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자궁외임신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 자궁외임신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 생리(Pathophysiology)
3. 증상(Symptom)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Ⅱ.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능성은 매우 적다. 만약, 자궁 내에서 임신을 확인할 수 없다면 그것은 임신 초반이기 때문에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난관 임신은 종종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질식 초음파는 이런 목적에서 복부 초음파보다 훨씬 예민하다. 또한 초음파로 복부 내에 액체나 혈액이 있는지도 알 수 있기 때문에 자궁외 임신 시에 출혈이 있는 경우를 진단 내릴 수 있다.
- 자궁경부임신의 초음파 진단 기준
· 자궁내강에 임신낭 소견이 안보임
· 뚜렷한 음영 구조를 보이는 자궁내막의 탈락막 변형 확인
· 자궁벽 구조가 불명확해 보임
· 자궁 모양이 모래시계처럼 보임
· 자궁 경부강이 팽창되어 보임
· 자궁경부 내측에서 임신태낭 소견이 보임
· 자궁경관에 태반 조직이 확인됨
· 내측 자궁 입구가 닫혀 있음
④ 복강경술
복강경술도 자궁외 임신의 진단을 위해 자주 사용된다. 때로는 복강경술로 자궁외 임신의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다. 이것은 복강경이라고 하는 작은 망원경을 배꼽 근처의 절개부를 통해 복강 내에 삽입하는데, 필요하면 의사는 복강경이나 골반 윗부분의 작은 절개부를 통해 특수한 기구를 넣어 자궁 외 임신을 제거할 수도 있다.
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 난관 파열 전의 외과적 중재
난관 손상의 정도, 난관을 보존하고 싶은 임부의 욕구, 다른 쪽 난관의 상태 등에 따라 결정
· 난관 절제술(salpingectomy) - 난관과 자궁강이 심하게 침범 되었을 때
난관 절개술(salpingotomy)
· 작은 난관 임신을 제거 할 때 드물게 실시
· 이때 난소는 가능하면 보존
· stromme가 처음 시도한 최초의 난관보존술로 배낭이 있는 난관부위에 난관장막 반대 편에 절개를 가하여 수태산물을 벗겨내고 지혈
· 난관을 보존할 수 있으나 scar를 남기게 됨
자궁적출술(hysterectomy)
· 자궁각이나 간질부의 임신이 파열되었을 때 적용
- 내과적 치료
·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요법 :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라고 불리는 약제를 자궁 외 임신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데, 원래 이 약은 태반으로부터 기원한 암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항암제로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 약이 자궁 외 임신 조직을 파괴하고 인체 내로 흡수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메토트렉세이트는 근육내로 한번 주사하거나 수일 동안 여러 번에 나누어 주사 또는 복용하는데, 상당수의 자궁 외 임신이 메토트렉세이트 치료로 성공적으로 치료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간이나 신장에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치료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메토트렉세이트 치료를 받는 동안에는 술이나 엽산이 들어간 비타민을 섭취하면 안 된다.
Ⅱ. 간호과정
주관적 자료
- “수술 부위가 간지러운 것 같아요.”
- “자꾸 식은땀이 나요.”
객관적 자료
- D&E는 외과적 수술로 감염 가능성이 있음.
- V/S 측정 결과 130/70, 22, 20, 37.1이 측정됨.
간호진단
외과적 치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단기목표
- 대상자는 혈액검사 시 감염지표(WBC, CRP, lymphocyte)가 정상수준으로 나올 것이다.
-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과 감염 시 대처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의 수술부위에 감염sign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수술 후 v/s을 1시간마다 측정한다.
2. 4시간마다 침습적 시술 부위를 사정한다.
3. 감염위험성을 최소화 한다.
4. 혈액검사 수치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5. 의사의 처방에 따라 cycin 250mg 1tab 경구투약을 관찰한다.
6. 대상자와 대상자의 가족에게 감염의 증상과 감염 시 대처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V/S과 시진 시 진물이나 상처의 변화는 감염을 암시한다. 무균술을 지킴으로서 감염발생을 줄일 수 있다.
감염은 보통 심각한 손상, 질병 혹은 수술 후에 나타난다. 이것은 빠르게 시작되고 경증에서 중증으로 강도가 다양하며 얼마동안 지속된다.
감염은 일반적인 원인이 있고, 다양한 지속기간을 가지므로 건강관리요원은 이것을 적극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혈액검사 시 WBC, CRP, lymphocyte의 증가는 감염을 의미한다.
- cycin 250mg 감염증상에 효과가 있다.
수행
1. 체온을 op후 1시간 간격으로 모니터하고 이를 기록하였다.
- 37도 이상의 체온 상승 시 즉시 보고하였다.
2. 4시간마다 침습적 시술부위를 사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3. 대상자 접촉 전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하였다.
4. 혈액검사 수치를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5. 하루 2번 cycin 250mg 1tab 투약을 관찰 하였다.
6. 대상자와 대상자의 가족에게 감염의 증상과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평가
- 대상자의 v/s은 정상수준으로 측정되었다.
- 대상자의 혈액검사 수치는 정상수준으로 관찰되었다.
- 대상자와 보호자는 감염증상과 감염 시 대처방법을 말로 설명하고 시범 보였다.
Ⅲ. 참고문헌
· 유.은광 외(2017).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서울)
· 유.은광 외(2017).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서울)
·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서울)
· 서울아산병원/2019.9.20./ 자궁외 임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46
· 대한산부인과학회/2019.9.20./유산/
https://www.ksog.org/public/index.php?sub=1&third=9
· 서울아산병원/2019.9.20./유산/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42&diseaseKindId=C000012
· 자궁 외 임신 [ectopic pregnancy]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2019.9.2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64&cid=51004&categoryId=51004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4.05.30
  • 저작시기201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