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고 칸막이벽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림 3과 같이 1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 비내력 벽돌벽이 있는 경우에는 1층에 R.C. 전단벽을 추가하는 방안도 검토되었다. 또 상당수의 주상복합건물들은 평면이 ㄱ, ㄷ, Y, Z 등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비정형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로 인하여 상당한 비틀림거동을 하게 되어서 하부층의 기둥들에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주상복합건물은 moment frame으로 건축이 되고 있으며 극히 일부가 벽식구조(box system)로 건설이 되었는데 1986년에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에 l동이 붕괴되어 그 이후로는 벽식구조를 기피하고 있다고 한다.
대만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수도관이나 전기배선을 위한 PVC 관을 매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지진에 의하여 기둥이 피해를 입도록 하는 한가지의 원인이 되었다.
여러 곳의 학교가 붕괴되었지만 지진발생이 한밤중이었기 때문에 인명피해는 크지 않았다.
대북은 진앙지에서 약 120km 떨어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지반가속도(PGA)가 0.12g 정도 기록되기도 하였으나.대부분의 지역에서는 0.08g 정도의 지반가속도가 기록되었다. 특히 대북은 Taipei Basin의 두꺼운 퇴적층 위에 건설이 되었으며 지반의 주된 진동주기가 1초 정도여서 10층 정도의 건물들에 약간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송산호텔(12층)의 하부층들이 파손되어 건물 전체의 붕괴를 초래하였고 이웃한 건물에도 충돌로 인하여 약간의 피해를 가하였다. 이 건물의 붕괴는 기둥에서의 이음(splice)의 길이와 위치가 적절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었다.
○ 건축물의 피해원인
지진이 발생한 후에 대만의 건축구조분야 전문가들은 지진피해를 입은 건축물들의 피해를 면밀히 조사하고 피해원인에 관하여 여러 가지로 분석한 결과 건축물의 지진피해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하였다.
(A) 잘못된 구조시스템
건축물이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정형성(irregularity)이 강한 평면을 가지거나 입면에서 soft first story와 같은 비정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
건설업자들이 공사비를 줄이기 위하여 시멘트 대신에 fly ash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당히 저하되어 치명적인 피해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C) 부적절한 횡보강 철근(hoop)
지진피해를 입은 대부분의 기둥들은 연성거동을 하지 못하고 취성 파괴를 일으켰다. 그 이유는 횡보강 철근이 적절히 사용되지 못한 데 있었다. Hoop의 간격이 지나치게 커서 제대로 주근(주근)을 보호하지 못하였으며 hoop 철근 단부의 구부림을 135° 로 하지 않고 90° 로 하여 지진피해가 발생하면 hoop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참고: 1982년 개정된 신 내진설계기준에서는 hoop 간격을 촘촘히 요구함). 그리고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와 기둥의 접합부에는 시공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hoop 철근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였다.
(D) 기타 이유
그 밖에도 전반적으로 구조기술자를 경시하는 문제와 구조기술자들이 구조물 전체를 생각하지 못하고 부분만을 생각하는 문제 등을 지적하였으며 특히 주상복합건물에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 방지 대책
①지진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역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데 제대로 내진대책을 세우지 않고 이러한 지진의 피해를 방지하는 방법은 없다.
②지진피해를 입은 대부분의 건물들은 비대칭 평면을 가졌거나 soft first story를 가지는 등 구조계획상에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진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밀한 계산이 아니라 경험과 이론에 근거한 우수한 구조계획임을 알 수가 있었다.
③많은 건축물들이 부실 시공(부실재료 포함)에 의하여 붕괴되거나 피해를 입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내진설계와 함께 지진피해 방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실 시공을 방지하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④많은 건물들이 기둥의 파괴로 인하여 붕괴되었다. 건축물의 붕괴방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기둥의 취성 파괴를 방지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일은 hoop의 간격을 좁히고 hoop의 형상을 제대로 만드는 일이다.
출 처 : http://www.nidp.go.kr/ 국립 방재 연구소
http://eqstory.skku.ac.kr/ 내진 설계 이야기
대부분의 주상복합건물은 moment frame으로 건축이 되고 있으며 극히 일부가 벽식구조(box system)로 건설이 되었는데 1986년에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에 l동이 붕괴되어 그 이후로는 벽식구조를 기피하고 있다고 한다.
대만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수도관이나 전기배선을 위한 PVC 관을 매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지진에 의하여 기둥이 피해를 입도록 하는 한가지의 원인이 되었다.
여러 곳의 학교가 붕괴되었지만 지진발생이 한밤중이었기 때문에 인명피해는 크지 않았다.
대북은 진앙지에서 약 120km 떨어져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최대지반가속도(PGA)가 0.12g 정도 기록되기도 하였으나.대부분의 지역에서는 0.08g 정도의 지반가속도가 기록되었다. 특히 대북은 Taipei Basin의 두꺼운 퇴적층 위에 건설이 되었으며 지반의 주된 진동주기가 1초 정도여서 10층 정도의 건물들에 약간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송산호텔(12층)의 하부층들이 파손되어 건물 전체의 붕괴를 초래하였고 이웃한 건물에도 충돌로 인하여 약간의 피해를 가하였다. 이 건물의 붕괴는 기둥에서의 이음(splice)의 길이와 위치가 적절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었다.
○ 건축물의 피해원인
지진이 발생한 후에 대만의 건축구조분야 전문가들은 지진피해를 입은 건축물들의 피해를 면밀히 조사하고 피해원인에 관하여 여러 가지로 분석한 결과 건축물의 지진피해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하였다.
(A) 잘못된 구조시스템
건축물이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정형성(irregularity)이 강한 평면을 가지거나 입면에서 soft first story와 같은 비정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콘크리트의 강도 부족
건설업자들이 공사비를 줄이기 위하여 시멘트 대신에 fly ash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상당히 저하되어 치명적인 피해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C) 부적절한 횡보강 철근(hoop)
지진피해를 입은 대부분의 기둥들은 연성거동을 하지 못하고 취성 파괴를 일으켰다. 그 이유는 횡보강 철근이 적절히 사용되지 못한 데 있었다. Hoop의 간격이 지나치게 커서 제대로 주근(주근)을 보호하지 못하였으며 hoop 철근 단부의 구부림을 135° 로 하지 않고 90° 로 하여 지진피해가 발생하면 hoop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참고: 1982년 개정된 신 내진설계기준에서는 hoop 간격을 촘촘히 요구함). 그리고 그림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와 기둥의 접합부에는 시공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hoop 철근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였다.
(D) 기타 이유
그 밖에도 전반적으로 구조기술자를 경시하는 문제와 구조기술자들이 구조물 전체를 생각하지 못하고 부분만을 생각하는 문제 등을 지적하였으며 특히 주상복합건물에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 방지 대책
①지진으로부터 자유로운 지역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데 제대로 내진대책을 세우지 않고 이러한 지진의 피해를 방지하는 방법은 없다.
②지진피해를 입은 대부분의 건물들은 비대칭 평면을 가졌거나 soft first story를 가지는 등 구조계획상에 약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진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밀한 계산이 아니라 경험과 이론에 근거한 우수한 구조계획임을 알 수가 있었다.
③많은 건축물들이 부실 시공(부실재료 포함)에 의하여 붕괴되거나 피해를 입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내진설계와 함께 지진피해 방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실 시공을 방지하는 것임을 재확인하였다.
④많은 건물들이 기둥의 파괴로 인하여 붕괴되었다. 건축물의 붕괴방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기둥의 취성 파괴를 방지하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가장 중요한 일은 hoop의 간격을 좁히고 hoop의 형상을 제대로 만드는 일이다.
출 처 : http://www.nidp.go.kr/ 국립 방재 연구소
http://eqstory.skku.ac.kr/ 내진 설계 이야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