인 수준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인습적 수준이 실제로 도덕적인 발달의 양상을 밝히는 역할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도덕성의 발달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도덕적인 퇴행을 보인 경우가 발생하였다. 개인적으로 도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었지만, 실제로 도덕적인 행위를 실행하지 않았다는 도덕적인 판단이 반드시 행위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행위 사이의 불일치가 생겨났다. 이번 이론은 미국의 중류층이고 백인인 남성들의 도덕적인 사고만을 반영함으로써 편향적인 조사로 기록되었다. 그가 추구했던 도덕적인 정의가 개인적인 권리나 공정성의 반영은 잘 되었지만 타인과의 관계성이 간과되어 도덕적 특성의 본질과 및 보편적인 가치를 간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4) 참고문헌
인간과교육.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3년 07월 25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道德性發達理論]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두산백과 두피디아
-도덕 발달 이론 [theory of moral reasoning, 道德發達理論] (두산 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s theory of moral reasoning]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6) 6단계. 보편적 윤리적 원칙(Universal Ethical Principles) 단계
6단계는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 정의, 인간에 대한 사랑과 공정성 등에 근거하는 추상적이지만 보편적인 행동을 지향하며 스스로 선택해온 윤리적인 가치에 부합하는 개인의 양심을 기준으로 양심에 옳은 행동을 결정한다. 이러한 도덕적 사고는 극히 개인적인 가치이므로 사회적 질서와 갈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사회적 처벌보다는 양심의 가책과 처벌을 더 고통스럽게 생각한다. 이와 같이 도덕성의 인지발달이론가들은 인지능력의 발달에 따라 도덕발달수준이 순차적으로 발달해 간다고 믿는다. 그는 10세 이전의 아동은 대부분 전 인습적 수준에 머물며 고등학교 시기에 인습적 수준과 후 인습적 수준에 도달하고 6단계의 도덕적 사고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는 인지발달에 따른 도덕성 발달단계를 제시했지만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의 최종 단계는 가장 보편적인 원리를 토대로 도덕 판단을 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 도덕 판단의 기준은 법이나 관습이 아니라 양심을 토대로 모든 인간 및 사회에 적용되는 추상적인 원칙에 근거한다. 현실에서 6단계의 도덕적인 사고를 이야기하는 수준은 어떠한 연구에서도 10% 이상을 차지하지 않으며 아예 나오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다(Colby & Kohlberg, 1987). 그러므로 콜버그조차도 이후에는 6단계를 삭제했고 (Kohlberg, 1978), 보통의 경험 연구에서는 6단계를 배제한 경우가 많았다.
3) 결론 도덕 성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도덕 판단에서 종단적 연구로는 인습적인 수준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인습적 수준이 실제로 도덕적인 발달의 양상을 밝히는 역할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도덕성의 발달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도덕적인 퇴행을 보인 경우가 발생하였다. 개인적으로 도덕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었지만, 실제로 도덕적인 행위를 실행하지 않았다는 도덕적인 판단이 반드시 행위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라는 행위 사이의 불일치가 생겨났다. 이번 이론은 미국의 중류층이고 백인인 남성들의 도덕적인 사고만을 반영함으로써 편향적인 조사로 기록되었다. 그가 추구했던 도덕적인 정의가 개인적인 권리나 공정성의 반영은 잘 되었지만 타인과의 관계성이 간과되어 도덕적 특성의 본질과 및 보편적인 가치를 간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점이 생겼다.
4) 참고문헌
인간과교육.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3년 07월 25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Kohlberg’s moral development theory, 道德性發達理論]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두산백과 두피디아
-도덕 발달 이론 [theory of moral reasoning, 道德發達理論] (두산 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 [Kohlberg’s theory of moral reasoning]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추천자료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2017)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인간과교육3공통)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2023년)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인간과교육, 공통형)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
인간과교육 2023학년도 2학기)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
인간과교육 2023학년도 2학기]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