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5. 참고문헌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강하는 동안 입자가 서로 응집되어 점점 커져서 침전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침전되는 것이다. 그 이후 시간대는 Ⅲ형 침전(또는 지역침전)으로, Ⅱ형 침전 다음에 발생하며, 부유물질의 농도가 큰 경우 가까이 위치한 입자들이 서로 침전을 방해함으로써 침전 속도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침전하는 부유물과 용액의 상층수 간에 뚜렷한 경계면이 생긴다.
표 3.1.1. 침전시간에 따른 침전 깊이의 변화
Time(hr)
Depth(m)
0
10.8
0.3
9.4
0.6
8.3
0.9
7.8
1.2
7.3
1.5
7
1.8
6.8
2.1
6.7
2.4
6.6
2.7
6.5
3
6.5
3.3
6.45
3.6
6.4
3.9
6.3
4.2
6.25
그래프 3.1.1. 침전시간에 따른 침전 깊이의 변화
3.2. 부유물질 실험 결과 및 고찰
3.2.1. SS농도 계산 식
a: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 무게(mg)
b: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여과지(여과지+부유물) 무게(mg)
v: 시료의 양(mL)
식(2)는 SS농도를 계산하는 식이며 여과 전·후의 무게의 차를 구하여 부유물질의 양으로 한다.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했는데 22.1624mg이었고, 이 유리섬유여과지를 건조기에 2시간 건조시켜 황산 데시케이터에 넣어 냉각한 다음, 시료 적당량을 여과장치에 주입하고, 측정한 유리 섬유여과지의 무게는 22.2464mg이다. 시료의 양은 200mL로 했다. 식(2)를 통해 계산하면 SS농도는 0.42mg/L이다(계산 과정은 식(3) 참고). 시료를 비커에 담아 여과기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비커와 여과기 벽에 남아있을 잔류물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세척과정이 필요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생략되어 부유물질의 결과값 오차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표3.2.1. SS농도 계산
시료의 부피(ml)
200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mg)
22.2462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mg)
22.1624
총 부유물질(SS) (mg/L)
0.42
그림 3.2.1.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 무게 그림 3.2.2.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여과지 무게
결론
침전은 수질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나 부유물질(SS)제거에 사용되는데, 부유 물질이란 물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형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무기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물질이다. 이는 물 혼탁에 원인이 되고, 생물학적으로 분해되어 좋지 않은 부산물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 질병을 유발시키는 균이나 독성물질을 내는 조류와 같은 균을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SS와 같은 고형물 측정이 중요하다.
침전 실험은 부유물질(SS)의 침전 양상을 확인하는 실험이며, 인공하수를 메스실린더에 담은 후 시간에 따라 침전 깊이의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전 깊이가 줄어들었으며, 특히 0-1.2hr 구간은 Ⅱ형 침전(또는 응집침전)으로 다른 구간에 비해 빠르게 침전되었다.
부유물질(SS) 실험은 수중에 현탁되어 있는 물질을 통해 무게차를 산출하여 부유물질의 양을 구하는 실험으로, SS농도 계산 식을 활용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전·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200mL 시료 속의 SS농도는 0.42mg/L임을 알아냈다.
참고문헌
웹페이지:
지질학백과 http://dlegongbuwarac.edupia.com/xmlView.aspx?sixid=003213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6051
교재:
상하수도 공학 - 이정수(2017)
표 3.1.1. 침전시간에 따른 침전 깊이의 변화
Time(hr)
Depth(m)
0
10.8
0.3
9.4
0.6
8.3
0.9
7.8
1.2
7.3
1.5
7
1.8
6.8
2.1
6.7
2.4
6.6
2.7
6.5
3
6.5
3.3
6.45
3.6
6.4
3.9
6.3
4.2
6.25
그래프 3.1.1. 침전시간에 따른 침전 깊이의 변화
3.2. 부유물질 실험 결과 및 고찰
3.2.1. SS농도 계산 식
a: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 무게(mg)
b: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여과지(여과지+부유물) 무게(mg)
v: 시료의 양(mL)
식(2)는 SS농도를 계산하는 식이며 여과 전·후의 무게의 차를 구하여 부유물질의 양으로 한다.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했는데 22.1624mg이었고, 이 유리섬유여과지를 건조기에 2시간 건조시켜 황산 데시케이터에 넣어 냉각한 다음, 시료 적당량을 여과장치에 주입하고, 측정한 유리 섬유여과지의 무게는 22.2464mg이다. 시료의 양은 200mL로 했다. 식(2)를 통해 계산하면 SS농도는 0.42mg/L이다(계산 과정은 식(3) 참고). 시료를 비커에 담아 여과기에 주입하는 과정에서 비커와 여과기 벽에 남아있을 잔류물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세척과정이 필요했다. 그러나 이런 과정이 생략되어 부유물질의 결과값 오차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
표3.2.1. SS농도 계산
시료의 부피(ml)
200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mg)
22.2462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mg)
22.1624
총 부유물질(SS) (mg/L)
0.42
그림 3.2.1.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여과지 무게 그림 3.2.2.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여과지 무게
결론
침전은 수질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나 부유물질(SS)제거에 사용되는데, 부유 물질이란 물속에 현탁되어 있는 고형물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무기 또는 유기물로 구성된 물질이다. 이는 물 혼탁에 원인이 되고, 생물학적으로 분해되어 좋지 않은 부산물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 질병을 유발시키는 균이나 독성물질을 내는 조류와 같은 균을 보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SS와 같은 고형물 측정이 중요하다.
침전 실험은 부유물질(SS)의 침전 양상을 확인하는 실험이며, 인공하수를 메스실린더에 담은 후 시간에 따라 침전 깊이의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전 깊이가 줄어들었으며, 특히 0-1.2hr 구간은 Ⅱ형 침전(또는 응집침전)으로 다른 구간에 비해 빠르게 침전되었다.
부유물질(SS) 실험은 수중에 현탁되어 있는 물질을 통해 무게차를 산출하여 부유물질의 양을 구하는 실험으로, SS농도 계산 식을 활용하는 실험이었다. 실험 전·후의 유리섬유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200mL 시료 속의 SS농도는 0.42mg/L임을 알아냈다.
참고문헌
웹페이지:
지질학백과 http://dlegongbuwarac.edupia.com/xmlView.aspx?sixid=003213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6051
교재:
상하수도 공학 - 이정수(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