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상담의 분류
2) 가족 탐색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1) 상담의 분류
2) 가족 탐색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녀를 부모님에게 맡기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불만을 이야기하기 시작하였다. 우직한 모습이 요즘은 불평불만이 가득한 사람으로 변했다. 아들과 딸은 나와 속 이야기를 나누었던 사이였다가 최근 아들의 사춘기가 접어들면서 변하고 있다. 사춘기 시절의 모습을 최대의 극치로 보이면서 아들은 묵언으로 생활을 한다.
⑤ 문제의 원인
남편과 나의 문제가 첫 번째 이다. 소홀해진 나에게 불만이 쌓여서 생겼다. 일이 바빠지면서 가정에 치중하지 못하였다. 일을 조금 줄이거나, 바쁜 시즌만 잘 넘기고 나서 원 위치로 돌아가고자 한다. 두 번째의 문제는 사춘기 아들이다. 예전 이야기를 잘하고, 원만했던 관계가 있었다. 그런데 사춘기가 오면서 아들은 입을 닫는 묵언이다. 아들과 부딪히는 관계를 해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된다.
⑥ 치료방법
남편과의 문제해결은 나의 일을 줄이고, 집으로 다시 원상복귀이다. 나의 일도 중요하지만, 가정에 우선을 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5월의 바쁜 시기에 대해서 남편에게 찬찬히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 남편의 불평과 불만이 어떤 것인지 듣고, 해결할 수 있는 것부터 하고자 하였다. 또 내가 하지 못할 경우 미리 이야기 하면서 소통의 시간을 가지고자 하였다. 아들은 주변의 사춘기를 둔 부모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상담을 통해 기다려주는 것이 해결책임을 알게 되었다. 다그치기보다 기다려주며 나에게 다가오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사춘기를 둔 부모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아이들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았고, 나의 자녀는 어떠한 양상을 하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결국 사춘기 아들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아들이 다가올 때 잘 들어주고, 반가워 해주며 믿어주는 것이었다.
⑦ 소감
과제를 통해서 나의 가족을 찬찬히 살펴볼 수 있었다. 내 삶이 바빠서 나의 부모님조차 돌아보지 못했다. 공부와 일과 가정에 집중하던 내 삶에서 일이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를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남편이 이 과정을 통해 고마워졌고, 감사했다. 또 나를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Ⅲ. 결론
상담이란 것은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다. 과거에 트라우마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성인이 되어도 지속적으로 그것이 튀어나오게 된다. 그래서 자녀를 키우는 부모의 경우 상실감에 느끼거나 우울감이 올 때에는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Ⅳ. 참고문헌
1. 가족치료의 이해 정문자, 정혜정 외 2명 저 | 학지사 | 2014.01.05
⑤ 문제의 원인
남편과 나의 문제가 첫 번째 이다. 소홀해진 나에게 불만이 쌓여서 생겼다. 일이 바빠지면서 가정에 치중하지 못하였다. 일을 조금 줄이거나, 바쁜 시즌만 잘 넘기고 나서 원 위치로 돌아가고자 한다. 두 번째의 문제는 사춘기 아들이다. 예전 이야기를 잘하고, 원만했던 관계가 있었다. 그런데 사춘기가 오면서 아들은 입을 닫는 묵언이다. 아들과 부딪히는 관계를 해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가 된다.
⑥ 치료방법
남편과의 문제해결은 나의 일을 줄이고, 집으로 다시 원상복귀이다. 나의 일도 중요하지만, 가정에 우선을 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5월의 바쁜 시기에 대해서 남편에게 찬찬히 설명을 하고자 하였다. 남편의 불평과 불만이 어떤 것인지 듣고, 해결할 수 있는 것부터 하고자 하였다. 또 내가 하지 못할 경우 미리 이야기 하면서 소통의 시간을 가지고자 하였다. 아들은 주변의 사춘기를 둔 부모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상담을 통해 기다려주는 것이 해결책임을 알게 되었다. 다그치기보다 기다려주며 나에게 다가오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사춘기를 둔 부모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아이들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알았고, 나의 자녀는 어떠한 양상을 하는지 분석할 수 있었다. 결국 사춘기 아들에게 해줄 수 있는 것은 아들이 다가올 때 잘 들어주고, 반가워 해주며 믿어주는 것이었다.
⑦ 소감
과제를 통해서 나의 가족을 찬찬히 살펴볼 수 있었다. 내 삶이 바빠서 나의 부모님조차 돌아보지 못했다. 공부와 일과 가정에 집중하던 내 삶에서 일이 전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를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남편이 이 과정을 통해 고마워졌고, 감사했다. 또 나를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Ⅲ. 결론
상담이란 것은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다. 과거에 트라우마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성인이 되어도 지속적으로 그것이 튀어나오게 된다. 그래서 자녀를 키우는 부모의 경우 상실감에 느끼거나 우울감이 올 때에는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Ⅳ. 참고문헌
1. 가족치료의 이해 정문자, 정혜정 외 2명 저 | 학지사 | 2014.01.05
추천자료
: 유아 생활지도와 상담
상담 이론의 실제
[놀이치료][놀이][치료][다감각놀이프로그램]놀이치료의 중요성, 놀이치료의 목표, 놀이치료...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사회복지조사론, 가설검증, 연구문제, 가설설...
[기독교와 심리치료] 융 치료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 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
2017년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속한 지...
[인터넷 중독 프로그램][사업명 - 내 아이 내가 변화시키기]
학교사회사업론] 학교사회복지의 필요성과 목적 개념 자신이 속한 지역의 특성과 상황을 기술...
주제는 가족상담의 중요한 주제인 가족탐색입니다. 우리가 배우고 있는 이론을 참고로 해도 ...
1학기 부모 상담일지 만5세11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