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들어가며-어떤 해후
2. ‘누구에게나 인생의 계획 같은 게 있잖아’
3. 정난주의 바다
4. 세컨드 윈드, 새 바람은 그대 쪽으로
1. 들어가며-어떤 해후
2. ‘누구에게나 인생의 계획 같은 게 있잖아’
3. 정난주의 바다
4. 세컨드 윈드, 새 바람은 그대 쪽으로
본문내용
치유될 수 있다.
그리고 작가는 이 <난주의 바다 앞에서>라는 작품을 통해, 역사적 이야기가 그러하듯이 바로 소설, 이야기, 문학작품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하는 듯하다. 그래서 <난주의 바다 앞에서> 속에 액자식 구성으로 많은 이야기들이 등장하는지도 모른다. 소설의 존재이유는 다름 아닌, 상실의 고통을 겪은 사람들, 취약한 사람들이 서로의 상처를 쓰다듬고 보듬어 공감하고 연대하기 위함이 아닐까.
은정은 섬마을 초등학교 아이들과의 인터뷰에서 ‘세컨드 윈드’라는 체육용어에 대해 말한다. “운동하는 중에 고통이 줄어들고 운동을 계속하고 싶은 의욕이 생기는 상태”라고 한다.(45) “제2차 정상상태라고도 한다. 운동 초반에는 호흡곤란, 가슴 통증, 두통 등으로 인해 운동을 중지하고 싶은 느낌이 드는데 이 시점을 사점이라고 한다. 이 사점이 지나면 고통이 줄어들고 호흡이 순조로우며 운동을 계속할 의욕이 생기는데, 이 상태를 세턴드 윈드라고 한다”(45).
실제적 의미든, 은유적 의미든 우리 모두 이 세컨드 윈드를 경험한 적이 있다. 고통에 대해서는 어떨까? 고통의 극단에 몰려 절벽에 몰아붙여진 경험이 살면서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사점을 지나면 다시 숨쉬기 편해지며, 운동을, 삶을 지속할 의욕이 생겨나기도 한다. 소설은 그러한 상실의 엄청난 고통에도,지지 말고 조금 더 견뎌볼 것을 권하는 것 같다. 막막한 망망대해 같은 우리 삶에도 잠시 버티다보면 어디선가 새로운 바람이 불어올 거라고. <난주의 바다 앞에서>는 우리가 살면서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상실과 이별에 대한 애도이자 조용한 응원의 문학이다.
그리고 작가는 이 <난주의 바다 앞에서>라는 작품을 통해, 역사적 이야기가 그러하듯이 바로 소설, 이야기, 문학작품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하는 듯하다. 그래서 <난주의 바다 앞에서> 속에 액자식 구성으로 많은 이야기들이 등장하는지도 모른다. 소설의 존재이유는 다름 아닌, 상실의 고통을 겪은 사람들, 취약한 사람들이 서로의 상처를 쓰다듬고 보듬어 공감하고 연대하기 위함이 아닐까.
은정은 섬마을 초등학교 아이들과의 인터뷰에서 ‘세컨드 윈드’라는 체육용어에 대해 말한다. “운동하는 중에 고통이 줄어들고 운동을 계속하고 싶은 의욕이 생기는 상태”라고 한다.(45) “제2차 정상상태라고도 한다. 운동 초반에는 호흡곤란, 가슴 통증, 두통 등으로 인해 운동을 중지하고 싶은 느낌이 드는데 이 시점을 사점이라고 한다. 이 사점이 지나면 고통이 줄어들고 호흡이 순조로우며 운동을 계속할 의욕이 생기는데, 이 상태를 세턴드 윈드라고 한다”(45).
실제적 의미든, 은유적 의미든 우리 모두 이 세컨드 윈드를 경험한 적이 있다. 고통에 대해서는 어떨까? 고통의 극단에 몰려 절벽에 몰아붙여진 경험이 살면서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사점을 지나면 다시 숨쉬기 편해지며, 운동을, 삶을 지속할 의욕이 생겨나기도 한다. 소설은 그러한 상실의 엄청난 고통에도,지지 말고 조금 더 견뎌볼 것을 권하는 것 같다. 막막한 망망대해 같은 우리 삶에도 잠시 버티다보면 어디선가 새로운 바람이 불어올 거라고. <난주의 바다 앞에서>는 우리가 살면서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상실과 이별에 대한 애도이자 조용한 응원의 문학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