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중국어의 언어학적 특징 ]
1. 중국어의 음성적 특징
2. 중국어의 어휘적 특징
3. 중국어의 문법적 특징
4. 그 외의 특징
1. 중국어의 음성적 특징
2. 중국어의 어휘적 특징
3. 중국어의 문법적 특징
4. 그 외의 특징
본문내용
량보어는 그 개념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어순이 우리말과 정 반대이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5) 가능보어
앞서 설명한 결과보어나 방향보어에서 동사와 보어 사이에 “득(得)”이라는 글자를 넣어 가능의 뜻을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면 “듣고 이해한다()” 라는 뜻의 결과보어 동사와 “돌아온다(回)” 라는 뜻의 방향보어 동사에서 동사와 보어 사이에 “得” 을 넣으면 각각 “듣고 이해할 수 있다(得)” 와 “돌아 올 수 있다(回得)” 라는 가능의 의미가 된다.
이상으로 중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한국인이 중국어를 학습할 때 (보어를 제외한) 어법은 크게 어렵지 않으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 간체자(한자)의 파악과 어휘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그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5) 가능보어
앞서 설명한 결과보어나 방향보어에서 동사와 보어 사이에 “득(得)”이라는 글자를 넣어 가능의 뜻을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면 “듣고 이해한다()” 라는 뜻의 결과보어 동사와 “돌아온다(回)” 라는 뜻의 방향보어 동사에서 동사와 보어 사이에 “得” 을 넣으면 각각 “듣고 이해할 수 있다(得)” 와 “돌아 올 수 있다(回得)” 라는 가능의 의미가 된다.
이상으로 중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간략하게 알아보았다. 한국인이 중국어를 학습할 때 (보어를 제외한) 어법은 크게 어렵지 않으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 간체자(한자)의 파악과 어휘에 대한 맥락적 이해와 그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