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a : 증발 전 접시의 무게(mg)
b : 증발 후 접시의 무게(mg)
V : 시료의 양(㎖)
★ (6.7㎎) × = 134㎎/ℓ
(3) SS 데이터(사진첨부)
여과 전후의 여과지 무게차 계산
시료양(mL)
여과 전 여지의 무게(mg)
여과 후 여지의 무게(mg)
차이값(mg)
20
80
90
10
40
80
90
10
60
80
100
20
평균값(mg)
13.3
- 소수점 두자리 까지 나타나는 저울로 g 단위로 잰 무게를 1000을 곱하여 mg단위로 고침)
- 세 번의 실험을 시료의 양을 달리하여 실험함
◆농도 계산
부유 물질[(SS) ㎎/ℓ ] = ( b - a ) ×
a :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 여지의 무게(㎎)
b :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 여지의 무게(㎎)
V : 시료의 양(㎖)
★ 20mL - (90 - 80) × = 500㎎/ℓ
★ 40mL - (90 - 80) × = 250㎎/ℓ
★ 60mL - (100 - 80) × = 333.3㎎/ℓ
평균값 - 361.1㎎/ℓ
4) DS 데이터
여과후 여과액을 증발접시에 담아 증발시킨 전후의 무게차 계산
시료의 양(mL)
증발 전의 증발접시의 무게(㎎)
증발 전의 증발접시의 무게(㎎)
차이값(mg)
20
34940
34940
0
40
34520
34530
10
60
38030
38050
20
평균값(mg)
10
- 세 번의 실험을 시료의 양을 달리하여 실험함
◆ 농도 계산
용존성 물질[(DS) ㎎/ℓ ] = ( b - a ) ×
a : 시료 증발 전의 증발접시의 무게(㎎)
b : 시료 증발 후의 증발접시의 무게(㎎)
V : 시료의 양(㎖)
★ 20mL - 0
★ 40mL - (34530 - 34520) × = 250㎎/ℓ
★ 60mL - (38050 - 38030) × = 333.3㎎/ℓ
평균값 - 291.7㎎/ℓ
(5) TS와 VS와SS의 관계 계산
TS = VS + SS
→ 400㎎/ℓ ≒ 361.1 ㎎/ℓ + 134 ㎎/ℓ
<고 찰>
이번 실험은 시료에서 얼마나 부유물질이 존재하는 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TS 와 VS 그리고 SS를 측정하면서,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TS=VS+SS로 구할 수 있다.
첫 번째 TS 를 구하기 위해서는 하얀 사기그릇에 50mL 의 시료를 넣고 무게를 잰 후 110도에서 2시간 정도 건조 시킨다. 실제로 물이 증발될 때 까지 건조해야하므로 10시간 정도 건조 하였다, 건조 후 무게를 재었을 때, 그 차이가 TS가 된다. 그리고 그 TS를 550도에서 다시 30분 정도 고온 가열한 후 무게를 잰 것이 VS가 된다.
두 번째 SS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리 섬유 유지법이라는 것을 이용하였다. 고형물질을 포함한 시료를 여과시켜서 고형물을 포집하고 건조 시킨 후, 그 전후의 무게차에 의해서 고형물의 농도를 구하는 것으로 우리 조는 시료의 양을 20, 40, 60mL 로 하여 세 가지의 실험을 하였다. 여과지를 110도에서 건조시킨 후 그 무게차를 구한 것이 SS의 값이 되고, 여과 후 플라스크에 남은 용액을 건조 시킨 것이 DS 이고 이 사기 그릇의 무게차로 구한 값이 DS의 값이 된다.
우리는 이 방법으로 네 가지의 값을 알 수 있었는데 우선 TS는 400㎎/ℓ이고, VS는134㎎/ℓ, SS는 361.1㎎/ℓ , DS는 291.7㎎/ℓ 임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TS = VS + SS 라는 식에 대입하였을 때, 우리는
400㎎/ℓ ≒ 361.1 ㎎/ℓ + 134 ㎎/ℓ 을 구할 수 있었다. 좌항 400㎎/ℓ 과 우항을 계산하면 491.4㎎/ℓ 로 약 91.4㎎/ℓ 가 차이가 난다. 약 오차율은 18.6%가 차이가 나는데, 이것에 대한 이유는 저울을 소수 둘째자리까지만 나타나는 g저울을 사용하여 이것을 mg단위로 고치면서, 차이가 크게 난거 같다. 실제 오차값을 줄이기 위해서는 4자리 수까지 나타나는 저울을 사용했으면, 오차는 줄어들었을 것이다.
오염된 물에서 부유물질이 얼마나 포함 되었는지를 알아내면, 우리가 과연 이 물을 먹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으로 필터에 관한 것을 배울 수 있었고, 3학년이 되어서 실제 슬러지로 부유물질을 알아내는 실험에 앞서 TS에서 SS까지 다양한 개념들을 알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 2005년도 고형물질 결과보고서
- naver.com 지시인 및 블로그
a : 증발 전 접시의 무게(mg)
b : 증발 후 접시의 무게(mg)
V : 시료의 양(㎖)
★ (6.7㎎) × = 134㎎/ℓ
(3) SS 데이터(사진첨부)
여과 전후의 여과지 무게차 계산
시료양(mL)
여과 전 여지의 무게(mg)
여과 후 여지의 무게(mg)
차이값(mg)
20
80
90
10
40
80
90
10
60
80
100
20
평균값(mg)
13.3
- 소수점 두자리 까지 나타나는 저울로 g 단위로 잰 무게를 1000을 곱하여 mg단위로 고침)
- 세 번의 실험을 시료의 양을 달리하여 실험함
◆농도 계산
부유 물질[(SS) ㎎/ℓ ] = ( b - a ) ×
a :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 여지의 무게(㎎)
b :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 여지의 무게(㎎)
V : 시료의 양(㎖)
★ 20mL - (90 - 80) × = 500㎎/ℓ
★ 40mL - (90 - 80) × = 250㎎/ℓ
★ 60mL - (100 - 80) × = 333.3㎎/ℓ
평균값 - 361.1㎎/ℓ
4) DS 데이터
여과후 여과액을 증발접시에 담아 증발시킨 전후의 무게차 계산
시료의 양(mL)
증발 전의 증발접시의 무게(㎎)
증발 전의 증발접시의 무게(㎎)
차이값(mg)
20
34940
34940
0
40
34520
34530
10
60
38030
38050
20
평균값(mg)
10
- 세 번의 실험을 시료의 양을 달리하여 실험함
◆ 농도 계산
용존성 물질[(DS) ㎎/ℓ ] = ( b - a ) ×
a : 시료 증발 전의 증발접시의 무게(㎎)
b : 시료 증발 후의 증발접시의 무게(㎎)
V : 시료의 양(㎖)
★ 20mL - 0
★ 40mL - (34530 - 34520) × = 250㎎/ℓ
★ 60mL - (38050 - 38030) × = 333.3㎎/ℓ
평균값 - 291.7㎎/ℓ
(5) TS와 VS와SS의 관계 계산
TS = VS + SS
→ 400㎎/ℓ ≒ 361.1 ㎎/ℓ + 134 ㎎/ℓ
<고 찰>
이번 실험은 시료에서 얼마나 부유물질이 존재하는 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TS 와 VS 그리고 SS를 측정하면서,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TS=VS+SS로 구할 수 있다.
첫 번째 TS 를 구하기 위해서는 하얀 사기그릇에 50mL 의 시료를 넣고 무게를 잰 후 110도에서 2시간 정도 건조 시킨다. 실제로 물이 증발될 때 까지 건조해야하므로 10시간 정도 건조 하였다, 건조 후 무게를 재었을 때, 그 차이가 TS가 된다. 그리고 그 TS를 550도에서 다시 30분 정도 고온 가열한 후 무게를 잰 것이 VS가 된다.
두 번째 SS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리 섬유 유지법이라는 것을 이용하였다. 고형물질을 포함한 시료를 여과시켜서 고형물을 포집하고 건조 시킨 후, 그 전후의 무게차에 의해서 고형물의 농도를 구하는 것으로 우리 조는 시료의 양을 20, 40, 60mL 로 하여 세 가지의 실험을 하였다. 여과지를 110도에서 건조시킨 후 그 무게차를 구한 것이 SS의 값이 되고, 여과 후 플라스크에 남은 용액을 건조 시킨 것이 DS 이고 이 사기 그릇의 무게차로 구한 값이 DS의 값이 된다.
우리는 이 방법으로 네 가지의 값을 알 수 있었는데 우선 TS는 400㎎/ℓ이고, VS는134㎎/ℓ, SS는 361.1㎎/ℓ , DS는 291.7㎎/ℓ 임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TS = VS + SS 라는 식에 대입하였을 때, 우리는
400㎎/ℓ ≒ 361.1 ㎎/ℓ + 134 ㎎/ℓ 을 구할 수 있었다. 좌항 400㎎/ℓ 과 우항을 계산하면 491.4㎎/ℓ 로 약 91.4㎎/ℓ 가 차이가 난다. 약 오차율은 18.6%가 차이가 나는데, 이것에 대한 이유는 저울을 소수 둘째자리까지만 나타나는 g저울을 사용하여 이것을 mg단위로 고치면서, 차이가 크게 난거 같다. 실제 오차값을 줄이기 위해서는 4자리 수까지 나타나는 저울을 사용했으면, 오차는 줄어들었을 것이다.
오염된 물에서 부유물질이 얼마나 포함 되었는지를 알아내면, 우리가 과연 이 물을 먹을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으로 필터에 관한 것을 배울 수 있었고, 3학년이 되어서 실제 슬러지로 부유물질을 알아내는 실험에 앞서 TS에서 SS까지 다양한 개념들을 알 수 있었다.
※ 참고문헌
-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 2005년도 고형물질 결과보고서
- naver.com 지시인 및 블로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