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심리학에서 동조 및 복종
2) 사회심리학적 동조의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사회심리학에서 동조 및 복종
2) 사회심리학적 동조의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을 같이 먹으면서 잡담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따돌렸는데, 이에 나는 내가 강사 아르바이트를 한 이유가 취업준비를 위한 경제적 목적에 있다는 점을 주지하여 다른 강사들의 이러한 움직임에 동조하지 않았으며 동학원에서 단기간 강사아르바이트를 종료한 이후에는 이렇게 비윤리적인 사람들과의 관계를 영원히 단절했다. 즉, 어떤 개인이 지닌 개별적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자신들의 편의대로 행동하면서 집단의 의사에 동조를 무조건 강요하는 사람들과는 더 이상 관계를 형성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인간은 1차적 집단인 가정과 다양한 사회집단에서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자신의 소신과 다르게 동조 하거나 복종하기도 한다. 물론, 동조 및 복종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인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동조 및 복종은 인간으로서 자신의 이성에 의해서 행동하려는 의지를 꺾는 하나의 사회현상이라고 판단하여 나는 동조 및 복종이라는 사회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인간은 자율적 이성을 지닌 존재로서 개인이 지닌 이성적 활동에 의해서 자신의 심리 및 행동을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간의 이성적 마비에 의해서 발생한 동조 및 복종을 이용하는 권력에 대해서 현대인들은 의식적인 비판 및 저항을 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 윤상연 저, ‘권위에의 복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범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 서울 , 2007
· 이다혜 저, ‘현대소비자들의 불안과 동조소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2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인간은 1차적 집단인 가정과 다양한 사회집단에서 사회생활을 영위하면서 자신의 소신과 다르게 동조 하거나 복종하기도 한다. 물론, 동조 및 복종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인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동조 및 복종은 인간으로서 자신의 이성에 의해서 행동하려는 의지를 꺾는 하나의 사회현상이라고 판단하여 나는 동조 및 복종이라는 사회적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즉, 인간은 자율적 이성을 지닌 존재로서 개인이 지닌 이성적 활동에 의해서 자신의 심리 및 행동을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인간의 이성적 마비에 의해서 발생한 동조 및 복종을 이용하는 권력에 대해서 현대인들은 의식적인 비판 및 저항을 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 윤상연 저, ‘권위에의 복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적 범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 서울 , 2007
· 이다혜 저, ‘현대소비자들의 불안과 동조소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