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 자궁선근증(adenomyosis) case study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 자궁선근증(adenomyosis)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례선정 이유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ⅰ. 일반적 사정
ⅱ. 대상자의 건강력
ⅲ. 건강사정
ⅳ. 약물 요법
ⅴ. 검사결과 (임상병리검사, 진단검사 등)

Ⅳ. 간호과정 작용
ⅰ.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
ⅱ. 간호진단 적용

Ⅴ. 결론 및 소감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00
NRS 8점 복부 쑤심 지속적 10분이상
->Tridol inj[50mg] 투여
11:30
NRS 3점 복부 쑤심 간헐적 5분내
-매일 대상자의 NRS 통증 척도를 사정하였다.14:00
NRS 6점 복부 쑤심 지속적 10분이상
->Pethidine inj[50mg] 투여
14:30
NRS 4점 복부 쑤심 간헐적 3분이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교육시켰다.
->환자가 느끼는 편안한 체위를 취해보도록 하였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Tridol inj[50mg] 1amp #1 IV
->Pethidine inj[50mg/1ml]
간호평가
-2일 이내에 대상자는 통증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달성)
-퇴원시까지 대상자의 통증이 3점 이하로 감소하였다.(달성)
#2. 불충분한 신체활동과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3일정도 대변을 못봤어요,,,”
3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함.
불충분한 신체활동(30분도 운동하지 않음).
하루 4잔 정도의 수분만 섭취.
식사 1/3 정도만 드심.
간호진단
불충분한 신체활동과 관련된 변비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하루 이내에 1L이상의 수분을 섭취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1~2일 동안 1회 대변을 볼 수 있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하루에 1L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신체움직임이 증가하도록 하루에 천천히 30분 이상 걷도록 한다.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화장실로 갈 수 있도록 교육한다.
-장에 자극을 주는 복부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그래도 대변이 안나올 경우 마지막 방법으로 하제나 관장을 시행한다.
이론적 근거
-하루에 많은 물을 마시고, 섬유질이 많은 채소 등으로 바꾸는 이유는 수분섭취를 증가시켜 대변이 용이하게 나오게 하기 위해서이다.
-30분 이상 걸으면 장 운동이 증가한다.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화장실을 가야 그때 대변을 조금 더 용이하게 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장에 자극을 줄 수 있도록 복부를 따뜻하게 하고, 손으로 마사지를 하면 장 운동이 증가한다.
간호중재
-하루에 1L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권장하였다.
->1L를 마시기 시작한 후 1.5L를 마시고 있음.
->식이는 섬유질이 많은 채소를 위주로 식사함.
-신체움직임이 증가하도록 하루에 천천히 30분 이상 병동내에서 걷도록 하였다.
->“천천히 30분 이상 병동을 돌아다니시면 복부가 자극되면서 변의를 느끼실 수 있을거에요.”
-변의가 느껴지면 바로 화장실로 갈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대변이 나올거 같으면 바로 화장실을 가보세요.”
-장에 자극을 주는 복부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복부를 따뜻하게 해주고, 마사지를 해주면 대변이 잘 나오실거에요”
-그래도 대변이 안나올 경우 마지막 방법으로 하제나 관장을 시행한다.
->이 방법을 시행하기 전에 대변을 봄.
간호평가
대상자는 하루 이내에 1L이상의 수분을 섭취하였다.(달성)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1~2일 동안 1회 대변을 볼 수 있다.(달성)
#3. 입원으로 인한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잠이 안와요. 집에서는 잘 잤는데... 병원에 입원해서 그런건가..?“
밤마다 잠을 못자는 모습 관찰됨.
낮에 졸려서 힘들어하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입원으로 인한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목표
단기목표
-2일 이내로 개상자가 수면의 질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적어도 3가지 이상을 알고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퇴원시까지 대상자는 전보다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다고 스스로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퇴원시까지 잠을 푹 자고, 피곤함이 없을 것이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매일 아침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사정한다.
-수면의 질을 증진 시키는 방법을 대상자한테 교육한다.
-대상자가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리하도록 격려하고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조절한다.
-대상자의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이론적 근거
-수면의 질을 사정하면서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파악하여 수면의 질을 방해하는 요인을 사정한다.
-수면의 질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는 아로마 요법, 운동, 족욕 등이 있다.
-적당한 온도, 습도 유지와 낯선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익숙하도록 조정해주면 편안한 수면을 할 수 있다.
-대상자의 불편한 점을 경청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주면 대상자가 심리적으로 편안해져 수면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간호중재
-매일 수면 양상을 사정하였다.
->“잘 주무셨나요?”
“오늘은 어떻신가요?”
-수면의 질을 증진 시키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산책, 족욕 등
-주변 환경을 정리하도록 격려하고 대상자의 주변 환경을 조절하였다.
->주변 밝기, 환기, 온도 등
-대상자의 정서적 지지을 하였다.
간호평가
-2일 이내에 수면의 질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알고있다고 표현하였다.(달성)
-퇴원시까지 잠을 편하게 잘 수 있었으며 낮에는 활동하는 모습을 보이며 피곤하지 않다고 표현하였다.(달성)
Ⅴ. 결론 및 소감
본 사례연구는 자궁선근증으로 인해 TAH에 대해 고찰하고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확인하여 간호과정을 계획, 중재 및 수행,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궁선근증의 정의와 병태생리, 증상과 치료, 진단검사 및 간호를 파악하고, 검사 및 치료, 간호를 이해하며 이를 토대로 간호문제를 확인하여 이에 대한 간호중재를 수립하고 수행, 평가하였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자궁선근증에 대한 진단검사 및 치료, 간호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상자에게 교육할 수 있어서 뜻깊은 시간이었다.
Ⅵ. 참고 문헌
여성건강간호학 수문사 (2020)
프셉마음 신규 간호사를 위한 진짜 실무 팁 [혈액검사 해석 및 간호편] (2022)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선근증 [adenomyosi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163&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자궁선근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9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4.04.07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5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