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 간호 진단, 정의
3.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5.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6.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2. 간호 진단, 정의
3. 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5. 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6. 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본문내용
정 50mg 1T 아침식전
메트폴민 500mg 1T 아침식전
타이레놀 이알 1T 3일에 한번정도 두통있을때
3. 공복 및 식후의 혈당치 수준을 모니터하였다.
7A, 11A, 1P, 5P, 8P에 측정하였다. 3P, 10P 측정 처방도 있었으나, 대상자가 잦은 채혈로 통증을 호소하여 하루 5번 채혈로 변경하였다.
7A 11A 1P 5P 8P
1 150 172 264(누룽지, 빵 2unit) 190 230(2unit)
2 140 136 265(2unit) 182 274(귤, 단감 먹음, 3unit)
3 139 172 255(2unit) 179 238(2unit)
4 138 170 246(2unit) 176 230(2unit)
4. 혈청 인슐린 수준을 모니터 하였다.
혈청 인슐린 수치는 입원 시에만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입원 시 공복 상태 혈청 인슐린 수치가 13IU/mL으로 측정되었다.
5. 식사 패턴과 식이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였다.
현재 대상자의 식사 패턴은 불규칙적이다. 항암 치료로 인한 입맛 감퇴로 불규칙적으로 식사하고 있으며, 입맛이 잠깐 돌아올 때 많은 양의 식사를 한 후 소화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대상자는 항암치료 중에는 입맛이 떨어지니 좋아하는 음식을 중점적으로 챙겨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었다. 다양한 영양소가 필요하므로 다양한 음식을 먹는 것은 옳으나, 대상자는 불규칙적으로 과식을 하고 있어 혈당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적절한 양과 조절된 타이밍에 섭취하는 것이 혈당관리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였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가 변화가 필요한 식사 패턴을 확인하도록 도왔다.
앞서 대상자는 항암치료 중에는 입맛이 떨어지니 좋아하는 음식을 중점적으로 챙겨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었다. 이에 따라 불규칙적인 과식은 혈당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적절한 양과 조절된 타이밍에 섭취하는 것이 혈당관리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가 변화가 필요한 식사 패턴을 인지 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식사 일지를 작성하도록 요청하였다. 이를 통해 하루 동안 먹은 음식과 식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음식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특히 과일, 채소, 단백질, 그리고 탄수화물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식사 전후 혈당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혈당 모니터링 결과를 일지에 기록하도록 안내하였다.
2. 지시된 인슐린 약물치료를 적용하였다.
처방에 따라 아침 7시, 점심 11시, 오후 1시, 오후 5시, 밤 8시에 측정하고 있으며, 혈당 수치에 따라 인슐린 투여량을 조절하였다. 혈당이 200 이상인 경우 hmalog을 2 unit 투여하고, 250 이상인 경우 3 unit, 270 이상인 경우 노티 후 투여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혈당 수치를 고려하여 간식, 탄수화물 섭취를 조절하였다. 금기 음식인 귤, 단감, 빵, 누룽지 등을 피하도록 안내하였다.
3. 처방된 식이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암치료식이를 섭취하고 있다.
교육적 수행
1. 대상자가 균형있는 운동을 하도록 가르쳤다. 먼저, 대상자에게 균형있는 운동은 혈당 수치를 안정화시켜 도움을 줄수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조직에 영양분과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①산책: 매일 정해진 시간에 병실 주변을 산책하면서 천천히 걷기를 실시한다. 이는 혈액 순환을 도울 뿐 아니라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②스트레칭: 병실 의자에 앉아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가르친다. 예를 들어, 발끝을 들어 올리고 내리기, 무릎을 굽히고 펴기, 발목을 돌리기 등의 운동을 통해 하체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손목을 돌리거나 손가락을 움직이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상체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운동을 가르친다. 이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손과 팔의 근육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대상자가 적절한 음식 섭취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먼저, 대상자에게 혈당 관리를 위해 탄수화물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식사 시 탄수화물을 골고루 섭취하되, 급격한 혈당 상승을 막기 위해 당도가 낮은 식품을 선택하도록 교육하였다.
그리고 정기적인 식사 및 간식을 통해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식사를 놓치지 않고 규칙적으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며, 큰 식사보다는 작은 양의 음식을 여러 번 섭취하는 것이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안내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귤, 단감, 빵, 누룽지 등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는 음식을 피하도록 안내하며 음식은 혈당 변동을 줄이고 안정적인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함을 설명하였다.
3. 대상자에게 혈당 측정법을 교육하였다.
먼저, 혈당 측정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혈당 측정은 대상자의 혈당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식사와 약물 복용 후 혈당 변동을 감지하여, 식이 및 약물 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정기적인 혈당 측정은 고혈당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기여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을 지원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①혈당을 측정하기 전에 손을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는다.
②측정기를 켜고, 테스트 스트립을 삽입한다. 측정기에 따라서는 화면에 나타나는 안내에 따라 진행하도록 한다.
③중지 손가락을 선택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 끝을 알코올 습기로 청소한다.
④테스트 스트립의 끝 부분을 손가락 끝에 가볍게 눌러 혈액을 채취한다. 충분한 양의 혈액이 테스트 스트립에 흡수될 때까지 기다린다.
⑤측정기의 화면에 혈당 수치가 나타나면, 이 수치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⑥측정이 끝나면 사용한 테스트 스트립과 모든 장비를 안전하게 폐기하고, 손을 다시 씻어 마무리한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안정적인 혈당 수치를 유지한다.
(공복, 식후 170mg/dl 이하) -> 미달성, 실습기간이 짧아 퇴원시까지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 하지 못함.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균형잡힌 식습관을 형성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주기적인 신체활동을 수행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혈당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달성
메트폴민 500mg 1T 아침식전
타이레놀 이알 1T 3일에 한번정도 두통있을때
3. 공복 및 식후의 혈당치 수준을 모니터하였다.
7A, 11A, 1P, 5P, 8P에 측정하였다. 3P, 10P 측정 처방도 있었으나, 대상자가 잦은 채혈로 통증을 호소하여 하루 5번 채혈로 변경하였다.
7A 11A 1P 5P 8P
1 150 172 264(누룽지, 빵 2unit) 190 230(2unit)
2 140 136 265(2unit) 182 274(귤, 단감 먹음, 3unit)
3 139 172 255(2unit) 179 238(2unit)
4 138 170 246(2unit) 176 230(2unit)
4. 혈청 인슐린 수준을 모니터 하였다.
혈청 인슐린 수치는 입원 시에만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입원 시 공복 상태 혈청 인슐린 수치가 13IU/mL으로 측정되었다.
5. 식사 패턴과 식이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였다.
현재 대상자의 식사 패턴은 불규칙적이다. 항암 치료로 인한 입맛 감퇴로 불규칙적으로 식사하고 있으며, 입맛이 잠깐 돌아올 때 많은 양의 식사를 한 후 소화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이다.
대상자는 항암치료 중에는 입맛이 떨어지니 좋아하는 음식을 중점적으로 챙겨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었다. 다양한 영양소가 필요하므로 다양한 음식을 먹는 것은 옳으나, 대상자는 불규칙적으로 과식을 하고 있어 혈당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적절한 양과 조절된 타이밍에 섭취하는 것이 혈당관리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였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가 변화가 필요한 식사 패턴을 확인하도록 도왔다.
앞서 대상자는 항암치료 중에는 입맛이 떨어지니 좋아하는 음식을 중점적으로 챙겨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고 있었다. 이에 따라 불규칙적인 과식은 혈당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적절한 양과 조절된 타이밍에 섭취하는 것이 혈당관리에 도움이 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가 변화가 필요한 식사 패턴을 인지 시키기 위해 대상자의 식사 일지를 작성하도록 요청하였다. 이를 통해 하루 동안 먹은 음식과 식사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음식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특히 과일, 채소, 단백질, 그리고 탄수화물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격려하였다. 또한, 식사 전후 혈당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혈당 모니터링 결과를 일지에 기록하도록 안내하였다.
2. 지시된 인슐린 약물치료를 적용하였다.
처방에 따라 아침 7시, 점심 11시, 오후 1시, 오후 5시, 밤 8시에 측정하고 있으며, 혈당 수치에 따라 인슐린 투여량을 조절하였다. 혈당이 200 이상인 경우 hmalog을 2 unit 투여하고, 250 이상인 경우 3 unit, 270 이상인 경우 노티 후 투여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혈당 수치를 고려하여 간식, 탄수화물 섭취를 조절하였다. 금기 음식인 귤, 단감, 빵, 누룽지 등을 피하도록 안내하였다.
3. 처방된 식이를 적용하였다. 대상자는 암치료식이를 섭취하고 있다.
교육적 수행
1. 대상자가 균형있는 운동을 하도록 가르쳤다. 먼저, 대상자에게 균형있는 운동은 혈당 수치를 안정화시켜 도움을 줄수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조직에 영양분과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①산책: 매일 정해진 시간에 병실 주변을 산책하면서 천천히 걷기를 실시한다. 이는 혈액 순환을 도울 뿐 아니라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②스트레칭: 병실 의자에 앉아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가르친다. 예를 들어, 발끝을 들어 올리고 내리기, 무릎을 굽히고 펴기, 발목을 돌리기 등의 운동을 통해 하체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손목을 돌리거나 손가락을 움직이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상체 근육을 활성화시키는 운동을 가르친다. 이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손과 팔의 근육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대상자가 적절한 음식 섭취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먼저, 대상자에게 혈당 관리를 위해 탄수화물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식사 시 탄수화물을 골고루 섭취하되, 급격한 혈당 상승을 막기 위해 당도가 낮은 식품을 선택하도록 교육하였다.
그리고 정기적인 식사 및 간식을 통해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식사를 놓치지 않고 규칙적으로 섭취하도록 유도하며, 큰 식사보다는 작은 양의 음식을 여러 번 섭취하는 것이 혈당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안내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귤, 단감, 빵, 누룽지 등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는 음식을 피하도록 안내하며 음식은 혈당 변동을 줄이고 안정적인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데 중요함을 설명하였다.
3. 대상자에게 혈당 측정법을 교육하였다.
먼저, 혈당 측정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혈당 측정은 대상자의 혈당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식사와 약물 복용 후 혈당 변동을 감지하여, 식이 및 약물 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정기적인 혈당 측정은 고혈당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기여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을 지원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①혈당을 측정하기 전에 손을 비누와 물로 깨끗이 씻는다.
②측정기를 켜고, 테스트 스트립을 삽입한다. 측정기에 따라서는 화면에 나타나는 안내에 따라 진행하도록 한다.
③중지 손가락을 선택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 끝을 알코올 습기로 청소한다.
④테스트 스트립의 끝 부분을 손가락 끝에 가볍게 눌러 혈액을 채취한다. 충분한 양의 혈액이 테스트 스트립에 흡수될 때까지 기다린다.
⑤측정기의 화면에 혈당 수치가 나타나면, 이 수치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⑥측정이 끝나면 사용한 테스트 스트립과 모든 장비를 안전하게 폐기하고, 손을 다시 씻어 마무리한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안정적인 혈당 수치를 유지한다.
(공복, 식후 170mg/dl 이하) -> 미달성, 실습기간이 짧아 퇴원시까지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 하지 못함.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 균형잡힌 식습관을 형성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주기적인 신체활동을 수행한다. -> 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 혈당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 달성
추천자료
3-2성인간호학 외과병동
copd 케이스
만성 신부전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 성인간호학 대학병원 실습 컨퍼런스
여성간호학 임신오조증 간호과정
Hepatocellular carcinoma(간세포암) 케이스 스터디 A+
[성인간호학] 성인 간경화증 - 간경변증(liver cirrhosis, LC)
아동간호학 당뇨병(T1DM) case study, 간호과정1개, 사례포함
성인간호학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신체 활동 부족과 관련된 ...
A+자료 당뇨(DM) Diabetes Mellitu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