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심방중격결손(ASD)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1개 매우꼼꼼한 자료로 A+받았습니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심방중격결손(ASD)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1개 매우꼼꼼한 자료로 A+받았습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사용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질병경과
4. 간호과정 적용: 간호문제→간호진단→간호계획 및 수행→평가

Ⅳ. 결 론
잘 작성한 내용, 부족한 내용, 소감 등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규칙적인 호흡 관찰됨(50회/min)
-Haemophilus influenzae 검출됨
- Ambrocol Syrup
1ml b.i.d PO
order
간호과정
사 정
간호진단
장기목표/
단기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이렇게 콧물을 자주 닦아줘야 해요...”
(by 모)
“애기가 계속
코가 막혀서
숨을 편하게
쉬질 못해요”
(by 모)
- 힘겹게 호흡하며
“끅..끅..꺽꺽..꺽..”
과 같은
wheezing sound 가 관찰됨
- 호흡 시 그르렁 거리는 수포음 관찰됨(rale)
- 다량의 rhinorrhea 관찰됨
(양상:희고 묽음)
- 다량의 분비물로 인해 잦은 cough 관찰됨
- Ambrocol Syrup
1ml b.i.d PO
order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Ineffective Airway Clearance)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수포음이 관찰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부모는
3일 이내에
콧물이
줄어들었다고
얘기할 것이다.
대상자의 부모는
2일 뒤 분비물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진단적 계획
1. 기도가 청결하지 않으면
호흡이 어려워 호흡횟수가 빨라질 수 있다.
2. 수포음은 기도에 분비물이 있음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3. 다량의 끈끈한 분비물은 기도 저항을 증가시키며,
비정상적인 콧물, 객담은 감염을 의미할 수 있다.
3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횟수를 사정한 결과, 50회/min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의 호흡음을
사정한 결과, 그르렁거리는 수포음이 관찰되었다.
대상자의 분비물을
사정한 결과, 냄새가 없는 흰색의 묽은 콧물이 다량
관찰되었다.
<장기목표>
퇴원 시 대상자의
호흡음을 사정한 결과 수포음이 관찰되지 않았다.
(목표 달성)
<단기목표>
3일 뒤 대상자의
부모가 콧물을 닦아주는 횟수가 현저히 줄었다고 간호사에게 얘기하였다.
(목표 달성)
대상자의 부모가 2일 뒤
체위배액
시행방법을
간호사에게
설명하였다.
(목표 달성)
1. 3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 횟수를 사정한다.
2. 3시간마다 대상자의 호흡음을 사정한다.
3. duty 마다 대상자 분비물의 색, 점도, 냄새, 양을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4. 진해제 및 거담제는
분비물의 청결 및 배출을 도와 기도의 청결을 촉진시킨다.
5. 체위배액은 중력을 이용하여 분비물이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기관지의 섬모활동을
보조해 준다.
6. 적절한 습도는 분비물의 점도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분비물 배출에 도움을 준다.
7. 적절한 온도는 분비물을
묽게 하고 분비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4. 처방에 따라 Ambrocol Syrup을 1ml 하루 2번 PO로 투여하였다.
5. 체위배액 전 분무요법 으로 기관지를 확장시킨 후, 적절한 자세로 체위배액을 실시하였다.
6. 대상자의 옆에 가습기를 놔두어 습도를 40~60%
정도로 유지하였다.
7. 적절한 환기와 난방을 병행하여 병실의 온도를 24~26°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4. 처방에 따라 진해제나 거담제를
투여한다.
5. 영아에게 적절한 체위배액을
시행한다.(참고자료) 타진법이 필요하다면 작은 영아 전용 기구를 사용하여 조심스럽게 시행하며, 머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조심한다.
6. 대상자의 침상 옆에 가습기를 적용하여 습도를 40~60%으로
유지되게 한다.
7. 대상자의 병실 온도를 24~26°
정도로 유지한다.
교육적 계획
8. 영아의 경우, 스스로 기도청결을 유지하기 불가능하므로 부모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9. 스포이드를 이용하면 코 점막에 무리한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분비물을 흡인하기 용이하다.
8. 부모에게 그림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분비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체위배액법을
교육하였다.
9. 부모에게 스포이드를 이용한 분비물 흡인법을
교육하여, 대상자의 부모가
약국에서 구입한 뒤 대상자의 코에 적용하였다.
8. 대상자의 부모에게 퇴원 후 가정에서 실시할 수 있는 체위배액법에 대해 교육한다.
9. 대상자의 부모에게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분비물을 빨아 들이는
방법이 있음을 알려준다.
Ⅳ. 결 론
최근 소아과 인력도 부족하고 소아과 근무를 기피하는 경향도 많아 다른 학교의 경우 소아병동 실습을 못가는
경우도 잦다고 들었다. 그래서 이번 아동간호학 실습이 귀한 기회라고 느껴졌고, 적은 환아의 숫자에도 감사함을
느끼면서 실습을 진행하였던 것 같다. 실습을 진행하면서, 어느 곳보다 환자와의 라포 형성이 중요한 곳이 소아병동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성인과는 많이 다른 아이들의 신체도 많이 공부해야 할 부분이라는 걸 절실히
깨달아, 실습을 마치고도 이것저것 찾아보며 하나씩 배워가는 시간을 가졌는데 그 시간이 참 소중했다.
내 대상자의 경우 같이 검사를 갔다오는 과정에서 많은 관찰을 할 수 있었고, 보호자와도 라포를 형성할 수 있었다.
특히 보호자와 내 이름이 성까지 똑같았다. 대상자 정보 누설 금지이니 티는 내지 못했지만 정말 흔하지 않은 이름인데, 속으로 많이 신기하였다. 대상자가 앞으로 정말 건강했으면 하는 바람이며, 나도 앞으로 열심히 배워서
환아의 질병이 잘 회복되어 행복하게 살게 해줄 수 있는 그런 능력 있는 간호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Ⅴ. 참고문헌 (APA)
MARILYN J Hockenberry 외.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1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방 중격 결손증”.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99&cid=51007&categoryId=51007. (2023.03.22.)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심방 중격 결손증”.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503&cid=51004&categoryId=51004. (2023.03.22.)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심방 중격 결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37. (2023.03.23.)
  • 가격2,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4.03.19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4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