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충수염 간호과정,간호진단 - 급성충수염 정의,병태생리,증상,진단,치료법 연구 및 급성충수염 간호 케이스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충수염 간호과정,간호진단 - 급성충수염 정의,병태생리,증상,진단,치료법 연구 및 급성충수염 간호 케이스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급성충수염 간호과정,간호진단 - 급성충수염 정의,병태생리,증상,진단,치료법 연구 및 급성충수염 간호 케이스 연구


1. 급성충수염 정의

2. 급성충수염 증상 및 징후

3. 급성충수염 병태생리

4. 급성충수염 진단

5. 급성충수염 치료법
(1) 내과적 치료
(2) 외과적 치료

6. 급성충수염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3) 간호목표
1) 장기목표
2) 단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간호계획
2) 치료적 간호계획
3) 교육적 간호계획
(5) 간호수행
1) 진단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2) 치료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3) 교육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이하로 통증이 감소한다.
2) 단기 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 대상자는 3일 이내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보행할 수 있다.
(4) 간호계획
1) 진단적 간호계획
-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통증을 사정한다.
2) 치료적 간호계획
- 필요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통증을 줄이기 위한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비약물성 통증 완화방법을 교육한다.
3) 교육적 간호계획
- 통증을 느끼는 아동을 지지하도록 부모를 교육한다.
(5) 간호수행
1) 진단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 진단적 간호중재
- 4시간마다 V/S 측정함.
BT
PR
RR
BP
SpO₂
08:00
38.1
120
28
115/75
98
12:00
37.9
105
26
120/80
98
16:00
37.5
110
22
120/84
99
20:00
37.6
100
22
110/72
98
- 4시간마다 통증 사정함.
08:00
12:00
16:00
20:00
NRS
8점
6점
6점
5점
부위
abd pain
abd pain
abd pain
abd pain
양상
쑤심
쑤심
쑤심
쑤심
지속
시간
지속적
30분
지속적
20분
지속적
15분
지속적
15분
*이론적 근거
- 활력징후를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간호 중재이다. 통증으로 인해 맥박과 호흡이 증가하고, 혈압이 변화할 수 있다.
- 통증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통증의 강도에 따라 약물요법 여부와 종류 용량 등 치료 및 간호가 달라진다.
2) 치료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치료적 간호 중재
1.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함.
약물명
용량 및 투여방법
Ketocin Inj
30mg [IV]
Caldolor Inj
300mg [IV]
2. 통증을 줄이기 위한 이완요법을 실시함.
1) 이완요법 : 심호흡
- 비강을 통해 숨을 쉬되, 흉곽이 팽창되고, 복부의 둘레가 증가하는 것이 보일 때까지 천천히 점진적으로 숨을 들이쉬게 함.
- 대상자에게 최대 흡기 말에 3~5초간 정지했다가, 구강을 통해 느린 속도로 서서히 숨을 내쉬게 함.
- 흡기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양 손바닥을 대상자의 하부 늑골 양쪽에 대어 심호흡을 지지함.
2) 전환요법
- 통증이 느껴지면 음악 청취나 TV 시청을 이용하여 기분을 전환하도록 함.
2-1. 베개와 이불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지지해 줌.
- 심호흡, 체위 변경을 할 때 대상자를 지지하며 도움
- 베개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신체 선열을 유지한 채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도움.
2-1. 편안함을 제공함.
- 대상자 침상의 커튼을 쳐 줌.
- 편안한 실내온도와 적당한 환기, 적당한 조명 제공함.
- 소음을 최소화함.
* 이론적 근거
-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 이완요법은 신체적 이완을 가져온다. 신체적인 이완은 골격근의 긴장을 감소하게 하여 통증의 지각을 변화시킨다. 주위 전환 방법은 통증이나 통증에 수반되는 부정적인 느낌에서 새로운 자극으로 주위를 전환하여 통증을 완화한다.
비약물성 통증 완화방법을 통해 대상자가 직접 통증 조절에 참여할 수 있다. 비약물성 통증 완화방법을 통하여 약물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3) 교육적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교육적 간호중재
1. 보호자에게 아동을 지지해줄 것을 교육함.
- 통증에 대한 느낌을 숨기지 않고 표현하도록 격려함.
- 보호자에게 아동이 통증을 호소하면 격려와 지지해줌으로써 불안과 두려움을 감소시키도록 함.
*이론적 근거
- 통증에 대하여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아동의 통증을 파악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파악하고 아동과 가까운 보호자가 아동을 지지해줌으로써 아동의 불안이 감소할 수 있다.
  • 가격3,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2.20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1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