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과 가정의 개념
1) 가족의 개념
2) 가정의 개념
2. 내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가정생활 조건 5가지
1) 가정 내 역할수행
2) 가족 의사소통
3) 기능적인 가족
4) 상호의존성
5) 공감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가족과 가정의 개념
1) 가족의 개념
2) 가정의 개념
2. 내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가정생활 조건 5가지
1) 가정 내 역할수행
2) 가족 의사소통
3) 기능적인 가족
4) 상호의존성
5) 공감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사한 연구에 근거하여, 모든 가족은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도전과 잠재적 성장의 역량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가족이 그들의 문제를 보려하면 문제만을 보게 될 것이고, 가족의 강점을 보려하면 강점을 찾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강점은 개발되어 질수 있고 미래의 긍정적 성장과 변화에 기초가 된다. De Frain은 건강가족의 특성으로 응집성(헌신과 질적 시간 공유), 융통성(스트레스 대처능력과정신적 안녕), 의사소통(긍정적 의사소통과 감사 및 애정)등을 제안하였다. 호주의 가족강화스크랩북의 모델은 1999년 호주 뉴 케슬 대학 가족행동센터(Family Action Center)에서 가족건강성 연구 프로젝트의 결과로 8개의가족건강성에 대한 테마를 제시하였다. 즉, 커뮤니케이션, 소속, 함께 활동하기, 애정, 지지, 수용, 헌신과 책임 8개 영역이다. 건강가정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는 유영주(1991)의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가족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때 건강가족은 개인적 차원에서 가족원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고, 가족관계 차원에서 가족원간의 상호작용이 기능적이고 원만하며, 가족체계가 잘 유지되면서 가족가치관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는 가족으로 정의되며 가족체계 내에서의 개인과 그들이 맺고 있는 가족의 관계적 측면을 모두 강조하였다.「건강가정기본법(2004.2.9 제정)」에서는 제 1조(목적), 제 2조(기본 이념), 제 3조(정의)에서 생활단위인 가정을 강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가정기본법의 목적은 가족의 유지 및 발전과 함께 건강한 가정생활의 영위를 위한 것이며, 기본 이념은 가정이 개인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통합을 위하여 기능할 수 있도록 유지, 발전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제3조 제 3호에서 건강가정이란 “가족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고 인간다운삶이 보장되는 가정을 말한다”로 건강가정을 명시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가족과 가정의 개념을 정리하고, 내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가정생활 조건 5가지를 그 근거를 들어 제시해 보았다. 가정은 가족구성원들이 가장 먼저 경험하는 사회화의 장이며, 사회의 가장기초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정에 대한 의미나 가정자체를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그 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가치관을 파악하는 단서가 된다. 또한 가족에 대한 인식, 건강성을 측정해보는 것은 그 사회의 기초 건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가족에 대한 건강성을 알아보는 것은 가족자체를 위해서 또한 사회를 위해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기정, 김연화, 박미금, 송말희, 이미선(2011). 건강가정론. 양서원.
김태현, 전길양, 김양호(2000). 사회 변화와 가족. 성신여대 출판부.
김현숙(2006). 자존감과 갈등해결 유형과 건강한 가정간의 상관관계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종선(2007). 건강가정 및 건강가정실천방안에 대한 인식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가족과 가정의 개념을 정리하고, 내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가정생활 조건 5가지를 그 근거를 들어 제시해 보았다. 가정은 가족구성원들이 가장 먼저 경험하는 사회화의 장이며, 사회의 가장기초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정에 대한 의미나 가정자체를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은 그 사회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가치관을 파악하는 단서가 된다. 또한 가족에 대한 인식, 건강성을 측정해보는 것은 그 사회의 기초 건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가족에 대한 건강성을 알아보는 것은 가족자체를 위해서 또한 사회를 위해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강기정, 김연화, 박미금, 송말희, 이미선(2011). 건강가정론. 양서원.
김태현, 전길양, 김양호(2000). 사회 변화와 가족. 성신여대 출판부.
김현숙(2006). 자존감과 갈등해결 유형과 건강한 가정간의 상관관계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종선(2007). 건강가정 및 건강가정실천방안에 대한 인식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추천자료
가족복지) 한국 가족복지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복지서비스법 (정신보건법,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법률, 사회복지공동모...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영역과 내용, 이론, 접근법, 전문성과 과제
평생교육프로그램운영사례
비영리기관운영관리 ) 한국사회에서 가정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비영리기관인 건강...
가사노동과돌봄정책
[2023 가족상담및치료][출처표기]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 중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
가족과 가정의 개념을 정리하고, 내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가정생활 조건 5가지를 ...
[사회문제론] 2024년 기말과제물, 교재 6장 건강 불평등 문제를 비롯해 여러 자료를 참고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