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는 핵심 내용 별로 단원에 따라 정리되어 있습니다.
본문내용
물 재배 확대
소작료 납부
방식의 변화
타조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일부 지방에서는 도조법이 등장함
● 민영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민영 수공업의 발달
배경 : 도시의 인구 증가, 대동법 시행으로 수공업 제품의 수요 증대
선대제 확대, 18세기 이후 일부 수공업자는 독립 수공업자로 성장
광업의 발달
배경 : 수공업 발달, 청과의 무역 확대로 광산 개발 확대
17세기 이후 정부가 은광 설치 허가 후 세금 거두는 정책 시행
상업 자본 유입 : 민영 광산 확대, 덕대가 채굴업자와 노동자 고용
● 상업 발달과 사상의 성장
상업 발달의 배경 : 도시 인구의 증가, 농업 생산력 증대, 공인의 활동 등
사상의 성장 : 경강상인, 송상, 만상, 내상 등 성장-> 18세기 말 통공 정책 실시-> 사상의 자유로운 상업 활동 확대-> 일부 사상은 도고로 성장
유통 경제의 활성화
장시
18세기 말 이후 전국적 유통망 형성, 일부는 상설 시장으로 발전
포구 상업
조선 후기에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성장, 선상객주여각 등 활동
화폐 유통
상업 유통 활발로 화폐 사용 확대-> 상평통보 발행(전국적 유통)
대외 무역
국경 지역에서 개시 무역(공무역)과 후시 무역(사무역) 발달
나. 농민 봉기의 발생
홍경래의 난
(1811)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 등에 반발하여 홍경래가 몰락 농민, 광산 노동자, 신흥 상공업자 등을 규합하여 봉기-> 한때 청천강 이북 지역을 장학하였으나 관군에 의해 진압됨
임술 농민 봉기
(1862)
원인 : 경상 우병사 백낙신 등 지배층의 수탈(삼정의 문란)
전개 : 진주 농민 봉기 등을 거치면서 전국으로 확산-> 정부에서 삼정이정청 설치
다. 조선 후기 새로운 사상의 모색
실학
농업 중심 개혁 : 유형원(균전론), 이익(한전론), 정약용(여전론)
상공업 중심 개혁 : 유수원, 박지원, 박제가([북학의], 소비 강조)
출제 예상 문제
1. 다음 주장을 한 이들이 속한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② (EBS 교재 변형 문제 )
오래도록 막혀 있으면 반드시 터놓아야 하고, 원한이 쌓이면 반드시 풀어야 하는 것이 하늘의 이치이다. 서얼의 벼슬길이 막힌 일은 우리나라의 편벽된 일로 원통하고 답답함을 품은 지 이에 몇 백 년이 되었다.
① 국역이 면제되었고, 과전과 녹봉 등을 국가로부터 지급받았다.
② 양반과 상민의 중간 계층에 해당하며, 문과 응시가 금지되었다.
③ 노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는 재산을 가질 수도 있었다.
④ 상인과 신량역천 등을 포함하였으며, 조세와 공납의 의무를 부담하였다.
⑤ 영조와 정조 때 서얼 차별이 더욱 강화되어 신분의 차별 정도가 심하였다.
※ ①의 경우, 양반에 해당하며, ③의 경우 천민에 해당한다. ④의 경우 상민에 해당하며, ⑤의 경우 영조와 정조는 서얼 차별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등용을 적극 추진하였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서얼의 경우 양반의 첩에게서 태어난 자손으로 중인 신분에 해당하며, 문과 응시는 금지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②이다.
2.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 EBS 교재 변형 문제 )
새로운 농법이 보급되고 농기구 개량, 수리 시설 확충 등 농업 기술이 향상되면서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특히 모내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김매기에 필요한 노동력이 절감되고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확산되었다.
① 쌀의 상품화가 진행되었으며, 인삼과 면화 등의 상품 작물 재배가 확대되었다.
② 통공 정책이 실시되었고, 자유로운 상업 활동이 확대되었다.
③ 상업 유통의 확대에 따라 상평통보가 발행되어 전국적으로 유통이 되었다.
④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에 반발한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였으나 관군에 진압되었다.
⑤ 실학 사상이 등장하였는데 상공업 중심 개혁을 주장한 사람은 유형원, 정약용, 이익이다.
※ 조선 후기 사회의 상황을 말하는 것으로, ①, ②, ③, ④의 내용들이 전개되었다. ⑤의 경우 실학사상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은 옳은 설명이나, 농업 중심 개혁을 주장한 사람은 유형원(균전론), 이익(한전론), 정약용(여전론)이었으며, 수공업 중심 개혁을 주장한 사람은 유수원, 박지원, 박제가(북학의-소비 강조)였다. 따라서 ⑤는 틀린 설명이다.
3. (가), (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EBS 교재 변형 문제 )
삼국은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수용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고구려의 (가), 신라의 (나)은/는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 불교를 수용하여 사상을 통일하고자 하였다.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① (가) - 사비로 천도하였으며,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② (가) -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백제의 한성을 침략하였다.
③ (나) - 골품제를 정비하고 금관가야를 복속하였다.
④ (나) - 왕호를 마립간으로 변경하였으며, 왜의 침략을 격퇴하였다.
⑤ (가), (나) - 고구려와 신라가 힘을 합쳐 백제를 멸망시켰다.
(가)는 소수림왕, (나)는 법흥왕이다. ①의 경우 백제의 성왕에 해당하며, ②의 경우 고구려의 장수왕에 해당한다. ④의 경우 신라의 내물왕에 해당하며, ⑤의 경우 백제를 멸망시킨 것은 나당 연합군에 의해서이다. ③의 경우 신라의 법흥왕의 업적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③이다.
4. 다음 명령을 내린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② ( EBS 교재 변형 문제 )
항복한 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하며, 민심을 수습하고 지방 세력을 회유하게 하라.
① 노비 안검법과 과거제를 시행하였다.
② 사심관 제도와 기인 제도를 시행하였다.
③ 전시과를 실시하여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④ 집현전을 없애고 경연을 폐지하였으며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⑤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고, 양전 사업과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제시된 국왕은 고려 태조를 말하는 것으로 사심관 제도와 기인제도를 실시하고, 훈용 10조를 공포하였다. 따라서 정답은 ②이다. ①의 경우 고려 광종의 업적이며, ③의 경우 고려 성종의 업적에 해당한다. 또한 ④는 조선의 세조의 업적이며, ⑤의 경우 조선의 태종의 업적에 해당한다.
소작료 납부
방식의 변화
타조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일부 지방에서는 도조법이 등장함
● 민영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민영 수공업의 발달
배경 : 도시의 인구 증가, 대동법 시행으로 수공업 제품의 수요 증대
선대제 확대, 18세기 이후 일부 수공업자는 독립 수공업자로 성장
광업의 발달
배경 : 수공업 발달, 청과의 무역 확대로 광산 개발 확대
17세기 이후 정부가 은광 설치 허가 후 세금 거두는 정책 시행
상업 자본 유입 : 민영 광산 확대, 덕대가 채굴업자와 노동자 고용
● 상업 발달과 사상의 성장
상업 발달의 배경 : 도시 인구의 증가, 농업 생산력 증대, 공인의 활동 등
사상의 성장 : 경강상인, 송상, 만상, 내상 등 성장-> 18세기 말 통공 정책 실시-> 사상의 자유로운 상업 활동 확대-> 일부 사상은 도고로 성장
유통 경제의 활성화
장시
18세기 말 이후 전국적 유통망 형성, 일부는 상설 시장으로 발전
포구 상업
조선 후기에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성장, 선상객주여각 등 활동
화폐 유통
상업 유통 활발로 화폐 사용 확대-> 상평통보 발행(전국적 유통)
대외 무역
국경 지역에서 개시 무역(공무역)과 후시 무역(사무역) 발달
나. 농민 봉기의 발생
홍경래의 난
(1811)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 등에 반발하여 홍경래가 몰락 농민, 광산 노동자, 신흥 상공업자 등을 규합하여 봉기-> 한때 청천강 이북 지역을 장학하였으나 관군에 의해 진압됨
임술 농민 봉기
(1862)
원인 : 경상 우병사 백낙신 등 지배층의 수탈(삼정의 문란)
전개 : 진주 농민 봉기 등을 거치면서 전국으로 확산-> 정부에서 삼정이정청 설치
다. 조선 후기 새로운 사상의 모색
실학
농업 중심 개혁 : 유형원(균전론), 이익(한전론), 정약용(여전론)
상공업 중심 개혁 : 유수원, 박지원, 박제가([북학의], 소비 강조)
출제 예상 문제
1. 다음 주장을 한 이들이 속한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② (EBS 교재 변형 문제 )
오래도록 막혀 있으면 반드시 터놓아야 하고, 원한이 쌓이면 반드시 풀어야 하는 것이 하늘의 이치이다. 서얼의 벼슬길이 막힌 일은 우리나라의 편벽된 일로 원통하고 답답함을 품은 지 이에 몇 백 년이 되었다.
① 국역이 면제되었고, 과전과 녹봉 등을 국가로부터 지급받았다.
② 양반과 상민의 중간 계층에 해당하며, 문과 응시가 금지되었다.
③ 노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는 재산을 가질 수도 있었다.
④ 상인과 신량역천 등을 포함하였으며, 조세와 공납의 의무를 부담하였다.
⑤ 영조와 정조 때 서얼 차별이 더욱 강화되어 신분의 차별 정도가 심하였다.
※ ①의 경우, 양반에 해당하며, ③의 경우 천민에 해당한다. ④의 경우 상민에 해당하며, ⑤의 경우 영조와 정조는 서얼 차별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등용을 적극 추진하였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서얼의 경우 양반의 첩에게서 태어난 자손으로 중인 신분에 해당하며, 문과 응시는 금지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②이다.
2.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 EBS 교재 변형 문제 )
새로운 농법이 보급되고 농기구 개량, 수리 시설 확충 등 농업 기술이 향상되면서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었다. 특히 모내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김매기에 필요한 노동력이 절감되고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확산되었다.
① 쌀의 상품화가 진행되었으며, 인삼과 면화 등의 상품 작물 재배가 확대되었다.
② 통공 정책이 실시되었고, 자유로운 상업 활동이 확대되었다.
③ 상업 유통의 확대에 따라 상평통보가 발행되어 전국적으로 유통이 되었다.
④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에 반발한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였으나 관군에 진압되었다.
⑤ 실학 사상이 등장하였는데 상공업 중심 개혁을 주장한 사람은 유형원, 정약용, 이익이다.
※ 조선 후기 사회의 상황을 말하는 것으로, ①, ②, ③, ④의 내용들이 전개되었다. ⑤의 경우 실학사상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은 옳은 설명이나, 농업 중심 개혁을 주장한 사람은 유형원(균전론), 이익(한전론), 정약용(여전론)이었으며, 수공업 중심 개혁을 주장한 사람은 유수원, 박지원, 박제가(북학의-소비 강조)였다. 따라서 ⑤는 틀린 설명이다.
3. (가), (나)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EBS 교재 변형 문제 )
삼국은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수용하여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고구려의 (가), 신라의 (나)은/는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고 불교를 수용하여 사상을 통일하고자 하였다. 중앙 집권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① (가) - 사비로 천도하였으며,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② (가) - 남진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백제의 한성을 침략하였다.
③ (나) - 골품제를 정비하고 금관가야를 복속하였다.
④ (나) - 왕호를 마립간으로 변경하였으며, 왜의 침략을 격퇴하였다.
⑤ (가), (나) - 고구려와 신라가 힘을 합쳐 백제를 멸망시켰다.
(가)는 소수림왕, (나)는 법흥왕이다. ①의 경우 백제의 성왕에 해당하며, ②의 경우 고구려의 장수왕에 해당한다. ④의 경우 신라의 내물왕에 해당하며, ⑤의 경우 백제를 멸망시킨 것은 나당 연합군에 의해서이다. ③의 경우 신라의 법흥왕의 업적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③이다.
4. 다음 명령을 내린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② ( EBS 교재 변형 문제 )
항복한 경순왕 김부를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하며, 민심을 수습하고 지방 세력을 회유하게 하라.
① 노비 안검법과 과거제를 시행하였다.
② 사심관 제도와 기인 제도를 시행하였다.
③ 전시과를 실시하여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④ 집현전을 없애고 경연을 폐지하였으며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⑤ 6조 직계제를 실시하였고, 양전 사업과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제시된 국왕은 고려 태조를 말하는 것으로 사심관 제도와 기인제도를 실시하고, 훈용 10조를 공포하였다. 따라서 정답은 ②이다. ①의 경우 고려 광종의 업적이며, ③의 경우 고려 성종의 업적에 해당한다. 또한 ④는 조선의 세조의 업적이며, ⑤의 경우 조선의 태종의 업적에 해당한다.
추천자료
한국사에 있어서의 호족의 이해
2017년도 경기도공무원면접대사전(무료동영상강의500분제공).pdf
공무원 시험 국어 합격 전략서 (무료 동영상 강의 제공)
보건직공무원시험 전과목요약정리 (무료동영상강의제공)
8급 보건진료직 공무원 전과목 핵심요약정리 (무료동영상강의제공)
한국사 Ⅱ단원(근대 국민 국가 수립 운동) 핵심 내용 정리와 출제 예상 문제
한국사 III단원(일제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핵심 정리와 출제 예상 문제
한국사 Ⅳ단원(대한 민국의 발전) 핵심 정리와 출제 예상 문제(EBS 교재를 중심으로)
정치와 법 III단원 (정치과정과 참여) 핵심 정리 및 출제 예상 문제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