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건강문제와 관련된 자료수집
2. 대상자의 건강양상 사정
3. 대상자의 신체검진
4. 진단적 검사
5. 치료적 검사
Ⅱ. 본론
1.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1. 건강문제와 관련된 자료수집
2. 대상자의 건강양상 사정
3. 대상자의 신체검진
4. 진단적 검사
5. 치료적 검사
Ⅱ. 본론
1.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6.9 ▲
CRP
mg/dL
28.27 ▼
처방약물
- 트리젤 주 100mg/일 1일 1회
- 맥시핌 주 1회 1g/amp 1일 3회
- 세프트리아손 주 1회 2g/vial 1일 2회
간호진단 :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감염 예방 방법을 1가지 이상 말하고 수행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감염 예방 방법을 교육한다.
1) 화장실, 마스크, 면회 제한 등 감염 예방 행동에 대해 교육한다.
2) 손 씻기 방법 및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구강 점막의 외상을 예방하도록 함수제나 부드러운 칫솔로 양치하도록 교육한다.
4) 생화, 꽃병 등은 감염원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금지한다.
5) 감염 징후를 환자 자신이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감염 징후와 감염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6) 입원 중, 린넨과 의료폐기물 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7) 퇴원 후,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기효능과 자가간호를 증진시키도록 교육한다.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감염 예방을 실시하고 경과에 따라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구강은 세균의 성장을 위한 좋은 매개체이다.
열, 오한, 인후통, 기침, 등 모든 감염 증상을 보고 되어야 한다.
감염 후의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이다.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하루 최소 8시간 정도 충분한 수면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2) 휴식과 함께 피곤하지 않을 정도의 운동을 격려한다.
.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면역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수면 중에 면역 체계가 활동을 하며 신체기능이 회복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이 필요로 하다.
대상자는 만성피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휴식을 포함한 가벼운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 반응 시, 즉시 보고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 감염과 같은 징후를 예상할 수 있다.
체온 상승은 호중구감소와 감염을 의미하는 소견일 수 있다.
감염 시에 체온, 호흡, 맥박이 상승할 수 있다.
2. 8시간마다 감염 증상을 확인한다.
1) 8시간마다 발적, 열감, 분비물과 구강의 상태를 사정한다.
구강은 세균의 성장을 위한 좋은 매개체이므로 감염의 징후가 먼저 나타날 수 있다.
정맥 주사 부위는 침습적 처치를 한 부위이므로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3. 24시간마다 CBC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사정한다.
1) WBC, ESR 등의 혈액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감염 시 WBC, ESR, CPR 등의 혈액 검사 수치가 증가한다.
호중구는 백혈구의 일종이며 면역력의 지표가 되는 역할읗 한다.
치료적 계획
1,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의 징후가 예상되면 광범위 항생제나 항진균제를 투여해야 한다.
2. 적절한 식이를 통해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적절한 영양 상태는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간호수행
교육적 수행
1. 감염 예방 방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퇴원으로 인해 수행하지 못함.
2.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의 퇴원으로 인해 수행하지 못함.
진단적 수행
1. 4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 반응 시, 즉시 보고한다.
활력징후 측정
5월 5일
5월 6일
14:00 106/54-94-20-36.5
16:00 109/65-98-20-36.8
20:00 108/52-100-20-36.7
01:00 110/52-93-20-36.5
05:00 110/59-87-20-36.8
08:00 114/64-89-20-36.7
2. 8시간마다 감염 증상을 확인한다.
1) 8시간마다 발적, 열감, 분비물과 구강의 상태를 사정한다.
감염 증상
(발열, 열감, 분비물 등)
5월 5일
5월 6일
08:00 감염증상 없음
16:00 감염증상 없음
00:00 감염증상 없음
08:00 감염증상 없음
3. 24시간마다 CBC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사정한다.
1) WBC, ESR 등의 혈액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추가적인 진단 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퇴원함.
치료적 수행
1.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처방 내역
5월 5일
맥시핌 주 1g/Amp 1일 3회
트리젤 주 1회 100mg/Bag 1일 1회
2. 적절한 식이를 통해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시작 일자
시작 끼니
시작 식사명
종료일자
기타 사항
2023-05-04
석식
치료식 상식 수분제한식
2023-05-05
맵지 않게, 진밥, 간장 추가
평가
장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 목표 달성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단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감염 예방 방법을 1가지 이상 말하고 수행한다.
→ 목표 미달성 : 대상자의 퇴원으로 인해 교육 및 확인을 수행하지 못했다.
Ⅲ. 참고문헌
대표저자 박옥순(2019). PACIFIC 성인간호학 Ⅰ, 퍼시픽북스, P.812~818
서울대학교 > 의학정보 > 폐암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1122
삼성서울병원 > 질환백과 > 폐암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71e1d&CONT_SRC=CMS&CONT_ID=5992&CONT_CLS_CD=001020001011
4.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 암정보 > 항암화학요법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o?view=ANTI_CANCER
5. 약학정보원 > 의약품검색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6. 대표저자 김명애(2016),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102~113
CRP
mg/dL
28.27 ▼
처방약물
- 트리젤 주 100mg/일 1일 1회
- 맥시핌 주 1회 1g/amp 1일 3회
- 세프트리아손 주 1회 2g/vial 1일 2회
간호진단 :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감염 예방 방법을 1가지 이상 말하고 수행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감염 예방 방법을 교육한다.
1) 화장실, 마스크, 면회 제한 등 감염 예방 행동에 대해 교육한다.
2) 손 씻기 방법 및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3) 구강 점막의 외상을 예방하도록 함수제나 부드러운 칫솔로 양치하도록 교육한다.
4) 생화, 꽃병 등은 감염원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금지한다.
5) 감염 징후를 환자 자신이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감염 징후와 감염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6) 입원 중, 린넨과 의료폐기물 관리 방법을 교육한다.
7) 퇴원 후,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자의 자기효능과 자가간호를 증진시키도록 교육한다.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감염 예방을 실시하고 경과에 따라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구강은 세균의 성장을 위한 좋은 매개체이다.
열, 오한, 인후통, 기침, 등 모든 감염 증상을 보고 되어야 한다.
감염 후의 치료보다 예방이 효과적이다.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1) 하루 최소 8시간 정도 충분한 수면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2) 휴식과 함께 피곤하지 않을 정도의 운동을 격려한다.
.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에 의해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면역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수면 중에 면역 체계가 활동을 하며 신체기능이 회복되기 때문에 충분한 수면이 필요로 하다.
대상자는 만성피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휴식을 포함한 가벼운 운동을 실시해야 한다.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 반응 시, 즉시 보고한다.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가장 기본적인 정보로 감염과 같은 징후를 예상할 수 있다.
체온 상승은 호중구감소와 감염을 의미하는 소견일 수 있다.
감염 시에 체온, 호흡, 맥박이 상승할 수 있다.
2. 8시간마다 감염 증상을 확인한다.
1) 8시간마다 발적, 열감, 분비물과 구강의 상태를 사정한다.
구강은 세균의 성장을 위한 좋은 매개체이므로 감염의 징후가 먼저 나타날 수 있다.
정맥 주사 부위는 침습적 처치를 한 부위이므로 감염의 위험성이 높다.
3. 24시간마다 CBC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사정한다.
1) WBC, ESR 등의 혈액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감염 시 WBC, ESR, CPR 등의 혈액 검사 수치가 증가한다.
호중구는 백혈구의 일종이며 면역력의 지표가 되는 역할읗 한다.
치료적 계획
1,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의 징후가 예상되면 광범위 항생제나 항진균제를 투여해야 한다.
2. 적절한 식이를 통해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적절한 영양 상태는 면역력을 증가시킨다.
간호수행
교육적 수행
1. 감염 예방 방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퇴원으로 인해 수행하지 못함.
2.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의 퇴원으로 인해 수행하지 못함.
진단적 수행
1. 4시간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이상 반응 시, 즉시 보고한다.
활력징후 측정
5월 5일
5월 6일
14:00 106/54-94-20-36.5
16:00 109/65-98-20-36.8
20:00 108/52-100-20-36.7
01:00 110/52-93-20-36.5
05:00 110/59-87-20-36.8
08:00 114/64-89-20-36.7
2. 8시간마다 감염 증상을 확인한다.
1) 8시간마다 발적, 열감, 분비물과 구강의 상태를 사정한다.
감염 증상
(발열, 열감, 분비물 등)
5월 5일
5월 6일
08:00 감염증상 없음
16:00 감염증상 없음
00:00 감염증상 없음
08:00 감염증상 없음
3. 24시간마다 CBC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사정한다.
1) WBC, ESR 등의 혈액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추가적인 진단 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퇴원함.
치료적 수행
1.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처방 내역
5월 5일
맥시핌 주 1g/Amp 1일 3회
트리젤 주 1회 100mg/Bag 1일 1회
2. 적절한 식이를 통해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시작 일자
시작 끼니
시작 식사명
종료일자
기타 사항
2023-05-04
석식
치료식 상식 수분제한식
2023-05-05
맵지 않게, 진밥, 간장 추가
평가
장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다.
→ 목표 달성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단기목표평가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감염 예방 방법을 1가지 이상 말하고 수행한다.
→ 목표 미달성 : 대상자의 퇴원으로 인해 교육 및 확인을 수행하지 못했다.
Ⅲ. 참고문헌
대표저자 박옥순(2019). PACIFIC 성인간호학 Ⅰ, 퍼시픽북스, P.812~818
서울대학교 > 의학정보 > 폐암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1122
삼성서울병원 > 질환백과 > 폐암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71e1d&CONT_SRC=CMS&CONT_ID=5992&CONT_CLS_CD=001020001011
4.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 암정보 > 항암화학요법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o?view=ANTI_CANCER
5. 약학정보원 > 의약품검색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6. 대표저자 김명애(2016),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102~113
추천자료
폐암 케이스(Lung cancer)
A+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실습 급성췌장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A+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실습 혈전성정맥염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A+ 간호진단 3개 성인간호학실습 위염환자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동해시) [간호진단3개 & 간호과정 1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폐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성인간호학실습 A+/ 요로결석 CASESTUDY(간호과정)/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성인간호학실습 A+/ 골수염 CASESTUDY(간호과정)/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성인간호학실습 A+/ 게실염 CASESTUDY(간호과정)/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