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진안개관
Ⅱ. 김유신과 길상사
김유신 탄생 · 김유신장군의 흔적 · 길상사
Ⅲ. 보탑사(寶塔寺)
개관 · 한국목탑연원· 보탑특성과 구조
적조전 · 장군총을 재현한 지장전 · 석비
Ⅳ. 용화사(석조미륵불상)
Ⅴ. 농다리와 축제
Ⅱ. 김유신과 길상사
김유신 탄생 · 김유신장군의 흔적 · 길상사
Ⅲ. 보탑사(寶塔寺)
개관 · 한국목탑연원· 보탑특성과 구조
적조전 · 장군총을 재현한 지장전 · 석비
Ⅳ. 용화사(석조미륵불상)
Ⅴ. 농다리와 축제
본문내용
큰 특징은 거불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큰 키에 비해 양감 없는 돌기둥형 신체, 거친 세부 표현 등은 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의 거대 불보살상의 특징을 보인다. 이 불상은 섬세하게 조각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언뜻 보면 불상으로 보기 힘들 정도이다. 그러나 목· 팔 등을 치장한 구슬을 꿴 장식인 영락(瓔珞)과 왼손에 쥐고 있는 줄기와 오른손에 쥐고 있는 연꽃이 있어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장신의 거구, 양감 없는 직사각형의 불신, 거칠게 표현된 세부 조각 등에서 충청도 지역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용화사 석불입상은 충청남도 논산에 있는 관촉사의 석불입상이나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미륵사지 석불입상처럼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거불의 한 유형이다. 그리고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은 진천읍의 중심에서 멀지 않은 지리적 배경으로 볼 때, 당시 진천 지역에 거주하던 호족 세력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석불은 삼국을 통일한 신라 김유신 장군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세운 불상이라 하여 송덕불상(頌德佛像), 혹은 만덕불상(萬德佛像)이라고도 불린다. 또 『상산지(常山誌)』에서는 임진왜란 때 한양을 향해 북진하던 왜군이 진천에 이르러 불상 맞은편인 삼덕리에 진용을 갖추고 침입하려다, 눈앞에 10척 거구의 일원대장(一員大將)이 위풍당당하게 우뚝 서있는 것을 보고 놀라 주눅이 들어 피해가는 바람에 화를 면했다고 한다. 이처럼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에는 국난에 얽힌 전설이 많아 호국과 관련하여 진천의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다.
Ⅴ. 농다리와 축제
1. 농다리
천년을 이어온 농다리는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의 굴티마을 앞에 있다. 멀리서 보면 다리가 아니라 마치 돌무더기처럼 보인다. 교각을 세우고 반듯하게 돌을 깎아 만든 다리가 아니라 돌을 원래의 모양 그대로 쌓아 투박하기 때문이다. 겉모습은 듬성듬성 구멍도 뚫리고 발로 밟으면 삐걱거리며 움직인다. 큰 돌을 쌓고 그 사이엔 작은 돌을 끼워 넣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천년 세월을 이겨낸 다리다. ‘농다리’의 ‘농’자는 해석이 분분하다. 물건을 넣어 지고 다니는 도구의 ‘농()’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 혹은 고려시대 임연 장군이 ‘용마(龍馬)’를 써서 다리를 놓았다는 전설에서 ‘용’자가 와전되어 ‘농’이 됐다고도 한다.
다리를 구성한 돌들은 모양이 제각각이다. 모두 사력암질의 붉은색 돌을 사용했는데 깎거나 다듬지 않았다. 얼기설기 얹어 놓은 것으로 보이지만 강한 물살에도 떠내려가지 않는 과학적 원리와 함께 철학적 뜻까지 담고 있다. ‘조선환여승람(朝鮮環與勝覽)’의 기록에 따르면 자석배음양, 즉 음양의 기운을 고루 갖춘 돌을 이용해 고려 때 축조했다고 한다. 28개의 교각은 하늘의 기본 별자리인 28수(宿)를 응용했고 장마 때면 물을 거스르지 않고 다리 위로 넘쳐흐르게 만든 수월교(水越橋)형태로 만들어 오랜 세월을 이겨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지네가 기어가는 듯 구불거리는 모양으로 생긴 다리는 빠른 물살에 견디기 위한 구조다.
또한 교각 역할을 하는 기둥들은 타원형으로 만들어져 물살을 피하고 소용돌이가 생기는 것을 막는다. 어눌하게 생긴 돌다리가 천년을 이어온 비밀이 바로 여기에 있다. 10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농다리는 지난 1976년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됐다. 당시만 해도 24간이 남아있던 것을 고증을 통해 최근 28간으로 복원했다.
농다리가 있는 구곡리는 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구곡리에서 농다리를 건너면 나오는 미호천변은 1982년 댐 확장으로 수몰되기 전까지 농다리를 통해 구곡리와 왕래하던 마을이 있던 곳이다.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곳에 부잣집이 있었는데 동냥을 온 도사에게 밥은커녕 소여물을 줘 보낸 후 큰 물난리가 났다는 것. 베풀지 않고 살았던 부잣집은 마을이 수몰된 지금도 저수지 바닥에서 금방아를 찧고 있다고 한다.
또 저수지와 구곡리를 잇는 길을 뚫었는데 이것이 용의 허리를 자른 격이라 비가 많이 오게 됐다는 얘기도 있다. 지금까지도 마을 노인들을 통해 구전되는 얘기들은 대부분 물에 대한 얘기다. 농다리가 생겨난 이유도 고려시대 부친상을 당하고 친정으로 돌아가는 여인이 물을 건너지 못하자 다리를 놓아주었다는 것에서 비롯되니 물과 마을에 얽힌 이야기가 농다리와 함께 천년을 전해온 것이다.
농다리가 있는 구곡리는 상산 임씨의 집성촌이다. 고려 때부터 이곳에 자리 잡은 사람들은 지역을 가꾸는 데 앞장서고 있다. 천년을 이어온 다리라고 하지만 폭우가 내리거나 천재지변으로 인해 일부 유실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때마다 농다리보존회, 농다리지킴이회, 구산동향우회 등 농다리 관련 단체가 복구에 앞장섰다. 최근까지 유실로 인해 24간만 남았던 다리가 고증을 통해 28간으로 복원된 것도 지역단체의 역할이 컸다.
또한 동양 최고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려는 자치단체의 지원도 적극적이었다. 2000년부터 해마다 농다리 축제도 열린다. 농다리에 대해 알리기 위해 전시관도 만들었고 다리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도 만들어졌다. 살아서 농사를 짓기 위해 건너고 죽어서는 꽃상여에 실려 건너는 사람과 공존하는 다리, 바로 진천 농다리다.
2. 농다리축제
생거진천의 농다리는 붉은 자연 음양석을 이용해 축조한 특이한 구조를 지닌 돌다리로서 천년의 신비와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진천군에서는 농다리를 대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조상의 슬기와 싱그러운 자연을 체험하고, 한여름의 무더위를 잊을 수 있는 시원한 문화 관광 축제로 계승· 발전시키고자 2000년 8월 23일 제1회 농다리축제를 개최하였다. 농다리가 무엇이며 왜 그곳에 있는지, 또 그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지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체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농다리축제는 3일간 진행된다. 주요 행사로는 농다리기원제· 농다리점등식· 농다리백일장· 소두머니 용신놀이· 농다리 모형 만들기· 워터서바이벌· 농다리 놓기 재연· 농다리가요제· 농다리장사씨름대회· 축하 공연 등이 진행되며, 그 밖에 문화 예술 공연· 전통문화 행사· 체험 행사· 전시 행사 등이 열린다.
용화사 석불입상은 충청남도 논산에 있는 관촉사의 석불입상이나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미륵사지 석불입상처럼 고려시대에 유행하던 거불의 한 유형이다. 그리고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은 진천읍의 중심에서 멀지 않은 지리적 배경으로 볼 때, 당시 진천 지역에 거주하던 호족 세력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석불은 삼국을 통일한 신라 김유신 장군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세운 불상이라 하여 송덕불상(頌德佛像), 혹은 만덕불상(萬德佛像)이라고도 불린다. 또 『상산지(常山誌)』에서는 임진왜란 때 한양을 향해 북진하던 왜군이 진천에 이르러 불상 맞은편인 삼덕리에 진용을 갖추고 침입하려다, 눈앞에 10척 거구의 일원대장(一員大將)이 위풍당당하게 우뚝 서있는 것을 보고 놀라 주눅이 들어 피해가는 바람에 화를 면했다고 한다. 이처럼 진천 용화사 석불입상에는 국난에 얽힌 전설이 많아 호국과 관련하여 진천의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다.
Ⅴ. 농다리와 축제
1. 농다리
천년을 이어온 농다리는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의 굴티마을 앞에 있다. 멀리서 보면 다리가 아니라 마치 돌무더기처럼 보인다. 교각을 세우고 반듯하게 돌을 깎아 만든 다리가 아니라 돌을 원래의 모양 그대로 쌓아 투박하기 때문이다. 겉모습은 듬성듬성 구멍도 뚫리고 발로 밟으면 삐걱거리며 움직인다. 큰 돌을 쌓고 그 사이엔 작은 돌을 끼워 넣었다. 하지만 놀랍게도 천년 세월을 이겨낸 다리다. ‘농다리’의 ‘농’자는 해석이 분분하다. 물건을 넣어 지고 다니는 도구의 ‘농()’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고 혹은 고려시대 임연 장군이 ‘용마(龍馬)’를 써서 다리를 놓았다는 전설에서 ‘용’자가 와전되어 ‘농’이 됐다고도 한다.
다리를 구성한 돌들은 모양이 제각각이다. 모두 사력암질의 붉은색 돌을 사용했는데 깎거나 다듬지 않았다. 얼기설기 얹어 놓은 것으로 보이지만 강한 물살에도 떠내려가지 않는 과학적 원리와 함께 철학적 뜻까지 담고 있다. ‘조선환여승람(朝鮮環與勝覽)’의 기록에 따르면 자석배음양, 즉 음양의 기운을 고루 갖춘 돌을 이용해 고려 때 축조했다고 한다. 28개의 교각은 하늘의 기본 별자리인 28수(宿)를 응용했고 장마 때면 물을 거스르지 않고 다리 위로 넘쳐흐르게 만든 수월교(水越橋)형태로 만들어 오랜 세월을 이겨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지네가 기어가는 듯 구불거리는 모양으로 생긴 다리는 빠른 물살에 견디기 위한 구조다.
또한 교각 역할을 하는 기둥들은 타원형으로 만들어져 물살을 피하고 소용돌이가 생기는 것을 막는다. 어눌하게 생긴 돌다리가 천년을 이어온 비밀이 바로 여기에 있다. 10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농다리는 지난 1976년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됐다. 당시만 해도 24간이 남아있던 것을 고증을 통해 최근 28간으로 복원했다.
농다리가 있는 구곡리는 물과 관련된 이야기가 많다. 구곡리에서 농다리를 건너면 나오는 미호천변은 1982년 댐 확장으로 수몰되기 전까지 농다리를 통해 구곡리와 왕래하던 마을이 있던 곳이다. 마을에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곳에 부잣집이 있었는데 동냥을 온 도사에게 밥은커녕 소여물을 줘 보낸 후 큰 물난리가 났다는 것. 베풀지 않고 살았던 부잣집은 마을이 수몰된 지금도 저수지 바닥에서 금방아를 찧고 있다고 한다.
또 저수지와 구곡리를 잇는 길을 뚫었는데 이것이 용의 허리를 자른 격이라 비가 많이 오게 됐다는 얘기도 있다. 지금까지도 마을 노인들을 통해 구전되는 얘기들은 대부분 물에 대한 얘기다. 농다리가 생겨난 이유도 고려시대 부친상을 당하고 친정으로 돌아가는 여인이 물을 건너지 못하자 다리를 놓아주었다는 것에서 비롯되니 물과 마을에 얽힌 이야기가 농다리와 함께 천년을 전해온 것이다.
농다리가 있는 구곡리는 상산 임씨의 집성촌이다. 고려 때부터 이곳에 자리 잡은 사람들은 지역을 가꾸는 데 앞장서고 있다. 천년을 이어온 다리라고 하지만 폭우가 내리거나 천재지변으로 인해 일부 유실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때마다 농다리보존회, 농다리지킴이회, 구산동향우회 등 농다리 관련 단체가 복구에 앞장섰다. 최근까지 유실로 인해 24간만 남았던 다리가 고증을 통해 28간으로 복원된 것도 지역단체의 역할이 컸다.
또한 동양 최고의 문화유산을 보존하려는 자치단체의 지원도 적극적이었다. 2000년부터 해마다 농다리 축제도 열린다. 농다리에 대해 알리기 위해 전시관도 만들었고 다리를 내려다볼 수 있는 전망대도 만들어졌다. 살아서 농사를 짓기 위해 건너고 죽어서는 꽃상여에 실려 건너는 사람과 공존하는 다리, 바로 진천 농다리다.
2. 농다리축제
생거진천의 농다리는 붉은 자연 음양석을 이용해 축조한 특이한 구조를 지닌 돌다리로서 천년의 신비와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뛰어난 문화유산이다. 진천군에서는 농다리를 대외적으로 홍보함과 동시에 조상의 슬기와 싱그러운 자연을 체험하고, 한여름의 무더위를 잊을 수 있는 시원한 문화 관광 축제로 계승· 발전시키고자 2000년 8월 23일 제1회 농다리축제를 개최하였다. 농다리가 무엇이며 왜 그곳에 있는지, 또 그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지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체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농다리축제는 3일간 진행된다. 주요 행사로는 농다리기원제· 농다리점등식· 농다리백일장· 소두머니 용신놀이· 농다리 모형 만들기· 워터서바이벌· 농다리 놓기 재연· 농다리가요제· 농다리장사씨름대회· 축하 공연 등이 진행되며, 그 밖에 문화 예술 공연· 전통문화 행사· 체험 행사· 전시 행사 등이 열린다.
키워드
진안개관 , 김유신과 길상사 , 김유신 탄생 김유신장군의 흔적 , 보탑사(寶塔寺) , 한국목탑연원 보탑특성과 구조 , 적조전 , 장군총을 재현한 지장전 석비 , 용화사(석조미륵불상) , 농다리와 축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