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력지원법 및 정책에 대하여 조사하고 자신의 의견을 써주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학력지원법 및 정책에 대하여 조사하고 자신의 의견을 써주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초학력 정의

2. 기초학력 지원 정책

3. 기초학력지원법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초학력 보장법」에서는 학습지원 대상학생을 기초학력을 갖추지 못한 학생으로 정의하면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자는 제외로 하고 있어,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된 학생은 기초학력보장 정책에서 제공하는 심층지원을 받을 수 없다. 이는 특수교육대상자들을 기초학력 보장 교육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도 기초학력보장정책에서 보장하고 있는 지원들이 교육적 요구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원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해 현재는 대부분의 교육청에서 교원 연수를 통한 방안을 강조하고 있어 교사 1인에 대한 책무성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교사들의 책무성을 기본으로 하되, 교사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의 필요 요구를 수용하고 소통할 수 있는 상설 창구 등이 있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기초학력지원법 및 정책에 대하여 조사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재원 및 지역 단위 기관과의 연계에 있어 지역 네트워크 구축이 도·농간의 차이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교육부수준과 시·도교육청 수준의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윤기찬, 김순양(2015)은 대규모 도시지역과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간 교육격차를 측정하고,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교육여건, 지역환경, 인간관계, 교육투입, 교육과정과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규모 도시지역과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간 교육격차가 존재했고, 다른 영향요인과 영향력의 차이 역시 존재함이 드러났다. 대규모 도시지역과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모두 교육여건, 교육과정, 지역환경 등이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했다. 영향력의 크기는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이 더 컸다. 따라서 몇 몇 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찾아가는 서비스나 기초학력전담교사 순회지도등의 방법 등 각 지역 실정에 맞는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있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서울시교육청 (2020∼2022). 초등 기초학력 보장 지원 계획.
정순원 (2020). 기초학력을 보장 받을 권리의 개념과 내용. 교육법학연구.
교육부(2019). 행복한 출발을 위한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 교육부보도자료.
김정아(2021). 초·중학생 기초학력 미달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영향요인분석. 교육학연구.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4.12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7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