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차장건축
1) 개요
2) 기본계획
3) 세부계획
2. 자동차 터미널 건축
1) 버스 터미널
3. 화물 터미널 건축
1) 대지선정
2) 세부계획
4. 비행장 건축
1) 공항건물
2) 활주로, 유도로
5. 공장건축
1)개요
2)일반계획
3)평면계획
4)일반구조
5)일반설비
6. 창고건축
1)개요
2)창고 건축의 종류와 일반계획
3)일반계획 또는 구조
4)하역설비
1) 개요
2) 기본계획
3) 세부계획
2. 자동차 터미널 건축
1) 버스 터미널
3. 화물 터미널 건축
1) 대지선정
2) 세부계획
4. 비행장 건축
1) 공항건물
2) 활주로, 유도로
5. 공장건축
1)개요
2)일반계획
3)평면계획
4)일반구조
5)일반설비
6. 창고건축
1)개요
2)창고 건축의 종류와 일반계획
3)일반계획 또는 구조
4)하역설비
본문내용
다.
③ 광선을 일단 부드럽게 확산하는 젖빛 유리나 프리즘 유리를 사용하도록 한다.
④ 빛의 반사에 대한 벽 및 색채에 유의해야 한다.
b) 측면창에 의한 채광 - 창은 건물의 눈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그 비중이 크다.
c) 天窓(top light) - 이것은 넓은 면적에 균일하 채광을 많이 받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d) 공장 내의 실내마감 - 실내의 마감과정에서 색채도 작업능률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염색계통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e) 인공조명 - 인공조명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일반조명 : 실내를 균일하게 조명한다.
② 국부일반조명 : 실내의 각 소요부분만을 균일하게 조명한다.
③ 국부조명 : 기계 또는 특수한 부분만을 채광하는 것이며, 정밀한 작업에는 꼭 필요하다. 광원은 직공의 왼쪽 62cm 이내에 두는 것이 좋다.
(2) 환기난방
공장 내에서 제품생산의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기체나 먼지가 생기기 쉬우므로 환기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a) 자연환기 - 작업의 성질상 유해할 먼지가 발생한다고 볼 수 없는 경우는 자연환기라도 좋다. 이것은 창의 개폐, 틈바구니 등으로 환기되는 것을 말한다.
b) 기계환기 - 필요에 따라 희망하는 만큼 환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c) 난방 - 난방은 각 공종에 따라 이것이 필요하지 않을 때와 필요할 때가 있다.
(3) 운반설비 - 공장설계를 위해서는 운반설비에 관한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이것의 발달은 계속되어 인력을 대신하여 기계력의 시대로 바뀌었다.
(4) 후생시설 - 공장 내에 있어서의 후생시설이란 위생, 복지, 오랙 등 제반 시설을 말하는 것이다.
a) 위생시설
1) 탈의시설 - 사용인이 작업 전후에 출입하기 쉬워야 하며, 작업실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하고, 내부에는 철제 라커(locker)가 설치된다.
2) 세면소 및 화장실 - 세면소와 화장실의 위치는 위생적인 차원에서 작업실의 각부에서 너무 가깝든지 또는 너무 동떨어지게 하지 말아야 하며, 화장실에 필요한 소요개수 산정은 20명에 대해 소면기 1개, 남자 30명에 대해 대변기 1개, 여자 15명에 대해 대변기 1개 정도가 적당하다.
3) 욕실설비 - 샤워(shower)식과 욕조식이 있다. 그 위치로는 독립한 건물일 때는 복도쪽에 두고, 중층공장의 경우에는 1층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b) 위안, 오락시설 - 공장 내의 복지, 오락시설은 다음과 같다.
① 주방, 식당 ② 휴게실, 의료시설
③ 도서실 ④ 운동시설
⑤ 클럽(club)
6. 창고건축
[1] 개요 - 화물을 비, 바람으로부터 막고 보관, 저장하는 목적을 갖는 건물을 창고라고 한다.
[2] 창고건축의 종류와 일반계획
(1) 배치와 면적 - 창고는 선박 또는 부선 사이에서 화물을 오르내리는 데 편리한 부두 혹은 해안벽상에 세워지는 것이 보통이다.
(2) 창고와 철도인입선 - 대부분의 화물은 직접 화차에 의해 수송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단 창고에 보관한 후 다시 반출되어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인입선, 혹은 화물자동차 통로와 창고와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3) 단층창고
단층창고에는 다음과 같은 형이 있다.
① 단동 ② 쌍동 ③ 3동
창고 내에 독립기둥을 세우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구조, 재료가 허용하는 한 스팬(span)을 넓게 해야 한다.
(4) 다층의 창고 - 이것은 부지면적이 협소한 경우에 쓰이며, 큰 내부공간을 얻기 위해서 2개 층을 하나의 공간으로 개방하여 쓰기도 한다.
(5) 창고의 구조 - 단층창고의 경우는 스팬을 넓게 하기 위하여 철골구조가 많이 쓰인다. 또한 그것은 내화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일반계획 또는 구조
(1) 배치 - 배치는 교통상 수륙으로 이용하기에 편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창고와 수륙연락 - 수면에 대한 연락설비로는 해변에 임해 있는 창고는 간조를 고려하여야 하며, 간조면보다 1.5m 거리를 두고 준설해야 하며, 또 부선의 정치에 편리하도록 돌출잔교를 설치해야 한다.
(3) 단층창고 - 지가가 낮고 부지가 넓은 경우는 단층인 것이 가장 기능적이다.
(4) 다층창고 - 지가가 높은 부지, 협소한 부지의 경우에 이용되며, 화물의 출입은 필연적으로 기계 설비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5) 평면계획 - 다음으로 하역장의 면적을 결정하는 것은 창고의 평면계획상 제일 중요한 것이다. 미국창고위원회의 각실 소요면적의 평균비율을 참고하면, 먼저 창고의 총면적에서부터 계단, 엘리베이터, 사무소, 복도, 인부실 등을 빼고 난 나머지만을 창고의 이용 가능 면적으로 간주한다.
(6) 창고의 구조 - 창고의 구조는 내화구조여야 함은 물론이고, 철근콘크리트구조가 적합하지만 경비관계상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벽돌, 시멘트블록조 등이 있다. 벽으로는 상술한 모든 것이 사용되지만 하벽부분은 충분히 견고한 것이어야 한다.
(7) 방화설비 - 모든 건물이 화재바지를 해야 하는 것은 공통된 것이지만 특히 창고에서는 이 점이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8) 환기, 채광설비 - 환기구는 방화문제를 고려해야 하며, 창고에 있어서 환기의 의의는 먼지, 벌레, 냉해 등을 방지하거나 혼합 저장시 냄새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는 것을 막는데 있다.
(9) 그 밖의 설비 -
a) 방서 창고에 있어서 방서는 상당히 힘든 문제이다. 바닥, 천장 등은 견고하게 하면 문제 없지만 창고의 각 출입구에 있어서의 방서는 그다지 좋은 방법은 업다.
b) 배수, 방조설비 창고 내에서 청소하는 데 쓴 물을 속히 빼내기 위해 배수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4] 하역설비
창고에 있어서 하역설비의 적합성 여부가 창고의 기능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홀하게 새로운 방식의 설비로 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1) 하선 하역기계 - 이것은 화물을 본선에서 운반선을 거쳐 육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말한다.
(2) 운반기계
① 크레인 : 회전식, 직선식, 합성식 등
② 컨베어 : 경사식, 수직식
(3) 창고 내외 연락용 기계
① 호이프 호이스트
② 트롤리 호이스트
(4) 창고 내 하역기계
① 엘리베이터
② 슈트
③ 파일링 머신
④ 포터블 윈치
③ 광선을 일단 부드럽게 확산하는 젖빛 유리나 프리즘 유리를 사용하도록 한다.
④ 빛의 반사에 대한 벽 및 색채에 유의해야 한다.
b) 측면창에 의한 채광 - 창은 건물의 눈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그 비중이 크다.
c) 天窓(top light) - 이것은 넓은 면적에 균일하 채광을 많이 받게 하기 위한 방법이다.
d) 공장 내의 실내마감 - 실내의 마감과정에서 색채도 작업능률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염색계통의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e) 인공조명 - 인공조명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일반조명 : 실내를 균일하게 조명한다.
② 국부일반조명 : 실내의 각 소요부분만을 균일하게 조명한다.
③ 국부조명 : 기계 또는 특수한 부분만을 채광하는 것이며, 정밀한 작업에는 꼭 필요하다. 광원은 직공의 왼쪽 62cm 이내에 두는 것이 좋다.
(2) 환기난방
공장 내에서 제품생산의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기체나 먼지가 생기기 쉬우므로 환기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a) 자연환기 - 작업의 성질상 유해할 먼지가 발생한다고 볼 수 없는 경우는 자연환기라도 좋다. 이것은 창의 개폐, 틈바구니 등으로 환기되는 것을 말한다.
b) 기계환기 - 필요에 따라 희망하는 만큼 환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이다.
c) 난방 - 난방은 각 공종에 따라 이것이 필요하지 않을 때와 필요할 때가 있다.
(3) 운반설비 - 공장설계를 위해서는 운반설비에 관한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이것의 발달은 계속되어 인력을 대신하여 기계력의 시대로 바뀌었다.
(4) 후생시설 - 공장 내에 있어서의 후생시설이란 위생, 복지, 오랙 등 제반 시설을 말하는 것이다.
a) 위생시설
1) 탈의시설 - 사용인이 작업 전후에 출입하기 쉬워야 하며, 작업실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하고, 내부에는 철제 라커(locker)가 설치된다.
2) 세면소 및 화장실 - 세면소와 화장실의 위치는 위생적인 차원에서 작업실의 각부에서 너무 가깝든지 또는 너무 동떨어지게 하지 말아야 하며, 화장실에 필요한 소요개수 산정은 20명에 대해 소면기 1개, 남자 30명에 대해 대변기 1개, 여자 15명에 대해 대변기 1개 정도가 적당하다.
3) 욕실설비 - 샤워(shower)식과 욕조식이 있다. 그 위치로는 독립한 건물일 때는 복도쪽에 두고, 중층공장의 경우에는 1층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b) 위안, 오락시설 - 공장 내의 복지, 오락시설은 다음과 같다.
① 주방, 식당 ② 휴게실, 의료시설
③ 도서실 ④ 운동시설
⑤ 클럽(club)
6. 창고건축
[1] 개요 - 화물을 비, 바람으로부터 막고 보관, 저장하는 목적을 갖는 건물을 창고라고 한다.
[2] 창고건축의 종류와 일반계획
(1) 배치와 면적 - 창고는 선박 또는 부선 사이에서 화물을 오르내리는 데 편리한 부두 혹은 해안벽상에 세워지는 것이 보통이다.
(2) 창고와 철도인입선 - 대부분의 화물은 직접 화차에 의해 수송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단 창고에 보관한 후 다시 반출되어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인입선, 혹은 화물자동차 통로와 창고와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3) 단층창고
단층창고에는 다음과 같은 형이 있다.
① 단동 ② 쌍동 ③ 3동
창고 내에 독립기둥을 세우는 것은 근본적으로 불리하기 때문에 구조, 재료가 허용하는 한 스팬(span)을 넓게 해야 한다.
(4) 다층의 창고 - 이것은 부지면적이 협소한 경우에 쓰이며, 큰 내부공간을 얻기 위해서 2개 층을 하나의 공간으로 개방하여 쓰기도 한다.
(5) 창고의 구조 - 단층창고의 경우는 스팬을 넓게 하기 위하여 철골구조가 많이 쓰인다. 또한 그것은 내화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일반계획 또는 구조
(1) 배치 - 배치는 교통상 수륙으로 이용하기에 편한 것이 가장 중요하다.
(2) 창고와 수륙연락 - 수면에 대한 연락설비로는 해변에 임해 있는 창고는 간조를 고려하여야 하며, 간조면보다 1.5m 거리를 두고 준설해야 하며, 또 부선의 정치에 편리하도록 돌출잔교를 설치해야 한다.
(3) 단층창고 - 지가가 낮고 부지가 넓은 경우는 단층인 것이 가장 기능적이다.
(4) 다층창고 - 지가가 높은 부지, 협소한 부지의 경우에 이용되며, 화물의 출입은 필연적으로 기계 설비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5) 평면계획 - 다음으로 하역장의 면적을 결정하는 것은 창고의 평면계획상 제일 중요한 것이다. 미국창고위원회의 각실 소요면적의 평균비율을 참고하면, 먼저 창고의 총면적에서부터 계단, 엘리베이터, 사무소, 복도, 인부실 등을 빼고 난 나머지만을 창고의 이용 가능 면적으로 간주한다.
(6) 창고의 구조 - 창고의 구조는 내화구조여야 함은 물론이고, 철근콘크리트구조가 적합하지만 경비관계상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벽돌, 시멘트블록조 등이 있다. 벽으로는 상술한 모든 것이 사용되지만 하벽부분은 충분히 견고한 것이어야 한다.
(7) 방화설비 - 모든 건물이 화재바지를 해야 하는 것은 공통된 것이지만 특히 창고에서는 이 점이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8) 환기, 채광설비 - 환기구는 방화문제를 고려해야 하며, 창고에 있어서 환기의 의의는 먼지, 벌레, 냉해 등을 방지하거나 혼합 저장시 냄새가 다른 곳으로 옮겨지는 것을 막는데 있다.
(9) 그 밖의 설비 -
a) 방서 창고에 있어서 방서는 상당히 힘든 문제이다. 바닥, 천장 등은 견고하게 하면 문제 없지만 창고의 각 출입구에 있어서의 방서는 그다지 좋은 방법은 업다.
b) 배수, 방조설비 창고 내에서 청소하는 데 쓴 물을 속히 빼내기 위해 배수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4] 하역설비
창고에 있어서 하역설비의 적합성 여부가 창고의 기능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홀하게 새로운 방식의 설비로 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1) 하선 하역기계 - 이것은 화물을 본선에서 운반선을 거쳐 육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말한다.
(2) 운반기계
① 크레인 : 회전식, 직선식, 합성식 등
② 컨베어 : 경사식, 수직식
(3) 창고 내외 연락용 기계
① 호이프 호이스트
② 트롤리 호이스트
(4) 창고 내 하역기계
① 엘리베이터
② 슈트
③ 파일링 머신
④ 포터블 윈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