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종래의 과학적 인간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와 참고문헌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와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와 참고문헌
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와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부모의 가치관과 신념, 도덕을 물려받게 되나 이후의 성장과정에서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나름의 도덕성을 발달시켜 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적 관점을 보자면 기본적으로 도덕성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인간 내부의 어떤 것으로 인간을 설명하는 것을 단호히 부정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도덕적 행동은 외부의 강화와 벌에 의해 학습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행동주의적 관점이며 아이들이 거짓말을 했을 때 부모나 선생님으로부터 꾸지람을 듣고 부정적 행동 빈도나 감소되거나 반대로 착한 일을 했을 때 칭찬을 들으면 긍정적 행동 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사례로 들 수 있겠다.
사회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도덕성 발달이론은 도덕성을 간접적인 경험에 의해서 습득된다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지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고 난 후 어떤 보상이나 벌을 받았는지 관찰하기만 해도 그 행동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해할 수 있다.
인지적 관점에서 도덕성의 형성과 발달은 인지능력의 발달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기며 도덕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행동하기 위해서는 인지능력의 발달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간주하는데 이의 대표 이론으로는 Piaget와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예로 들 수 있겠다.
Ko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아동기의 발달에 대해서만 언급한 Piaget의 이론을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확장시켜 도덕성 발달의 각 단계가 어떤 중요한 도덕적 결정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고의 체제라고 간주한다. 이는 개인의 도덕적 추론과 의사결정의 단계를 설명하는 심리학적 이론으로서 발달단계의 순서는 불변이며 어떤 단계를 건너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데 높은 단계로 갈수록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며 감정이입이 가능하고 사회문제를 일반적인 원리에 근거해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긴다. 콜버그의 이론은 처벌과 복종을 거쳐 도구적 상대주의를 지향하는 전 인습 수준의 단계와 대인간 조화를 지향하며 법과 질서를 지향하는 인습 수준, 그리고 사회적 계약 지향을 거쳐 보편적 도덕 원리를 지향하는 탈 인습 수준의 발달단계로 구성된다.
3) 결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우선 이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적 학습 환경 조성이 가능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교사는 학생의 도덕적 발달을 촉진하는 교실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존중과 공감, 열린 소통을 강조함으로써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을 보다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훈련에 참여하도록 장려하여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고 자신의 도덕적 추론을 완성하고 도전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쉽게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운 윤리적 딜레마와 사례연구를 제시하여 도덕적 성찰과 토론을 자극하여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그룹 프로젝트나 토론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통해 보다 활발한 또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다양한 관점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다양한 봉사 활동의 참여를 독려하여 사회적 책임감을 키우고 사회적 가치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자율성과 독립적인 사고를 장려하고 다양한 문화와 관점에 노출시켜 도덕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체계적인 도덕성 확립을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할 수 있게 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인간과교육.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3년 07월 25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상담학 사전, 2016.01.15
현상익(Sang-Ik Hyun). \"콜버그 도덕발달이론에 대한 피터즈의 비판: 도덕교육에서 내용과 형식의 관계.\" 道德敎育硏究 33.1 (2021): 79-97.
전상민 ( Sang Min Jun ). \"윤리적 소비동기의 발달: 도덕성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7.2 (2016): 151-179.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 동아 사이언스, 2016.06.07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12451
초자아(Superego), 상담학 사전, 2016.01.15
남근기(Phallic Phase), 두산백과, 두피디아
김재식 ( Jae Sik Kim ). \"L. Kohlberg의 발달적 사회화 접근.\" 초등도덕교육 0.37 (2011): 269-290.
또한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행동주의적 관점을 보자면 기본적으로 도덕성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인간 내부의 어떤 것으로 인간을 설명하는 것을 단호히 부정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도덕적 행동은 외부의 강화와 벌에 의해 학습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행동주의적 관점이며 아이들이 거짓말을 했을 때 부모나 선생님으로부터 꾸지람을 듣고 부정적 행동 빈도나 감소되거나 반대로 착한 일을 했을 때 칭찬을 들으면 긍정적 행동 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사례로 들 수 있겠다.
사회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바라본 도덕성 발달이론은 도덕성을 간접적인 경험에 의해서 습득된다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지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고 난 후 어떤 보상이나 벌을 받았는지 관찰하기만 해도 그 행동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해할 수 있다.
인지적 관점에서 도덕성의 형성과 발달은 인지능력의 발달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기며 도덕적으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고 행동하기 위해서는 인지능력의 발달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간주하는데 이의 대표 이론으로는 Piaget와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예로 들 수 있겠다.
Ko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아동기의 발달에 대해서만 언급한 Piaget의 이론을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확장시켜 도덕성 발달의 각 단계가 어떤 중요한 도덕적 결정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고의 체제라고 간주한다. 이는 개인의 도덕적 추론과 의사결정의 단계를 설명하는 심리학적 이론으로서 발달단계의 순서는 불변이며 어떤 단계를 건너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데 높은 단계로 갈수록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며 감정이입이 가능하고 사회문제를 일반적인 원리에 근거해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긴다. 콜버그의 이론은 처벌과 복종을 거쳐 도구적 상대주의를 지향하는 전 인습 수준의 단계와 대인간 조화를 지향하며 법과 질서를 지향하는 인습 수준, 그리고 사회적 계약 지향을 거쳐 보편적 도덕 원리를 지향하는 탈 인습 수준의 발달단계로 구성된다.
3) 결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이 교육적으로 시사하는 바는 우선 이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적 학습 환경 조성이 가능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교사는 학생의 도덕적 발달을 촉진하는 교실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존중과 공감, 열린 소통을 강조함으로써 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을 보다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훈련에 참여하도록 장려하여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고 자신의 도덕적 추론을 완성하고 도전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학생들에게 쉽게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어려운 윤리적 딜레마와 사례연구를 제시하여 도덕적 성찰과 토론을 자극하여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을 돕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그룹 프로젝트나 토론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을 통해 보다 활발한 또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다양한 관점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아울러 다양한 봉사 활동의 참여를 독려하여 사회적 책임감을 키우고 사회적 가치에 대해 깊이 이해하는 것에도 도움을 줌과 동시에 자율성과 독립적인 사고를 장려하고 다양한 문화와 관점에 노출시켜 도덕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체계적인 도덕성 확립을 가능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윤리적으로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할 수 있게 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인간과교육. 조화태, 김계현, 전용오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발행일 : 2023년 07월 25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상담학 사전, 2016.01.15
현상익(Sang-Ik Hyun). \"콜버그 도덕발달이론에 대한 피터즈의 비판: 도덕교육에서 내용과 형식의 관계.\" 道德敎育硏究 33.1 (2021): 79-97.
전상민 ( Sang Min Jun ). \"윤리적 소비동기의 발달: 도덕성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7.2 (2016): 151-179.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 동아 사이언스, 2016.06.07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12451
초자아(Superego), 상담학 사전, 2016.01.15
남근기(Phallic Phase), 두산백과, 두피디아
김재식 ( Jae Sik Kim ). \"L. Kohlberg의 발달적 사회화 접근.\" 초등도덕교육 0.37 (2011): 269-290.
추천자료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2017)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인간과교육3공통)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2023년)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인간과교육, 공통형)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
인간과교육 2023학년도 2학기)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
인간과교육 2023학년도 2학기]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 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