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운전면허 반납
1) 서울시 노인 운전면허 반납 2만명 넘어서
2) 제주도내 운전면허증 소지자 10명 중 1명 이상 65세 고령자
2. 면허나 자격에 정년을 두자는 의견
3. 면허소지자 11%가 노인인데 고령 운전 위험성 어느 정도일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운전면허 반납
1) 서울시 노인 운전면허 반납 2만명 넘어서
2) 제주도내 운전면허증 소지자 10명 중 1명 이상 65세 고령자
2. 면허나 자격에 정년을 두자는 의견
3. 면허소지자 11%가 노인인데 고령 운전 위험성 어느 정도일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고령자를 위한 운전 반납 캠페인 등에 대한 사회적 지원 및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중교통이 여의찮은 지방은 한계가 있지만 서울, 인천, 경기와 같은 수도권에서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면허 반납을 하면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당사자뿐만 아니라 해당 가족을 대상으로도 고령자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을 알리고 가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캠페인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본다. 그래야 고령자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운전면허 반납으로 생계가 어렵거나 이동 수단이 불편할 수 있는 지역에 우선으로 고령자 특화 차량을 도입해 보급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다양한 전자장치가 많이 도입되긴 했는데 모든 차량에 장착된 것은 아니다 보니 고령자 차량을 대상으로 충돌을 예상하면 자동으로 비상 제동장치가 작동하는 센서, 가속 페달을 밟아도 급발진하지 않도록 연료를 차단하는 기능, 차선 유지 보조시스템, 주행 경고시스템 등을 보급해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면 사고 예방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적성검사뿐만 아니라 운전 능력 테스트할 때 건강 상태를 함께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력, 청력, 인지능력 등이 나이가 들수록 퇴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 저하가 어느 정도 되는지 운전하는 데 큰 문제는 없는지를 65세 이상 고령자 대상으로 2~3년에 한 번씩 확인하는 절차를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고령자를 고려한 신호 시스템, 도로 표지판, 횡단보도 등 도로 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방안 등도 고려해 보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1. 노인복지론, 교재, 임정숙
2. 서울시 노인 운전면허 반납 2만명 넘어서, 데이터 솜, 2023. 4. 30.
(출처 : http://www.datas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838)
3. 면허나 자격에 정년을 둬야, 대구일보, 2023. 5. 24.
(출처 :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305240059)
4. 도내 운전면허 소지자 10명 중 1명 이상 65세 이상 고령자, 제주일보, 2023. 5. 25. (출처 :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3132)
그리고 고령자를 위한 운전 반납 캠페인 등에 대한 사회적 지원 및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중교통이 여의찮은 지방은 한계가 있지만 서울, 인천, 경기와 같은 수도권에서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운전면허 반납을 하면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면서 당사자뿐만 아니라 해당 가족을 대상으로도 고령자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을 알리고 가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캠페인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본다. 그래야 고령자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운전면허 반납으로 생계가 어렵거나 이동 수단이 불편할 수 있는 지역에 우선으로 고령자 특화 차량을 도입해 보급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다양한 전자장치가 많이 도입되긴 했는데 모든 차량에 장착된 것은 아니다 보니 고령자 차량을 대상으로 충돌을 예상하면 자동으로 비상 제동장치가 작동하는 센서, 가속 페달을 밟아도 급발진하지 않도록 연료를 차단하는 기능, 차선 유지 보조시스템, 주행 경고시스템 등을 보급해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하면 사고 예방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적성검사뿐만 아니라 운전 능력 테스트할 때 건강 상태를 함께 확인할 필요가 있다. 시력, 청력, 인지능력 등이 나이가 들수록 퇴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 저하가 어느 정도 되는지 운전하는 데 큰 문제는 없는지를 65세 이상 고령자 대상으로 2~3년에 한 번씩 확인하는 절차를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고령자를 고려한 신호 시스템, 도로 표지판, 횡단보도 등 도로 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방안 등도 고려해 보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1. 노인복지론, 교재, 임정숙
2. 서울시 노인 운전면허 반납 2만명 넘어서, 데이터 솜, 2023. 4. 30.
(출처 : http://www.dataso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6838)
3. 면허나 자격에 정년을 둬야, 대구일보, 2023. 5. 24.
(출처 :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305240059)
4. 도내 운전면허 소지자 10명 중 1명 이상 65세 이상 고령자, 제주일보, 2023. 5. 25. (출처 :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3132)
추천자료
[소셜 미디어]소셜미디어의 정의와 특징 분석 및 종류별 활용 사례를 통한 의미 고찰 - 패러...
소셜 미디어 마케팅 리서치
[미디어 마케팅] 소셜마케팅에 대한 고찰
(영상제작입문 공통) 2 유튜브 상의 가짜뉴스 사례들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
2020년 1학기 방송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유튜브가 전통적인 미디어와 다른점)
현대사회와 미디어 ) 기자저널리즘과 PD저널리즘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하고, TV뉴스를 외면하...
(정부규제론 4학년) 신문, 잡지, 인터넷 등 언론매체에 게재된 규제개혁에 관한 기사 가운데,...
[2023 사회문제론] 최근 언론에 잔혹한 범죄 행위들이 빈번하게 소개되고, 범죄와 관련한 다...
미디어(신문, 방송, 유튜브 등)에서 노인 또는 노인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