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25점)
1) 2021년도 세계 벼 생산량
2) 2021년도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
① 벼 재배면적의 변화 요인
② 벼 생산량의 변화 요인
3) 2021년 우리나라 쌀 전체 소비량
4) 대책
① 쌀 생산량에 대한 대책
② 쌀 소비량에 대한 대책
2.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석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하시오.(25점)
1) 벼의 기상생태형
① 기본 영양생태형(Blt형)
② 감온형(blT형)
③ 감광형(bLt형)
④ blt형
2)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 분류
① 재래종
② 도입 재래종
③ 국내 육성품종
④ 도입 육성종
⑤ 통일형 신육성품종
3) 벼의 재배적 특성
3. 참고문헌
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량을 조사 분석하고 앞으로의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25점)
1) 2021년도 세계 벼 생산량
2) 2021년도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
① 벼 재배면적의 변화 요인
② 벼 생산량의 변화 요인
3) 2021년 우리나라 쌀 전체 소비량
4) 대책
① 쌀 생산량에 대한 대책
② 쌀 소비량에 대한 대책
2. 벼의 기상생태형에 따른 국내 육석 벼 장려품종을 분류하고, 재배적 특성을 설명하시오.(25점)
1) 벼의 기상생태형
① 기본 영양생태형(Blt형)
② 감온형(blT형)
③ 감광형(bLt형)
④ blt형
2) 국내 육성 벼 장려품종 분류
① 재래종
② 도입 재래종
③ 국내 육성품종
④ 도입 육성종
⑤ 통일형 신육성품종
3) 벼의 재배적 특성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야 한다. 추수철에 벼가 노란빛으로 익어야 하는데 병충해를 입은 농가의 벼들은 줄기와 이삭이 모두 하얗게 마르거나 잎과 이삭 곳곳이 붉은 반점과 색채를 띠며 기이한 모습으로 얼룩진 모양새를 보인다. 김정민, 「쌀값 폭락과 벼 병충해에 두 번 우는 부안 농민들 “품종개량이라도 서둘러야”」, 2022년10월07일, 부안독립신문, https://www.ibuan.com/news/articleView.html?idxno=38439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새로 발생하는 병충해를 이겨낼 수 있는 강한 유전자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파 재배는 마른논에 트랙터를 활용하여 볍씨를 파종하는 것으로, 파종할 때 물이 필요하지 않고, 땅 속에 종자가 있어 새에 관한 피해가 없으며, 파종과 동시에 측조시비, 고랑형성, 복토까지 한 번에 가능하여 작업이 수월하고 노동력과 노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노국철, 「서천군, 벼 건답직파 못자리 생략으로 경영비 절반 줄인다」, 2023년05월03일,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4138
담수 여부, 파종 방법 등에 따라 건답직파, 무논직파, 드론직파 등으로 나뉜다. 송해창, 「충남 벼 직파재배 확대 순항, 전년대비 면적 67%‘쑥’」, 2023년10월27일, 한국농어민신문,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018
이 중 건답직파 품종은 저온에서도 발아할 수 있어야 하며 입모율이 높고 잡초에 대한 경쟁력이 커야 한다. 무논 직파 품종은 땅속 깊이 뿌리가 자라는 심근성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심근성’, 농촌진흥청,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4965&cid=50317&categoryId=50317
이면서, 쓰러지지 않는 견딜성과 잎집무늬마름병이라는 병충해에도 강해야 한다. 박순직 외 1인, 「식용작용학 1」, 200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입집무늬마름병이란 벼 잎짚에 주로 발생하고, 옥수수, 골풀 등에서는 잎집무늬마름병, 목초류는 잎썩음병, 채소류는 뿌리썩음병 등으로 불린다. 일종의 곰팡이가 작물에 기생하여 피해를 주는 병충해이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입집무늬마름병’,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85763&cid=40942&categoryId=31875
3. 참고문헌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1년 12월 국제 쌀 시장 동향」, 2022년01월, 수급관리처
- KOSIS, 농림, 농작물생산조사, 미곡생산량(백미, 92.9%), 2021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221&checkFlag=N
- 원재정, 「올해 쌀 생산량 376만 4천 톤, 지난해보다 3% 감소」, 2022년11월19일, 한국농정,
https://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9132
- 두산백과 두피디아,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두산백과,
- 통계청, 「2021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보도자료
- 두산백과 두피디아, ‘벼의 일생’, 두산백과,
- KOSIS, 농림, 양곡소비량조사, 1인당 연간 양곡소비량, 1963년~2021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D0001&conn_path=I2
- 이해곤, 「1인당 쌀 소비량, 코로나 19 집밥 늘면서 감소세 둔화」, 2022년1월30일, 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101485
- 김흥중, 「[농업전망 2022-품목별 수급 동향 및 전망:식량] 2021년 산 단경기 쌀값 4만 8000원… 하락폭 확대 전망」, 2022년1월28일, 한국농업신문,
- KOSIS, 농림, 양곡소비량조사, 사업체부문 쌀 소비량, 2020년~2021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D0006&conn_path=I2
- 이은용, 「지난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 소폭 감소한 ‘56.9kg’」, 2022년2월1일, 농축유통신문,
https://www.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878
- 강병화,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한국학술정보
- 이경보 외 4인, 「논토양에서 벼 기상생태형별 CH4 배출양상 및 배출량 추정」, 1999, 한국환경농학회지
- 두산백과 두피디아, ‘권업모범장’, 두산백과,
- 허문회, 「벼의 유전과 육종」, 1986, 서울대학교 출판부
- 박순직 외 1인, 「식용작용학 1」, 200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김영호, 「인공지능이 농사짓는 스마트팜」, 2022년02월28일, 매일신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022810265485781
- 식물학백과, ‘직파’, 한국식물학회,
- 김정민, 「쌀값 폭락과 벼 병충해에 두 번 우는 부안 농민들 “품종개량이라도 서둘러야”」, 2022년10월07일, 부안독립신문,
https://www.ibuan.com/news/articleView.html?idxno=38439
- 노국철, 「서천군, 벼 건답직파 못자리 생략으로 경영비 절반 줄인다」, 2023년05월03일,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4138
-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심근성’, 농촌진흥청,
- 송해창, 「충남 벼 직파재배 확대 순항, 전년대비 면적 67%‘쑥’」, 2023년10월27일, 한국농어민신문,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018
- 두산백과 두피디아, ‘입집무늬마름병’, 두산백과,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새로 발생하는 병충해를 이겨낼 수 있는 강한 유전자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파 재배는 마른논에 트랙터를 활용하여 볍씨를 파종하는 것으로, 파종할 때 물이 필요하지 않고, 땅 속에 종자가 있어 새에 관한 피해가 없으며, 파종과 동시에 측조시비, 고랑형성, 복토까지 한 번에 가능하여 작업이 수월하고 노동력과 노동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노국철, 「서천군, 벼 건답직파 못자리 생략으로 경영비 절반 줄인다」, 2023년05월03일,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4138
담수 여부, 파종 방법 등에 따라 건답직파, 무논직파, 드론직파 등으로 나뉜다. 송해창, 「충남 벼 직파재배 확대 순항, 전년대비 면적 67%‘쑥’」, 2023년10월27일, 한국농어민신문,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018
이 중 건답직파 품종은 저온에서도 발아할 수 있어야 하며 입모율이 높고 잡초에 대한 경쟁력이 커야 한다. 무논 직파 품종은 땅속 깊이 뿌리가 자라는 심근성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심근성’, 농촌진흥청,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4965&cid=50317&categoryId=50317
이면서, 쓰러지지 않는 견딜성과 잎집무늬마름병이라는 병충해에도 강해야 한다. 박순직 외 1인, 「식용작용학 1」, 200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입집무늬마름병이란 벼 잎짚에 주로 발생하고, 옥수수, 골풀 등에서는 잎집무늬마름병, 목초류는 잎썩음병, 채소류는 뿌리썩음병 등으로 불린다. 일종의 곰팡이가 작물에 기생하여 피해를 주는 병충해이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입집무늬마름병’,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85763&cid=40942&categoryId=31875
3. 참고문헌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1년 12월 국제 쌀 시장 동향」, 2022년01월, 수급관리처
- KOSIS, 농림, 농작물생산조사, 미곡생산량(백미, 92.9%), 2021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221&checkFlag=N
- 원재정, 「올해 쌀 생산량 376만 4천 톤, 지난해보다 3% 감소」, 2022년11월19일, 한국농정,
https://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9132
- 두산백과 두피디아,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두산백과,
- 통계청, 「2021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보도자료
- 두산백과 두피디아, ‘벼의 일생’, 두산백과,
- KOSIS, 농림, 양곡소비량조사, 1인당 연간 양곡소비량, 1963년~2021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D0001&conn_path=I2
- 이해곤, 「1인당 쌀 소비량, 코로나 19 집밥 늘면서 감소세 둔화」, 2022년1월30일, 이투데이, https://www.etoday.co.kr/news/view/2101485
- 김흥중, 「[농업전망 2022-품목별 수급 동향 및 전망:식량] 2021년 산 단경기 쌀값 4만 8000원… 하락폭 확대 전망」, 2022년1월28일, 한국농업신문,
- KOSIS, 농림, 양곡소비량조사, 사업체부문 쌀 소비량, 2020년~2021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D0006&conn_path=I2
- 이은용, 「지난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 소폭 감소한 ‘56.9kg’」, 2022년2월1일, 농축유통신문,
https://www.am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878
- 강병화,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한국학술정보
- 이경보 외 4인, 「논토양에서 벼 기상생태형별 CH4 배출양상 및 배출량 추정」, 1999, 한국환경농학회지
- 두산백과 두피디아, ‘권업모범장’, 두산백과,
- 허문회, 「벼의 유전과 육종」, 1986, 서울대학교 출판부
- 박순직 외 1인, 「식용작용학 1」, 200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김영호, 「인공지능이 농사짓는 스마트팜」, 2022년02월28일, 매일신문,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022810265485781
- 식물학백과, ‘직파’, 한국식물학회,
- 김정민, 「쌀값 폭락과 벼 병충해에 두 번 우는 부안 농민들 “품종개량이라도 서둘러야”」, 2022년10월07일, 부안독립신문,
https://www.ibuan.com/news/articleView.html?idxno=38439
- 노국철, 「서천군, 벼 건답직파 못자리 생략으로 경영비 절반 줄인다」, 2023년05월03일,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4138
-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심근성’, 농촌진흥청,
- 송해창, 「충남 벼 직파재배 확대 순항, 전년대비 면적 67%‘쑥’」, 2023년10월27일, 한국농어민신문, http://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018
- 두산백과 두피디아, ‘입집무늬마름병’, 두산백과,
추천자료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식용작물학1(공통) -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식용작물학1 기말과제물)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나라 ...
식용작물학1 기말 2023년 2학기) 식용작물학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
2023년 2학기 식용작물학1 기말) 식용작물학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
식용작물학1
식용작물학1
[식용작물학1 2023년 기말] 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
2023학년도 2학기 식용작물학1 기말) 식용작물학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