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실중격결손
1. 정의
2. 발생빈도
3. 심실중격결손의 해부학적 분류 (Soto등의 분류법)
4. 임상양상 및 진단소견
5. 자연경과
6. 외과치료법
1. 정의
2. 발생빈도
3. 심실중격결손의 해부학적 분류 (Soto등의 분류법)
4. 임상양상 및 진단소견
5. 자연경과
6. 외과치료법
본문내용
ding)
① 목적
폐동맥밴딩이란 간단히 말해서 과도한 폐동맥혈류를 가진 환자에서 폐동맥을 좁혀줌으로서 과도한 폐동맥혈류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는 술식이다. 과거에는 영아기에 시행하는 교정수술의 위험성이 높았기 때문에 이시기에 심한 증상이 있거나 또는 폐쇄성 폐혈관질환의 진행이 예상될 때는 일단 폐동맥밴딩을 시행하여 환자를 안정시킨 다음 환자가 어느 정도 자란 후 이차로 교정수술을 시행해 주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영아기나 신생아기 환자에서의 일차 교정수술 성적이 현저히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폐동맥밴딩 자체의 사망률이나 합병증도 무시할 수없을 정도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나이에 관계없이 바로 교정수술을 시행하고 폐동맥밴딩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② 적응증
현재 심실중격결손에서 폐동맥밴딩의 적응ㅇ증은 다발성심실중격결손에 국한된다. 이 형에서는 결손의 폐쇄시 좌심실절개술을 요하기 때문에 어린 영아기에 수술을 요하는 경우 좌심실의 절개에 따른 심각한 수술 후 좌심실 기능장애가 예상된다. 따라서 이런 환자들에서는 일단 폐동맥밴딩을 시행한 뒤 3~5세 때 가서 좌심실절개를 통하여 결손을 폐쇄시켜주는 방법을 택한다.
① 목적
폐동맥밴딩이란 간단히 말해서 과도한 폐동맥혈류를 가진 환자에서 폐동맥을 좁혀줌으로서 과도한 폐동맥혈류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는 술식이다. 과거에는 영아기에 시행하는 교정수술의 위험성이 높았기 때문에 이시기에 심한 증상이 있거나 또는 폐쇄성 폐혈관질환의 진행이 예상될 때는 일단 폐동맥밴딩을 시행하여 환자를 안정시킨 다음 환자가 어느 정도 자란 후 이차로 교정수술을 시행해 주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영아기나 신생아기 환자에서의 일차 교정수술 성적이 현저히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폐동맥밴딩 자체의 사망률이나 합병증도 무시할 수없을 정도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나이에 관계없이 바로 교정수술을 시행하고 폐동맥밴딩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② 적응증
현재 심실중격결손에서 폐동맥밴딩의 적응ㅇ증은 다발성심실중격결손에 국한된다. 이 형에서는 결손의 폐쇄시 좌심실절개술을 요하기 때문에 어린 영아기에 수술을 요하는 경우 좌심실의 절개에 따른 심각한 수술 후 좌심실 기능장애가 예상된다. 따라서 이런 환자들에서는 일단 폐동맥밴딩을 시행한 뒤 3~5세 때 가서 좌심실절개를 통하여 결손을 폐쇄시켜주는 방법을 택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