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과건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용과건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성인병의 정의
1.1 성인병의 종류
1.2 성인병의 원인

Ⅱ. 본론
1.1 성인병의 종류
1.2 성인병의 원인
1.3 성인병의 특징
1.4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영양식이
1.5 성인병 예방을 위해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

Ⅲ. 결론
1.1 성인병을 예방하는 식이요법이 미용적인
측면에서 도움 되는 점

Ⅳ. 참고자료 및 출처

본문내용

발생을 71% 낮출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한국인이 흔히 섭취하는 음식 51가지를 선택하여 이를 염증지수(h_CRP)와 분석하여 유의하게 나왔던 17가지 음식을 선택하여 10가지 항염증 식이와 3가지 염증 전 식이로 나누었다.
51가지에는 다음의 음식이 포함되었는데 쌀, 곡물, 빵/ 밀가루, 피자/햄버거, 떡, 감자, 설탕, 콩, 견과류/씨앗, 푸른 잎 야채, 양배추/줄기야채, 상추, 양파, 뿌리, 붉은 야채/토마토, 김치, 버섯, 주황색 과일, 감귤류, 붉은 과일, 베리, 가공육, 고기 내장, 달걀, 생선, 조개류, 가공 해산물, 해조류, 유제품, 식혜/탄산음료, 양념, 가공식품, 생강, 돼지고기, 소고기, 베이컨, 기타 육류, 닭튀김, 가금류, 커피믹스/가당 음료, 드립커피/잎차, 알코올, 동물지방, 식물성 오일, 라면, 국수, 시리얼, 쿠키, 염장 해산물이다. 17가지 음식 중 항염증 식이로 분류된 것은 푸른 잎 야채, 달걀, 감귤류, 콩, 붉은 과일, 빵, 견과류가, 염증 전 식이군에는 믹스커피/가당 음류, 흰쌀 및 소고기
가 포함되었다.
이렇게 분류한 식이군과 대사증후군 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항염증 성향이 가장 낮았던 식이군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2.6배 높았다.
개인이 선호하는 음식의 종류가 다르고, 쉽게 얻을 수 있는 음식의 종류가 다른 환경에서 살고 있으며, 일상 생활 속에서 각각 다른 활동량을 감안할 때 항염증 식이를 선택해서 섭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더욱이 특별한 식이를 지켜야 할 질병을 가지고 있거나 합병증을 동반한 중증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
한 가지 항염증 성분을 갖는 음식을 먹는 것으로 항염증 활성화를 기대하기보다는 복합적인 항염증 성분을 갖는 식품을 다양하게 골고루 섭취하며 꾸준한 운동을 병행한다면, 강한 항염증 작용으로 염증 진행을 막고 노화를 막으며 질병으로의 이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W. Na, T. Y. Yu and C. Sohn. Development of a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for Koreans and its relationship with
metabolic syndrome.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9;13(2):150-158
항염증성 식품이라 하면 어렵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쉽게 생각할 수 있도록 우리가 먹는 음식을 색깔별로 아래와 같이 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항염증이 있는 색깔별 음식
색깔
음식 종류
붉은색
고추, 사과, 크랜베리, 석류, 딸기, 체리, 토마토
초록색
브로콜리, 키위, 케일, 녹차, 시금치
푸른색
블루베리, 포도, 자주색 양배추
갈색
코코아, 커피
검정색
블랙베리, 홍차
노란색
강황, 카레, 감귤, 울금
기타
올리브오일, 연어, 멸치, 호두, 아마씨, 생강, 파파야 등
2.3 성인병 예방을 위해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
① 음주나 흡연을 줄입니다.
② 소금 섭취를 최소화하고 콜레스테롤 음식을 조심하며 과식하지 않습니다.
③ 적당한 운동을 생활화합니다.
④ 적절한 약물을 처방받아 복용하고 약물 오남용은 하지않습니다.
⑤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면과 휴식을 취해주고 일광욕을 해줍니다.
⑥ 건강검진을 정기적으로 받습니다.
3.1 성인병을 예방하는 식이요법이 미용적인 측면에서 도움 되는 점
우리 몸의 염증은 유해한 자극에 대한 생체반응 중 하나로 면역세포, 혈관, 염증 매개체들이 관여하는 보호 기능을 가지지만 동시에 염증의 결과로 조직의 손상이나 질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염증은 성인병과 관계가 있지만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관계입니다. 아름답고 빛나는 탱탱한 피부는 우리가 먹는 습관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항산화 성분, 건강한 지방, 물, 필수 영양소가 가득한 음식을 섭취하면 몸은 피부를 통해 결과를 알려주는데 결국 피부는 우리 몸 안의 문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항염증성 식이요법은 피부를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항염증성 식습관의 유익함은 일일이 열거하기도 힘들만큼 많지만 목적 상 미용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만을 나열해보겠습니다.
카레, 강황, 울금 등에 함유된 커큐민은 성인병 예방에도 좋지만 항염, 항균 및 항산화 특성 덕분에 여드름, 습진, 광노화, 건선 등 다양한 피부상태에서 효과적이고 우리 몸의 활성산소를 줄여주며 산화억제를 함으로써 세포가 노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 즉 노화를 늦춰줍니다.
블루베리는 약 85%가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유질, 비타민C, 비타민K, 망간 등 다양한 영양소가 들어있고 역시나 항산화 능력이 있어서 염증, 노화를 예방하며 DNA손상을 줄여줍니다.
각각의 식품의 성분에 대해 알아보다보면 공통적으로 노화를 예방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 중에서 파파야는 슈퍼 푸드로서 다양한 항산화 성분과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고 피부 탄력을 개선하고 피부색을 밝게 해줍니다.
석류는 피부에 콜라겐을 보존하여 노화를 늦춰주며 견과류는 비타민E의 훌륭한 공급원으로 피부조직을 복구하고 수분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주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항염증성 식품은 결국 노화를 늦춰주며 피부 미용에 도움이 되면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주는 완벽한 식이요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참고자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8호 2020.8:546~556
영국 일간지 ‘데일리 익스프레스’
질병관리부
네이버 지식백과
연합뉴스 2021년 12월 20일 보도자료
영국 일간지 ‘데일리 익스프레스’2021년 5월 27일 보도자료
W. Na, T. Y. Yu and C. Sohn. Development of a food-based index of
dietary inflammatory potential for Koreans and its relationship with
metabolic syndrome.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2019;13(2):150-158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4.04.25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8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