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배경지식
3. 가설설정
4. 싫험
5. 결과
6. 고찰
7. 인용문헌
2. 배경지식
3. 가설설정
4. 싫험
5. 결과
6. 고찰
7. 인용문헌
본문내용
지질의 검정
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생체 주요 구성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반응하여 발색하는 수단Ⅲ 용액을 이용하여 지질의 분포를 살펴본다.
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지질(lipid)
지질(lipid)은 물에는 거의 녹지 않고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 유기화합물이다. 이것을 유지라고도 하는데 상온에서의 상태에 따라 다시 기름(Oil)과 지방(Fat)으로 나눌 수 있다. 기름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지방은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지질은 생체 내에서 에너지원과 저장원으로 작용하며, 세포막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지질을 크게 단순지질(중성지방, 납), 복합지질(인지질, 당지질, 리포단백질), 유도지질(글리세롤, 지방산, 스테로이드)로 분류할 수 있다.
1-1. 단순지질
1. 중성지방(neutral fat)
글리세롤(glycerol)의 알코올성 수산기(-OH) 3개와 지방산(fatty acid)의 카르복실기(-COOH) 사이의 에스테르(ester) 결합으로 형성된 분자이다.
1.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지방산(fatty acid) 중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가 단일결합으로만 연결된 것을 말한다.
2.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지방산 중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말한다.
2. 왁스(Wax)
1가 알코올(또는 2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액체 왁스, 동물성 고체 왁스, 식물성 왁스로 구분된다.
1.액체 왁스
수가 적고 산패하지 않으며 온도 변화에 의한 점성도의 변화가 적으므로 정밀 기계의 윤활유로 사용된다.
2. 동물성 고체 왁스
경랍, 밀랍, 백랍, 양모지 등이 있다.
3. 식물성 고체 왁스
식물의 줄기, 잎, 종자 껍질 등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지만 그 양은 적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그림1.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인지질과 세포막 구조
그림2. 인지질과 세포막 구조
1-2. 복합지질
1. 인지질(pH ospH olipid)
글리세롤의 알코올성 수산기(-OH) 중 하나가 인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분자이다. 생체막의 구조성분으로서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2. 당지질(glycolipid)
글리세롤의 알코올성 수산기(-OH) 중 하나가 지방산이 아닌 당과 에스테르 결합한 분자이다. 세포 표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식 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3. 리포단백질(lipoprotein)
지질과 단백질의 복합체이다. 세포막, 엽록체, 신경세포의 미엘린초(myelin sheath), 망막 수용체에 존재한다.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그림3.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1-3. 유도지질
1. 글리세롤(glycerol)
지방산과 결합하여 트리아실글리세롤과 막지질을 형성한다.
2. 지방산(fatty acid)
세포막의 인지질을 포함하여 많은 지질의 구성성분이 되고, 세포호흡을 위한 연료분자로 이용된다.
3. 스테로이드(steroid)
지방산이 없는 4개의 탄소 고리로 이루어진 단단한 골격으로 된 지질이다. 모든 진핵 세포막은 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콜레스테롤, 성호르몬(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부신피질호르몬 등이 스테로이드 화합물이다.
3.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1. 지질의 검출을 통해 수단 Ⅲ 용액에 의해 염색된 지질층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질의 분포 관찰을 통해 잎의 염색된 지질 부분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4.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지질의 검출
▶해바라기 종자
▶깨
▶식용유
▶0.1% 수단Ⅲ 용액
▶물
▶스포이드
▶중탕기
▶막자사발
▶막자
▶시험관
▶시험관대
1-2. 지질의 분포 관찰
▶회양목 잎
▶주목 잎
▶0.1% 수단 Ⅲ 용액
▶물
▶스포이드
▶광학현미경
2. 실험 방법(Methods)
2-1. 지질의 검출
1.해바라기 종자 1개 또는 깨 0.1g을 막자사발에 넣고 막자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막자에 무리한 힘을 가하면 잘 부러지므로 조심스럽게 분쇄한다.
2. 분쇄한 해바라기 종자, 깨는 유산지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시험관에 넣고, 세 번
1. 실험 목적(Purpose of experiment)
생체 주요 구성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반응하여 발색하는 수단Ⅲ 용액을 이용하여 지질의 분포를 살펴본다.
2. 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지질(lipid)
지질(lipid)은 물에는 거의 녹지 않고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 유기화합물이다. 이것을 유지라고도 하는데 상온에서의 상태에 따라 다시 기름(Oil)과 지방(Fat)으로 나눌 수 있다. 기름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지방은 상온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지질은 생체 내에서 에너지원과 저장원으로 작용하며, 세포막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지질을 크게 단순지질(중성지방, 납), 복합지질(인지질, 당지질, 리포단백질), 유도지질(글리세롤, 지방산, 스테로이드)로 분류할 수 있다.
1-1. 단순지질
1. 중성지방(neutral fat)
글리세롤(glycerol)의 알코올성 수산기(-OH) 3개와 지방산(fatty acid)의 카르복실기(-COOH) 사이의 에스테르(ester) 결합으로 형성된 분자이다.
1.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지방산(fatty acid) 중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가 단일결합으로만 연결된 것을 말한다.
2.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지방산 중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중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말한다.
2. 왁스(Wax)
1가 알코올(또는 2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로 액체 왁스, 동물성 고체 왁스, 식물성 왁스로 구분된다.
1.액체 왁스
수가 적고 산패하지 않으며 온도 변화에 의한 점성도의 변화가 적으므로 정밀 기계의 윤활유로 사용된다.
2. 동물성 고체 왁스
경랍, 밀랍, 백랍, 양모지 등이 있다.
3. 식물성 고체 왁스
식물의 줄기, 잎, 종자 껍질 등의 표면에 분포되어 있지만 그 양은 적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그림1.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인지질과 세포막 구조
그림2. 인지질과 세포막 구조
1-2. 복합지질
1. 인지질(pH ospH olipid)
글리세롤의 알코올성 수산기(-OH) 중 하나가 인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분자이다. 생체막의 구조성분으로서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2. 당지질(glycolipid)
글리세롤의 알코올성 수산기(-OH) 중 하나가 지방산이 아닌 당과 에스테르 결합한 분자이다. 세포 표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인식 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3. 리포단백질(lipoprotein)
지질과 단백질의 복합체이다. 세포막, 엽록체, 신경세포의 미엘린초(myelin sheath), 망막 수용체에 존재한다.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그림3.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
1-3. 유도지질
1. 글리세롤(glycerol)
지방산과 결합하여 트리아실글리세롤과 막지질을 형성한다.
2. 지방산(fatty acid)
세포막의 인지질을 포함하여 많은 지질의 구성성분이 되고, 세포호흡을 위한 연료분자로 이용된다.
3. 스테로이드(steroid)
지방산이 없는 4개의 탄소 고리로 이루어진 단단한 골격으로 된 지질이다. 모든 진핵 세포막은 스테로이드를 포함한다. 콜레스테롤, 성호르몬(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부신피질호르몬 등이 스테로이드 화합물이다.
3. 가설 설정(setting up hypothesis)
1. 지질의 검출을 통해 수단 Ⅲ 용액에 의해 염색된 지질층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질의 분포 관찰을 통해 잎의 염색된 지질 부분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4. 실험(Experiment)
1. 실험 재료(Materials)
1-1. 지질의 검출
▶해바라기 종자
▶깨
▶식용유
▶0.1% 수단Ⅲ 용액
▶물
▶스포이드
▶중탕기
▶막자사발
▶막자
▶시험관
▶시험관대
1-2. 지질의 분포 관찰
▶회양목 잎
▶주목 잎
▶0.1% 수단 Ⅲ 용액
▶물
▶스포이드
▶광학현미경
2. 실험 방법(Methods)
2-1. 지질의 검출
1.해바라기 종자 1개 또는 깨 0.1g을 막자사발에 넣고 막자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막자에 무리한 힘을 가하면 잘 부러지므로 조심스럽게 분쇄한다.
2. 분쇄한 해바라기 종자, 깨는 유산지를 이용하여 각각 다른 시험관에 넣고, 세 번
키워드
추천자료
천궁의 향신료로서의 이용 연구
환경지구화학 연구(토양오염 처리공학,환경오염 환경영향평가 토지이용)
단백질, 당질, 지질의 검정 - 결과 보고서
(식품화학실험보고서)TLC(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지질의분리
[골재][골재 성질][바다모래]골재의 성질, 골재의 지역별 소비구조, 골재와 수분상태, 골재와...
생물학 실험 보고서[결과 보고서] - 지질의 검정 결과 보고서
[실험 보고서] 생물학 실험보고서 - 지질의 검정
실험보고서 -지질의 검정
[생물학] 지질검정 실험(생체 주요 구성 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반응...
[국제정책 및 통상갈등 공통] 1) 최근 10년 내 발생한 국제통상관련 갈등(한국정부와 외국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