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 치매(dementia)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8개, 간호과정 1개 A+받은 자료입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간호학 치매(dementia)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8개, 간호과정 1개 A+받은 자료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것을 교육한다.
1. ADL은 자가간호 능력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해주어 대상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이전 용변 습관 및 현재 용변 패턴을 고려한다면 배변 및 배뇨 프로그램의 효과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3. 스스로의 상태에 대한 이해와 지식 정도는 교육계획의 수립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된다.
4. 대상자로 하여금 무게중심을 잡게 해주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5. 편안한 음악은 괄약근을 이완시켜 시원하게 용변을 보는 데 도움을 준다.
6. 용변 시 재촉하면 대상자에게 불안과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괄약근의 이완을 방해하고 대상자가 용변 보는 것을 거부할 수 있다.
7. 빨리 풀고 벗을 수 있는 옷은 대상자가 용변을 참는 시간을 줄여준다.
8. 치매 대상자는 혼자 용변을 보러 이동하고 용변을 보는 것이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9. 용변을 스스로 보기 어려운 대상자는 가족이나 주위로부터 소외되고 자존감이 저하되기 쉽다.
10. 치매 대상자의 경우 화장실까지
가는 데 거동의 불편함을 겪기 쉽다.
11. 상대방이 당혹감이나 혐오감을 표출하면 대상자는 수치심을 느끼고 용변을 숨길 수 있다.
① ~ ⑪번
수행함.
<장기목표>
퇴원 시 대상자는 이동식 변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용변을 보았다.
(목표 달성)
<단기목표>
대상자가 다음날부터 용변을 보고싶을 때 호출기로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였다.
<참고문헌>
송경애 외 29명.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1). 542-557.
유선영 외 10명. 노인간호학. 고문사. (2021). 208-213.
행복의 집. “치매노인 간호방법”.
http://hphouse.kr/치매노인-간호방법/. (22.12.14).
한국치매협회. “실금에 대한 대처”.
http://www.silverweb.or.kr/load.v2.asp?sub_p=board/board&b_code=4&page=2&f_cate=&idx=2706&board_md=view. (22.12.15).
과제를 마치며...
평소 노인환자라고 생각하면 사실 부끄럽게도 간호하기 까다롭게 느껴진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는데, 노인에 대해
포괄적으로 배워보니 우리가 간호사로서 공경하는 마음으로 맞춤형 간호를 잘 해주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업 시간에 인상깊었던 교수님 말씀 중 “내가 너에게 우유를 주었던 것처럼 너도 내가 몸이 약할 때 잘 돌보아주고 내가 너의 기저귀를 갈아주었듯이 너도 나를 잘 보살펴주고 사랑해다오” 이런 식의 내용이 기억에 떠오릅니다.
모든 노인환자를 간호하기에 앞서 내 자신의 부모님이라고 생각하고 다가선다면 제가 노인 환자분들께 정말
따뜻한 간호를 해드릴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직은 많이 배워야 하는 학생이지만, 열심히 배우고 역량을 함양하여서 저에게 간호받은 것이 행운이 될 수 있게, 노인환자분들의 삶이 행복해지는데 기여할 수 있는 그런 능력있는
간호사가 되고 싶습니다. 한 학기동안 지루할 틈 없이 너무 재미있는 수업 해주셔서 감사드려요 교수님!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3.19
  • 저작시기202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4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