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전거 보조바퀴
2. 지문인식 보조 도어락 장치
3. 자기저주파 물리치료장치
4. 전기면도기
5. 접이식 사이드미러
2. 지문인식 보조 도어락 장치
3. 자기저주파 물리치료장치
4. 전기면도기
5. 접이식 사이드미러
본문내용
방식 역시 비밀번호를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곤란을 겪을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사례는 노년층에게 자주 발생한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책이 등장했다. 특히 지문인식기능은 열쇠나 비밀번호 암기 없이도 사람의 고유한 지문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광받은 기술이다.
우측은 지문인식 보조 도어락이 작동하는 원리를 도식화한 것이다.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문에 보조 도어락장치를 설치하되,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음성안내 서비스와 간단한 조작법, 지문정보 분석기술을 통해 현관문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이는 기존의 열쇠를 사용함으로 인해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조기능을 추가한 사전 보호조치 (Before-hand cushioning)원리에 해당한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지문인식 도어락’
3. 자기저주파 물리치료장치
1) 적용할 수 있는 발명원리 : 19번째 주기적 작용
2) 발명의 명칭 : 자기저주파 물리치료장치
(Magnetic low-frequency physical therapy system)
3) 출원번호(일자) 10-2000-0019348 (2000.04.12)
4) 등록번호(일자) 10-2001-0095888 (2001.11.07)
5) 최종처분내용 : 등록결정(일반)
6) 특허와 관련된 기존 문제점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관절염, 근육통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식은 현재 대표적인 물리치료 방식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인체에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은 위험성이 큰 동시에 지속적이고 강한 자극은 오히려 더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도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었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우측은 저주파 자극을 통한 물리치료 장치의 그림이다.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한 통증유발을 방지하고 치료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가변전류 장치를 통해 다양한 세기의 자극을 주기적으로 주도록 고안되었다. 그리고 타이머 기능이 있어 설정해놓은 시간에 전원이 꺼지기 때문에 치료자가 따로 시간을 재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저주파 물리치료기는 해당 특허 외에도 다수가 존재하며, 각 모델이 다양한 부가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가 상용화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주기적 자극을 통해 물리치료기가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한 것이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저주파 물리치료기’ 검색
4. 전기면도기
1) 적용할 수 있는 발명원리 : 18번째 진동
2) 발명의 명칭 : 전기면도기 (Electric Razor)
3) 출원번호(일자) 10-1999-0053811 (1999.11.30)
4) 등록번호(일자) 10-0366665-0000 (2002.12.17)
5) 최종처분내용 : 등록결정(일반)
6) 특허와 관련된 기존 문제점
아침에 바쁘게 수염을 깎다가 면도날에 베인 경험이 있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면도기는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어 왔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면도기의 날이 상했을 경우 얼굴에 상처가 나는 것은 사용자가 감수해야 하는 부작용이었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우측은 전기면도기의 세부 도면이다. 면도날에 모터를 달아 모터의 진동으로 면도날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수염을 효과적으로 깎을 수 있다. 또한 면도날과 피부가 닿는 부분에 망을 씌워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했다.
전기면도기는 현재 집집마다 한 개씩은 가지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었지만, 처음 발명되었을 당시에는 획기적인 발명으로 각광받았다. 그리고 현재는 충전의 방식이나 면도날의 움직임 등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보다 깔끔하고 안전한 면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물체를 진동시켜 문제를 해결한 진동(Vibration) 사례에 해당한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전기면도기’ 검색
5. 접이식 사이드 미러
1) 적용할 수 있는 발명원리 : 15번 역동성 증가
2)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Outside rearview mirror fordable to inside of a moror vehicle)
3) 출원번호(일자) 10-1997-0041010 (1997.08.26)
4) 등록번호(일자) 10-0212262-0000 (1999.05.10)
5) 최종처분내용 : 등록결정(일반)
6) 특허와 관련된 기존 문제점
운전자의 전후좌우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이드미러는 필수이다. 하지만 사이드미러가 옆으로 돌출되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운전이 미숙한 사람의 경우 사이드미러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게다가 예전에는 주차되어있는 차의 사이드미러 전체, 또는 거울을 떼어가는 도난사고도 빈번했다. 따라서 사이드미러의 파손과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 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 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주차시 사이드미러를 실내에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은 조금의 번거로움을 감안한다면 아주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대우자동차에서 고안한 이 방식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사이드미러의 접합부분을 탄성체로 만들어, 주차시 창문을 열어 사이드 미러를 차 안으로 집어넣고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현재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접이식 사이드 미러와 함께 운전 중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용이해졌다. 이는 물체에 유연성을 부가하여 문제를 해결한 ‘역동성 증가’ 사례에 해당한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접이식 백미러’ 검색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대책이 등장했다. 특히 지문인식기능은 열쇠나 비밀번호 암기 없이도 사람의 고유한 지문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각광받은 기술이다.
우측은 지문인식 보조 도어락이 작동하는 원리를 도식화한 것이다.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문에 보조 도어락장치를 설치하되, 사용자의 지문인식을 통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음성안내 서비스와 간단한 조작법, 지문정보 분석기술을 통해 현관문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시켰다. 이는 기존의 열쇠를 사용함으로 인해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보조기능을 추가한 사전 보호조치 (Before-hand cushioning)원리에 해당한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지문인식 도어락’
3. 자기저주파 물리치료장치
1) 적용할 수 있는 발명원리 : 19번째 주기적 작용
2) 발명의 명칭 : 자기저주파 물리치료장치
(Magnetic low-frequency physical therapy system)
3) 출원번호(일자) 10-2000-0019348 (2000.04.12)
4) 등록번호(일자) 10-2001-0095888 (2001.11.07)
5) 최종처분내용 : 등록결정(일반)
6) 특허와 관련된 기존 문제점
인체에 저주파 자극을 주어 관절염, 근육통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방식은 현재 대표적인 물리치료 방식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인체에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은 위험성이 큰 동시에 지속적이고 강한 자극은 오히려 더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도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었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우측은 저주파 자극을 통한 물리치료 장치의 그림이다. 지속적인 자극으로 인한 통증유발을 방지하고 치료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가변전류 장치를 통해 다양한 세기의 자극을 주기적으로 주도록 고안되었다. 그리고 타이머 기능이 있어 설정해놓은 시간에 전원이 꺼지기 때문에 치료자가 따로 시간을 재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저주파 물리치료기는 해당 특허 외에도 다수가 존재하며, 각 모델이 다양한 부가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가 상용화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주기적 자극을 통해 물리치료기가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한 것이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저주파 물리치료기’ 검색
4. 전기면도기
1) 적용할 수 있는 발명원리 : 18번째 진동
2) 발명의 명칭 : 전기면도기 (Electric Razor)
3) 출원번호(일자) 10-1999-0053811 (1999.11.30)
4) 등록번호(일자) 10-0366665-0000 (2002.12.17)
5) 최종처분내용 : 등록결정(일반)
6) 특허와 관련된 기존 문제점
아침에 바쁘게 수염을 깎다가 면도날에 베인 경험이 있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면도기는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어 왔다. 그러나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면도기의 날이 상했을 경우 얼굴에 상처가 나는 것은 사용자가 감수해야 하는 부작용이었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우측은 전기면도기의 세부 도면이다. 면도날에 모터를 달아 모터의 진동으로 면도날이 빠르게 움직이면서 수염을 효과적으로 깎을 수 있다. 또한 면도날과 피부가 닿는 부분에 망을 씌워 피부의 손상을 최소화했다.
전기면도기는 현재 집집마다 한 개씩은 가지고 있을 정도로 보편화되었지만, 처음 발명되었을 당시에는 획기적인 발명으로 각광받았다. 그리고 현재는 충전의 방식이나 면도날의 움직임 등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져 보다 깔끔하고 안전한 면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물체를 진동시켜 문제를 해결한 진동(Vibration) 사례에 해당한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전기면도기’ 검색
5. 접이식 사이드 미러
1) 적용할 수 있는 발명원리 : 15번 역동성 증가
2)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실내 접이식 백미러
(Outside rearview mirror fordable to inside of a moror vehicle)
3) 출원번호(일자) 10-1997-0041010 (1997.08.26)
4) 등록번호(일자) 10-0212262-0000 (1999.05.10)
5) 최종처분내용 : 등록결정(일반)
6) 특허와 관련된 기존 문제점
운전자의 전후좌우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이드미러는 필수이다. 하지만 사이드미러가 옆으로 돌출되어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운전이 미숙한 사람의 경우 사이드미러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게다가 예전에는 주차되어있는 차의 사이드미러 전체, 또는 거울을 떼어가는 도난사고도 빈번했다. 따라서 사이드미러의 파손과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7) 나비모형을 이용한 모순 해결
8) 시간상태 모형을 이용한 모순 해결
9) 특허의 해결내용
주차시 사이드미러를 실내에 보관할 수 있다는 것은 조금의 번거로움을 감안한다면 아주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대우자동차에서 고안한 이 방식은 자동차의 프런트도어와 사이드미러의 접합부분을 탄성체로 만들어, 주차시 창문을 열어 사이드 미러를 차 안으로 집어넣고 창문을 닫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현재는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접이식 사이드 미러와 함께 운전 중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용이해졌다. 이는 물체에 유연성을 부가하여 문제를 해결한 ‘역동성 증가’ 사례에 해당한다.
그림출처 : http://www.kipris.or.kr/kor/main/main.jsp ‘접이식 백미러’ 검색
추천자료
삼성 그룹의 TRIZ 교육
[발명교육][발명교육 필요성][발명교육 목표][발명교육 실태][발명 발상기법][발명교육]발명...
트리즈 이론에 대해서 (PPT자료도 있음)
Triz 의 정의와 예문
[특허][특허증권화][국유특허][특허심판원][특허라이센싱][특허대행][특허기부][특허기술지도...
[특허][기업활동][특허 이용관계][특허 선행기술조사][특허 경쟁력 제고 방안]특허의 조건, ...
육색사고모자
[발명공작활동, 발명공작활동 사례1, 발명공작활동 사례2, 발명공작활동 사례3, 사례4, 사례5...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 -트리즈[TRIZ]에 대해서
[ 사례조사 ) 우리 주변에 기술적 모순이나 물리적 모순을 해결한 사례를 조사3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