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목차
1. 양동마을의 형성과 변천
2. 한옥에 반영된 사상과 구조
3. 양동마을의 대표적 고택
4. 회재의 생애와 사상
2. 한옥에 반영된 사상과 구조
3. 양동마을의 대표적 고택
4. 회재의 생애와 사상
본문내용
퇴계 학맥의 네 분
김굉필 : 조선조 道의 창시
정여창 : 조선조 도의 창시
조광조 : 道의 실현
이언적 : 道의 정립
이황 : 道의 완성
태극논쟁의 의의
- 주륙논쟁에서 수양론으로 발전
회재의 仁 思想 : 求仁錄
- 인 : 克己復禮
- 회재의 仁 : 公義
김굉필 : 조선조 道의 창시
정여창 : 조선조 도의 창시
조광조 : 道의 실현
이언적 : 道의 정립
이황 : 道의 완성
태극논쟁의 의의
- 주륙논쟁에서 수양론으로 발전
회재의 仁 思想 : 求仁錄
- 인 : 克己復禮
- 회재의 仁 : 公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